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읍·면 지역 에너지 소비, 재생에너지 잠재량 조사에 기반한 에너지 자립 가능성 연구 - 충남 홍성군을 중심으로 -

        윤성권 ( Yun Seong Gwon ),김윤성 ( Kim Yun Soung ) 한국농촌계획학회 2023 농촌계획 Vol.29 No.2

        In order to energy self-sufficiency in town and village areas, it is important to break down the spatial unit and understand the scale of the local energy supply and demand system. In this study identified the energy consumption and renewable energy resources of towns and villages in Hongseong County. Energy self-sufficiency rates and possibilities were derived for each region, and suitable types of self-sufficiency were sugges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Hongdong-myeon, Janggok-myeon, and Seobu-myeon have the potential to achieve energy self-sufficiency. Each of these areas has unique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m suitable for different types of energy models. Hongdong-myeon could be classified as a rural, energy integration, and energy self-sufficiency model, Janggok-myeon as a mountainous, bioenergy, and energy trading model, and Seobu-myeon as a fishing village, solar, and energy self-sufficiency model. This study can assist in recognize the phenomenon in rural areas, which will help in formulating practical and effective energy self-sufficiency plans for these area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남북 재생에너지 협력을 위한 전략과 정책적 과제

        김윤성(Kim, Yun-Soung),윤성권(Yun, Seong-Gwon),이상훈(Lee, Sang-Ho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8 환경법과 정책 Vol.21 No.-

        최근 남북관계가 개선되면서 철도, 도로, 산림 등 경제협력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북한은 발전소와 전력망 등 전력인프라 노후화, 발전용량의 절대적 부족으로 심각한 에너지 위기를 겪고 있으므로 에너지 협력은 더욱 실질적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특히 재생에너지는 소규모 개발과 수요지 인근에 건설이 쉬워 대규모 전력망 없이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난방, 취사, 조명 등 주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인도적인 지원도 가능하다. 또한, 한반도 에너지전환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도 재생에너지가 협력의 중심이 될 필요가 있다. 북한은 2013년에 제정된 『재생에네르기법』에 근거하여 2044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등 5GW의 설비를 공급하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재생에네르기법』은 재생에너지 개발과 이용을 장려하고 재생에너지 산업을 활성화하여 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인민 생활 수준을 높이며 국토환경을 보호하는 데 이바지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북한은 개마고원 일대, 서해안 지역이 풍황 자원이 우수하고, 평균 일사량도 남한과 비슷한 수준이어서 소규모 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한 전력공급에 유리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 남북 재생에너지 협력을 위한 전략으로 도시형과 농촌형 두 가지 접근 방법을 검토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전력수요가 집중된 도시지역에 베란다 태양광, 건물 일체형 태양광, 열병합발전과 재생에너지를 연동시킨 지역난방 주택 등을 도입할 수 있다. 농촌지역은 난방과 취사, 농업용으로 필요한 열과 〮전기를 스스로 공급하는 에너지 자립마을을 구상할 수 있다. 정책 개선 방향으로 남북교류협력사업의 무상지원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고, 국내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에 북한지역 사업에 대한 지원과 관리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와 체계가 다른 북한의 에너지법, 경제협력법, 투자 관련 법에 대한 이해도 수반되어야 한다. As inter-Korean relations have improved recently, cooperation discussion is going on laying rails, installing road and reforestation sectors, and so on. North Korea has been experiencing a severe energy crisis due to the old power plant and lack of power infrastructure. Cooperation for energy is seemed to be more urgent than other sectors. Renewable energy can be developed on a small scale and is easy to build near the demand sites; it can supply electricity without a large power grid. Therefore, it can supply energy immediately for living such as heating, cooking, and lighting. Humanitarian assistance through renewable energy has been possible unde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Renewable energy plays an essential role in energy transition and sustainable future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enacted the “Renewable Energy Law” in 2013 and set its energy supply goal of developing solar and wind power to 5GW by 2044. North Korea says it has the goal of “encouraging the development and use of renewable energy and revitalizing renewable energy industry,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the economy, raising peoples living standards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The wind conditions in the Gaema Plateau and the West Coast are excellent for the development. The average solar radiation throughout North Korea is similar to that of South Korea. Therefore, North Korea is not in an unfavorable position to supply electricity through small-scale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rban-type and rural type strategies for small-scale development are also previewed. In urban areas, where electricity demand is relatively high, electricity can be generated using small veranda solar PV, building integrated solar photovoltaic, and district heating system that combines cogeneration and renewable energy. On the other hand, in rural areas, energy-independent village system can be built. That system can supply heat and electricity needed for heating, cooking, and agriculture using its plentiful supply of biomass resource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o revitalize inter-Korean renewable energy cooperation. First, expanding the scope of grants for inter-Korean cooperation projects is needed. Second, the law “Promotion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needs to be revised to support and control the renewable energy projects in North Korea. Lastly, Understanding the North Korean energy laws, economic cooperation laws, and investment laws that are different from our system should also be accompanied.

      • KCI등재
      • KCI등재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에 대한 주민 수용성 제고 방안

        이상훈(Lee, Sang-Hoon),윤성권(Yun, Seong-Gw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5 환경법과 정책 Vol.15 No.-

        파리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1)를 앞두고 각국이 INDC를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하면서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2℃ 이내로 억제하기 위한 에너지부문의 탈탄소화 경로를 제시해왔는데 특히 발전부문은 온실가스 감축의 잠재력이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발전부문 탈탄소화에서는 재생에너지 설비의 보급이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크게 기술, 금융, 법ㆍ제도, 수용성이라는 네 가지 도전에 직면한다. 기술의 신뢰성이 향상되었고 RPS나 FIT 등 보급제도가 도입되면서 재생에너지 사업의 경제성도 크게 개선되었다. 재생에너지에 대한 사회 전반적 이해와 지지는 강화되고 있지만 재생에너지 시설입지에 대한 주민 수용성은 여전히 쉽지 않은 과제이다.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특히 풍력발전을 둘러싼 갈등과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재생에너지 설비에 대한 주민 수용성 제고가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한 관건이라고 보고 있다. 재생에너지 보급이 늘어날수록 경제적이며 환경영향이 적은 입지는 희소해지고 재생에너지 설비를 둘러싼 이해관계자 갈등과 대립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재생에너지 주민 수용성을 제고하는 방안의 하나로 분배적 정의가 강조되고, 그 분배적 정의를 개념화한 것이 바로 이익공유체계이다. 그중 가장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은 주민들이 인근에 들어서는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소유와 운영에 참여하는 주민 발전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배적 정의 관점에서 풍력발전 설비에 대한 주민 수용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문헌조사 및 사례 연구,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내 여건에서 주민 참여형 풍력사업을 촉진하는 방안을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공공기관이 풍력발전소 조성을 주도하고 주민들은 출자 참여의 기회를 확보하는 방안이다. 둘째, 지역의 조합이 주도하여 풍력발전 사업을 추진하고 지역민으로 구성된 조합원에게 이익을 배분하는 방식이다. 셋째,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주민들이 민간의 풍력사업에 출자하는 방식이다. 주민 참여형 풍력사업 모델이 현실화 된다면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특히 풍력발전 설비에 대한 지역 주민의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이고 전반적으로 재생에너지 보급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Globally, meetings and discussion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have been animated with each country submitting INDC before COP 21 in Paris. The IEA already suggested decarbonization pathways in energy sector to limit the average global temperature increase of 2℃ and it revealed power sector especially has much potential of CO2 emissions reduction. According to the IEA analysis, renewable energy source(RES) among low carbon energies (or technologies) is crucial to realize decarbonization pathways. RES projects usually face to several challenges such as technology, financing, law and institution, and acceptance. the Reliability of renewable technologies has been improved and the economics of RES projects has also been getting better with help of regulatory policies such as RPS and FIT. However, local acceptance of those projects is still hard to solve, though social acceptance and support of RES projects have been strengthened. The conflicts surrounding renewable energy facilities, especially wind turbines often break out. EU recognized that raising local acceptance of renewable energy facilities is key to meet renewable energy target. The more the deployment of RES increase, the less environmentally sound and economically attractive sites decrease and the more conflicts and oppositions related to RES projects tend to occur frequently. To raise local acceptance, distribution justice should be emphasized and it has been conceptualized as Benefit Sharing Mechanisms(BSM). The most effective tool among BSMs is known as community power which means that local citizens participate in ownership and operation of RES projects with various levels. This study explored how to raise local acceptance of wind turbines in terms of distribution justice by analyzing references, cases and interviews. in conclusion, three measures can be deduced to promote local citizen involvement in wind projects from a domestic perspective. Firstly, Public institutions can initiate wind projects and give local citizens a chance to invest in. Secondly, communities or local cooperatives can develop the projects and provide financial benefits to shareholders composed of local citizens. Thirdly, local citizens can invest their money into private RES projects through crowd funding. If community owned or participated wind projects are realized, they will contribute to mitigating the local citizens’ negative attitude to wind turbines. Furthermore, community power can also help to raise social acceptance of RES projects.

      • KCI등재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원만한 이해관계자 협의를 위한 절차적 개선방향 - 어업손실보상 근거와 기준을 중심으로

        임현지(Im, Hyun-Ji),윤성권(Yun, Seong-Gwon),권필석(Kwon, Pil-Seok),문효동(Moon, Hyo-Dong),김윤성(Kim, Yun-Sou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1 환경법과 정책 Vol.27 No.-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확대가 필수적이며, 특히 해상풍력은 규모면에서 설치 잠재량이 크다. 그러나 많은 해상풍력 사업지에서 주민, 어업인들의 반대로 갈등을 겪고 있으며, 상당히 긴 인허가 기간이 소요되고 있어 보급 실적이 저조하다. 사업자와 주민·어업인 간 갈등은 협의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이나 보상 관련 법과 절차가 불분명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이해관계자 협의는 보상, 지원, 이익공유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연구는 특히 어업손실보상에 대한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법·절차적 측면에서 「전기사업법」, 「전원개발촉진법」,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수산업법」 등 관련법 검토를 통해, 해상풍력 개발사업에서 어업손실보상협의의 법적 근거가 미비하고 현행 보상 기준이 미흡함을 밝혔다. 또한 덴마크 「수산업법」 및 대만 「어업법」, 영국 「해상풍력 협의지침」, 국내 「도시개발법」 등 국내외 관련 법제를 비교분석하여 현행 문제에 대한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풍력발전 보급촉진 특별법(안)」에 어업손실보상 협의의 법적 근거를 보완하고, 어업인, 사업자, 정부 등 이해관계자가 합의한 어업영향 조사 및 보상협의 기준 혹은 지침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In order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goal by 2050,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s essential. In particular, offshore wind power has a large installation potential in terms of scale. However, offshore wind power is scarcely distributed in Korea, because various offshore wind farms in Korea are experiencing local conflicts due to opposition from residents and fishermen. Conflicts between developers and local fishermen often arise because the laws and procedures related to the compensation of stakeholders are unclear during the consultation process. Stakeholder consultations in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can be classified into compensation, support, and benefit-sharing, and this study specifically reviewed the issue of compensation for fishing losses. In terms of legal and procedural aspects, this study examines related laws such as the 「Electricity Business Act」, 「Power Development Promotion Act」, 「Act on Acquisition of and Compensation for Land, Etc. for Public Works Projects」 and 「Fisheries Act」, and examines the defect of the legal basis for negotiating compensation for fisheries and the lack of compensation evaluation standards in offshore wind power development projects. In addi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laws such as the Danish and Taiwanese Fisheries Act, the UK Offshore Wind Power Consultation Guideline, and the domestic 「Urban Development Act」,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current problems were derived.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o supplement the legal basis for consultation on compensation for fisheries in the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of Wind Power Generation」, and to prepare a standard/guideline for compensation and fishery impact investigation agreed upon by all stakeholders including fishermen, developers, and the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