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역사과 교육과정의 제언

        윤세병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연구 Vol.- No.35

        It is necessary that history teaching should be executed in the context of curriculum instead of the textbook composed of the contents of statism in terms of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It is often regarded that the curriculum is equal to the textbook, but the textbooks have not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curricula. The suggestion that history teaching should be managed in terms of the curriculum was made on the basis of enlarging of the autonomy in th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at level of local, schools and teachers, not using the textbook that is subordinated to the curriculum. To escape from the official narrative, one way of constructing the curriculum for history is consisting of units centered on the themes to which local,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perspectives are applied and which stress not the memory of historical facts but the active inquiry of the students in and out of classroom.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is not the establishment, development and fall out of country but the birth and growth of the citizen. And the multilayered and multilateral understanding of history will be achieved when we consider agency, controversiality and memory of history. The curriculum of history in the elementary school can deal with the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including of basic training for history research. The secondary education will focus on the premodern history in middle school and the modern history in highschool as the mixture of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역사교육이 국가 서사를 큰 맥락으로 하여 구성된 교과서에서 벗어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이 글은 작성되었다. 교육과정이 곧 교과서라는 인식이 지배하지만 면밀히 살펴보면 여러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에도 교과서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전환하자는 제안에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바탕을 둔 교과서보다는 지역, 학교, 개별 교사 차원에서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한다는 문제 인식도 반영하고 있다. 국가 서사로부터 자유롭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구성(진술) 방식을 주제 중심으로 구성하되, 우선 지방, 국가, 지역, 글로벌의 시각이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탐구가 이뤄질 필요성이 있다. 국가로 환원되지 않는 지방이 존재할 수 있고 트랜스내셔널 시각에서 한국사와 비교와 연관의 작업이 행해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한국사를 상대화하여 ‘하나’의 역사 속에 묻힌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 그리고 국가를 대신하여 시민이라는 관점을 살려내되 전근대는 국가 권력과의 관계 속에서 민의 존재 양태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역사 속의 행위자, 논쟁성, 기억 문제 등을 함께 고려할 때 다면적이고 다층적인 역사 이해가 가능하리라 본다. 물론 이러한 주제 중심 구성은 현장의 상황과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존중하여 항상 재구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바탕에 두고 있다. 학교급별 교과 구성은 초등에서는 역사 탐구와 관련된 기초 소양을 쌓는 학습을 먼저 진행하고 한국사뿐만 아니라 세계사도 다뤄볼 것을 제안하였다. 중학교에서는 한국사와 세계사가 통합된 전근대사 중심의 『역사』를 배우고, 고등학교 1학년은 근현대사 중심의 『역사』를 제시해 보았다. 이후의 선택 과목으로서 『한국문화사』, 『20세기 세계사』, 『쟁점으로 보는 동아시아사』, 『역사 탐구』를 제시해 보았다.

      • KCI등재

        홀로코스트 교육의 동향과 과제

        윤세병 한국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연구 Vol.- No.45

        Holocaust education has emerged after a period of silence and taboo after World War II as a public memory. Curricula and textbook narratives have reflected the Holocaust, and museums and memorials have been built. Organizations have emerged that specialize in developing Holocaust education programs. However, misconceptions, prejudices, and myths still persist in Holocaust education, and denial and distortion continue to grow with the rise of the far right. And given the violence of the Holocaust, the emotional burden cannot be ignored. These ar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nd they are linked to South Korean history education. Trapped in nationalist mythology, textbooks fail to reflect the uncomfortable fact that Poles themselves were perpetrators, not just Nazi Germany, and like memories of the Vietnam War, they block the truth of perpetration. Holocaust denial and distortion has become a more serious problem in the era of post-truth. ‘Comfort women’ denial and May 18 denial are also often tied to the growth of right-wing forces and political extremism. Violenc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re not only a matter of knowledge, but also an area of emotion that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The same is true for the issue of violence in Korea's modern history. There are attempts to broaden Holocaust education to include issues of anti-Semitism, racism, discrimination, human rights, and peace. However, this approach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too moralistic. As Holocaust education becomes more widespread, identifying points of reflection is an important challenge. There are still many areas of empirical practice and theoretical work on Holocaust education that are not yet well developed. It is hoped that efforts will be made to go beyond conventional education through diverse educational practices and the formation of a richer discourse. 홀로코스트 교육은 제2차 대전 이후 한동안의 침묵과 금기의 영역에 갇혀 억눌린 기억으로 존재하다가 여러 가지 계기로 공적인 기억의 장으로 나왔다. 그리고 학교 교육이나 각종 기념 공간 등의 힘을 빌려 장기 기억으로 전환되고 있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에 홀로코스트가 반영되었으며 각종 전시·기념 시설이 건립되었다. 그리고 홀로코스트 교육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기구들도 생겨났다. 홀로코스트 교육에는 오해와 편견, 신화가 여전히 존재하고 부정과 왜곡이 극우 세력의 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홀로코스트가 폭력으로 점철된 사건인 만큼 정서적 부담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들은 풀어가야 할 과제이며, 한국의 역사교육과도 연관되어 있다. 민족주의 신화에 갇혀서 교과서에 나치 독일만이 아니라 폴란드인 스스로도 가해자였다는 ‘불편한’ 사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폴란드의 예처럼 베트남전의 기억처럼 가해의 진실을 막아서고 있다. 홀로코스트 부정과 왜곡은 탈진실의 시대에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위안부’ 부정이나 5.18 부정 역시 우익 세력의 성장이나 정치적 극단화와 유착 관계를 맺으면서 쟁점화하기도 한다. 폭력과 인권 침해는 지식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정서의 영역인만큼 세심한 고민이 필요한 영역이다. 한국 현대사에서 마주하는 폭력의 문제 역시 마찬가지이다. 홀로코스트 교육은 반유대주의, 인종주의, 차별 문제, 인권, 평화 등의 문제와 연관하여 확장적으로 접근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이 자칫 도덕주의적 접근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홀로코스트 교육이 보편화하는 만큼 성찰할 지점을 포착하는 것 역시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홀로코스트 교육에 대한 경험적 실천과 이론화 작업이 아직 정교하지 못한 면이 있다. 다양한 교육 실천과 풍성한 담론의 형성으로 기존의 교육을 넘어서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길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중국의 역사 교과서 논쟁과 국정화

        윤세병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연구 Vol.- No.33

        The country-designated history textbooks which were edited and published by People’s Education Press had been us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In the mid-1980, the examining and approving system of history textbook was induced, and many sorts of history textbook were developed. Some scholars welcomed the various interpretation of history in the classroom instead of the passive reception of the knowledge described in the textbook. Others worried about the weakening of the Marxism’s interpretation in the history. The dispute over history textbook broke out on History Teaching between Nieyoulia and Mazhibin. Not a few scholars supported the strengthening of the view of Marxism in the textbook and the policy of country-designated textbook. Xijinping propelled the policy of country-designated textbook and set up the National Textbook Committee. He would like to control the curricula and textbook of all the subjects concerning to ideology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As the characteristic of one history textbook which is edited, examined and published by country, first, the viewpoint of Marxism was more stressed than before. We can find out that the description of peasant’s uprising at the end of the dynasties is enlarged. Second, Praising the country and communist party is intensified. For example, Great Reap and Cultural Revolution were great tragedy in Chinese modern history. But they were inevitable experience in the cour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socialistic country owing to inexperience. Third, the history textbook looks like Xijinping’s propaganda pamphlet. His name and picture appears as frequently as Maozhedong and Dengxiaoping. In the textbook, we easily can see his slogan such as One Belt One Road(一帶一路) and Chinese Dream(中國夢).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은 국정 교과서를 사용하였다. 1980년대 중반 이후 국정제를 폐지하고 검정제로 전환하였다. 21세기 들어와서는 소질교육을 내세워 다채로운 자료와 탐구 과제로 구성된 역사교과서의 개발을 지향하였다. 역사 지식의 ‘생성’이라는 관점에서 다양한 해석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자는 것이었다. 그런데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둘러싸고 갈등이 일었고 니에요우리(聶幼犁)-마즈빈(馬執斌)의 지상 논쟁으로 표출되었다. 전자는 개방적으로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것이고, 후자는 사상적 지침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적 해석을 확고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상 논쟁에서는 니에요우리가 논리적으로 승리한 것으로 보이나, 현실적인 세력 구도로는 마쯔빈의 입장이 강세였다고 할 수 있다. 마르크스주의를 강화하면서 1종의 역사교과서 정책으로 가야한다는 입장이 국정화 이전에 학계에 강하게 형성되었다. 시진핑(習近平) 정부는 집권 2기에 돌입하던 해인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국정 교과서를 현장에 보급하였다. 그리고 국정화를 추진하면서 일선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 전반을 국가가 통제하겠다는 의도로 국가재교재위원회를 설치하였다. 초등에서 대학에 이르기까지 사상적 측면과 연관된 교과를 중심으로 국가가 일률적으로 관리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한편 국정화를 추진하면서 내세운 국정교과서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전국이 동일한 교과서를 사용함으로써 교사나 학생이 이동하는 상황이 오더라도 연계가 원활하고, 그리하여 평가를 비롯한 학사 관리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또한 우수한 인력을 모아 한 곳에서 역사교과서를 개발함으로써 양질의 교과서를 적은 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점도 제시하였다. 그러나 국가의 통제에 의한 하나의 역사는 다양성을 중시하는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다. 또한 국정화는 교과서가 하나의 유용한 학습 자료라는 인식을 후퇴시켜 성전적 교과서관을 부활시킨다는 점에서도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국정제로 탄생한 역사교과서는 ‘국가의지’를 선명히 드러내고 있다. 마르크스주의를 보다 강조하면서 계급투쟁사가 두드러져 일례로 왕조 말기의 농민봉기의 비중이 커졌다. 그리고 국가와 당을 미화하면서 대약진 운동이나 문화대혁명의 오류를 기술하기보다는 오류의 불가피성을 강조함으로써 비판적 시각이 이전의 교과서보다 퇴조하였다. 역사교육이 추구해야 할 성찰적 측면을 견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가장 심각한 점은 시진핑에 대한 노골적 선전이다. 그에 대한 지면 할애, 이미지 자료 등에서 마오쩌둥(毛澤東)과 덩샤오핑(鄧小平)에 버금가는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정치권력에 의한 역사의 오남용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국정화는 민주주의를 역행하는 시진핑 정부의 한 단면이기도 하다.

      • KCI등재

        국정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동양사 서술 분석

        윤세병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1

        Asian history in the national history book of middle school published in 2016 had many problems from the stage of curriculum which made in 2015 and had played role of guideline. Chinese history were of great importance in Asian history in comparison with former curriculum. The histories of Southeast Asia, India, Western Asia, Central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were deleted, eventually world history in the middle school consisted of European history and Chinese history only. Much space was allocated for Chinese history because of excluding history of any other Asian histories. But the space was filled with the content of Chinese history dealt in high school. The world history of highschool would be large burden to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ere a lot of fallacies in the textbook arisen from writer’s unapproved knowledge. Some sorts of fallacy was originated from repeated traditional descrip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dvanced history textbook by not three department system of Korean history, Asian history, western history but collaboration of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2016년에 국정제로 발행한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동양사 부분은 우선 그 설계도 역할을 하고 있는 2015 교육과정부터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기존의 교육과정과 비교할 때 동양사 영역에서는 중국사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동남아시아, 인도,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지의 역사는 교과서 소거함으로써 서양사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배우고 동양사는 중국을 중심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세계사 영역의 동양사 부분에서 중국 이외의 지역을 배제하였으므로 중국사의 입장에서 보면 넓은 지면을 확보하게 되었다. 그런데 중국사 서술 내용을 보면 대부분이 현재 고등학교 세계사에서 다루는 내용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술을 거의 그대로 가져온 부분도 적지 않다. 한편 중국사 서술에서는 집필자의 과도한 주관이 개입되어 검증되지 않은 역사적 사실이 기술되기도 하였다. 국정 교과서는 국가에서 추진하는 것이기 때문에 검인정 교과서보다 오류가 덜하다는 인식이 있으나 오히려 집필자에 따라 오류의 가능성이 더 열려 있기도 하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국정 교과서를 만듦으로서 오류를 해결하겠다는 인식 자체도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현장 검토본을 거쳐 최종본이 나왔을 때에도 오류가 적지 않게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오류는 국정 교과서를 집필하면서 새롭게 등장한 오류도 있으나 관습적으로 이루어지는 오류도 있다. 가령 연에서 망명한 위만의 문제, 진시황이 확대한 영역 중 남부 지방의 베트남과의 관계 문제에서 한국사와 중국사, 중국사와 베트남사라는 전공 영역의 경계에 있는 부분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상대적으로 연구에 소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라는 3분 체제를 넘어 전공자들의 협력 작업으로 해결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그리고 이러한 분과의 경계를 넘어 학생들이 한국사와 세계사를 통합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주제를 개발하고 교재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 KCI등재

        유럽 평의회와 UN의 역사교육 논의

        윤세병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5

        Attention has rarely been paid to the international discourses on history education, especially those of Council of Europe(COE) and UN in Korea. But those were stressed in the course of opposing the government controlled history textbook. The discourse on history education in UN is synthesized in the report(A/68/296) of the special rapporteur in the field of cultural rights for the writing and teaching history. It was adopted in the 68th General Assembly of UN in 2013, and was almost based on the achievement of COE. The discourses of history education in COE had emphasized ‘One Europe’ during 1954 and the early 1990’s. As the turing point of 1993, diversity in Europe was stressed after experiencing the conflict and the genocide of old Yugoslavia region. As a result, Recommendation on history and the learning of history in Europe was made in 1996. and Recommendation on History Teaching in Twenty-first-century Europe of 2001 was more systematized. The UN report of 2013 by Farida Shaheed reflected the discourses of COE. These discourses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ent along on the basic premise that history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ciety. To be important means that history education can solve the social conflict, improving democracy and peace, or that it can give the force of conflict and dispute. So, these discourses indicate the problem of ‘the misuse of history’ by political authority, emphasizing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variety of history textbook and teaching method including diverse opinion and interpretation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These discourses in COE and UN imply some messages to the history education of Korea. First, They confirmed that there would be many problems if political authority controls history education. Second, if we consider the importance of history education in society, it is necessary to make public sphere for discussing the constructive history education. Third, discourses on the aim and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are to be made in the view of social function. 역사교육에 관한 국제적 논의, 특히 유럽평의회나 UN 등에서 이루어진 논의는 그간 한국에서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한국사 국정화를 비판하는 논리로 주목을 받았다. 유럽 평의회의 역사교육 관련 논의는 1954년 유럽 문화협약에서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주로 하나의 유럽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런데 1993년을 기점으로 ‘다양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다. 옛 유고슬라비아 지역에서 일어난 극한적 갈등 상황을 목격한 것이다. 그리고 논의는 1996년 권고안과 2001년 권고안을 거치면서 내용이 체계화되었다. 그리고 권고안에 상응하는 역사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역사 프로젝트는 권고안의 구체적인 실행에 도움을주기 위한 차원에서 마련된 것이다. UN 인권이사회의 특별보고관인 파리다 샤히드 주도로 작성된 2013년의 UN 보고서는 유럽 평의회에서 진행된 논의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국제기구의 논의들은 우선 역사교육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전제위에서 전개되었다. 여기서 ‘중요하다’는 것은 역사가 사회의 갈등 문제를 해결하고 민주주의와평화를 위한 긍정적 역할을 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 그 반대의 역할을 할 위험성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들 논의는 정치권력의 개입에 의한 ‘역사의 오용’의 문제를 먼저 거론하면서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역사의 오용’을 극복하고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하여 역사교육에서 다양한 시각과 해석이 반영될 수 있는 교과서나 수업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유럽과 UN의 역사교육 논의는 한국의 역사교육에 몇 가지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첫째, 정치권력의 역사교육에 대한 간섭이 갖는 위험성을 확인시켜주었다. 둘째, 역사교육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만큼 바람직한 역사교육의 상(像)을 마련하기 위한 공론(公論)의 장이 필요하다. 셋째, 역사교육의 목적과 내용 구성 등을 사회적 측면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한국의역사교육 논의는 역사적 사실의 이해나 탐구 혹은 사고력의 신장 등에 한정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민주주의적 역사교육’을 위한 존 듀이 이론의 재검토

        윤세병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8

        John Dewey intended that doing and knowing should not be separated and they could be combined one in the course of experience, leading to education of democracy. He thought students play main role in class, and classrooms are a sort of public sphere in which dialogue and communication are made. The Theory of John Dewey can give three suggestions for history education. First, history linked with present living. In terms of Dewey's theory, history should deal with not dead documents but facts concerned with student's life, especially modern history. Second, understanding of history by way of multiperspectivity. It importantly consists of the conversation and the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sympathy between students. Third, developing from student to democratic citizen. In the course many corelation in the classroom, students are developing their citizenship needed in society. So, Dewey thought that school is a sort of community for experience, inquiry and democracy by way of reconstructing their experience. 듀이는 앎과 삶 사이의 전통적 분리를 극복하고 현재의 생활을 중심으로 양자를 통일하여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학생을 학습의 주체로 파악하고 교실이라는 공간을 하나의 민주주의의 공론장으로 보았으며, 대화와 소통이라는 민주주의 방식을 중시하였다. 그는 교육이 어떻게 민주주의에 기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을 이론적으로 정립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것을 실천으로 담보하려고 했다. 그의 삶 자체도 지와 행을 통일시키려 했음을 알 수 있다. 듀이의 교육 이론이 역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내용의 측면에서 현재의 삶과 연관된 역사이다. 학생의 경험 세계와 연결된 역사를 다룸으로써 학생들이 역사를 자기 삶의 문제로서 적극적인 의미 부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근현대사, 가족사, 지역사 등이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둘째, 방법적 측면에서 다원적 시각의 역사 이해다. 교실이란 공간에는 다양한 삶의 맥락을 가진 학생들이 존재한다. 이들이 평등한 인격적 주체로서 상호 공감이 이루어지는 소통을 통하여 다양한 생각을 표출할 때, 획일적 역사가 아닌 다원적 시각에서 역사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목표의 측면에서 학생들을 민주 시민으로 성장시킨다는 점이다.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다양한 경험이 이루어지면서 교실이 하나의 공동체가 형성되고, 그 속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