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환자간호실무 표준에 관한 연구

        윤석희,강채원,전미수,김용순,김명욱,박성애,김혜자,이병숙,정면숙,전명희,Yoon, Suck-Hee,Kang, Chai-Won,Jurn, Mee-Soo,Kim, Yong-Soon,Kim, Moung-Ock,Park, Sung-Ae,Kim, Hye-Ja,Lee, Byung-Sook,Jung, Myun-Sook,Jun, Myung-Hee 대한간호협회 1992 대한간호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tient care standard which is the basis of unit based quality assurance. The subjects were 570 nurses of 6 hospitals is Seoul. Patient Care Standards were developed from 3 times of clinical Nurses Association's workshop & the joint meeting of Clinical Nurses Association & the Korean Nurses Academic Socity of Nursing Administration. Respondents were instructed to rate of the 2 types of 5 - point Likert type questionnaire(one is the level of perceived importance, the other is the level of actual performanc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s of reliability analysis, each questionnaire ranged from $\alpha$=0.79 to 0.94<Table 2> 2.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levels of perceived importance & actual performances were ranged from r=.40 to 0.72(P=.00)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ercevied importance according to the several variables. $\circled1$ Chemotherapy unit; df=5, F=4.06, P=.000/hospital $\circled2$ Pediatric unit; df=5, F=2.8, P=.02/hospital $\circled3$ OBGY ; df=5, F=4.20, P=.00/hospital $\circled4$ ICU ; df=5, F=2.83, P=.02/hospital df=3, F=5.38, P=.00/age df=3, F=6.22, P=.00/total duration. $\circled5$ GS ; df=3, F=3.37, P=.02/total duration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ctu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veral variables. $\circled1$ Chemotherapy unit; df=5, F=2.89, P=.02/hospital df=3, F=3.07, P=.03/age df=3, F=3.61, P=.02/total duration $\circled2$ OBGY ; df=5, F=15.48, P=.00/hospilal df=3, F=7.83, p=.00/total duration $\circled3$ GS ; df=5, F=6.70, P=.00/hospital df=3, F=4.49, P=.01/age df=3, F=5.99, P=.00/total duration $\circled4$ ICU ; df=5, F=2.96, P=.02/hospital df=3, F=4.39, P=.0l/age df=3, F=5.20, P=.00/total duration

      • KCI등재

        갑판적 화물에 대한 운송인의 책임범위

        윤석희 ( Seug Hee Yoon ) 한국해법학회 2004 韓國海法學會誌 Vol.26 No.2

        Today, it is generally recognized as commercial custom that most containers are stowed on deck of the containership.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at extent carrier is liable for damage sustained to cargo since the on-deck stowage is still a cause increasing the risk of ocean shipping carriage. When a vessel inexcusably (and thus, unreasonably) departs from its customary trade-route, or is unreasonably delayed in its voyage, a breach of contract occurs, ousting the carrier`s limitation, and thereby make the carrier, in effect, the insurer of the cargo.? Similarly, when the cargo is shipped on-deck without authorization, sometimes called quasi-deviations, the carrier is liable for full damage to cargo.? The U. S. courts have extended the doctrine of deviation to non-geographical breaches of the contract of carriage(i. e. Unreasonable Deviation doctrine). However, after the advent of Containerization, courts have held that the on-deck stowage of containers on a vessel specifically designed and equipped for such carriage, though constituting a deviation, is reasonable and does not preclude COGSA`s limitation of liability. It is still disputed whether on-deck stowage of containers would considerably decrease risk of ocean voyage. In this regard, some U. S. courts apply again the unreasonable deviation doctrine in case of open type containers(i. e. open-top, and flat-rack, etc), and the carriers would not be allowed to invoke the package? limitation in such cas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Hague Rules, U. S. COGSA, the U. S. and Korean Courts` decisions regarding on-deck carriage of containers, in particular the extent of carrier`s liability, for the balance between cargo-owing interests and carrier interests

      • KCI등재

        SPI 변화에 따른 산불발생과의 관계 분석

        윤석희 ( Suk Hee Yoon ),원명수 ( Myoung Soo W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1970년 이후 기상청 정규기상대의 월별 누적강수량과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지역별 산불발생자료를 이용하여 지속기간별(1, 3, 6, 12개월)에 따른 SPI 지수와 산불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역별 산불발생자료를 활용하여 권역별 산불건수와 Log(산불 건수)를 산출하여 연대별 변화에 따른 가뭄과 산불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산불발생과 SPI 지수를 10년 단위인 1990년대와 2000년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1990년대에는 경기, 강원, 충남에서 SPI 3개월이 산불발생빈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북은 SPI 6개월, 영·호남 지역에서는 SPI 12개월이 산불발생빈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에는 경기, 충남, 충북, 전남, 전북에서 SPI 6개월과 산불발생빈도가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1990년대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반면에 강원 영서는 SPI 3개월과 상관성이 있었으며 강원 영동, 경남, 경북은 SPI 1개월과 비교적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 1990년대에는 권역별 가뭄 현상이 북부와 남부로 나뉘면서 SPI 3개월과 12개월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고, 2000년대 이후로는 강원 영서를 제외하고 백두대간을 따라 SPI 1개월과 6개월이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미래의 산불발생위험 예측력 향상을 위한 모델 개발을 위해 SPI 1개월과 SPI 6개월 지수를 적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SPI) and forest fire occurrences using monthly accumulative rainfall data since 1970 and regional fire occurrence data since 1991.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 and forest fire occurrences, the correlations among the SPI of nine main observatory weather stations including Seoul, number of fire occurrences, and log of fire occurrences were analyze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SPI with fire occurrences in the 1990s and 2000s and found that in the 1990s, the SPI of 3 months showed high correlation in Gyeonggi, Gangwon, and Chungnam, while the SPI of 6 months showed high correlation in Chungbuk, and the SPI of 12 months showed high correlation in Gyeongnam, Gyenongbuk, Jeonnam, and Jeonbuk. In the 2000s, the SPI of 6 month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fire frequency in Gyeonggi, Chungnam, Chungbuk, Jeonnam, and Jeonbuk, whereas the fire frequency in western Gangw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PI of 3 months and, in eastern Gangwon, Gyeongnam, and Gyenongbuk, with the SPI of 1 month. In the 1990s, distinct differences in the drought condition between the SPI of 3 months and 12 months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n Peninsula were found, whereas the differences in both the SPI of 1 month and 6 months were found in the Baekdudaegan region except western Gangwon since the 2000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can develop a model to predict forest fire occurrences by applying the SPI of 1-month and 6-month data in the future.

      • KCI등재

        학술발표회(學術發表會) 논문(論文) : 미국해상화물운송법의 주요내용과 복합운송에 관한 판례검토

        윤석희 ( Seug Hee Yoon ) 한국해법학회 2010 韓國海法學會誌 Vol.32 No.2

        최근인 2010. 11. 9. 법무부는 상법상의 복합운송규정개정에 관한 공청회를 개최하는 등 육상, 해상, 항공 구간을 연결하는 주요 운송형태인 복합운송(Multimodal Transport)에 관한 상세한 규정을 두기 위해 노력중이다. 이는 그간 우리의 법제도가 복합운송 중심으로 변화된 물류산업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고, 2007. 8. 3. 자로 개정된 우리 상법은 해상복합운송에 관하여 1개의 조문만을 신설하였기 때문에 복합운송과 관련한 당사자들의 분쟁시 이를 해결하는 구체적이고도 조화로운 법 규정(즉, 해상화물운송주선인과 복합운송화물주선인의 차이, 복합운송선하증권의 발행, 화물손상에 대한 책임 준거법(도착지법 적용여부)등)의 신설이 절실하던 터여서 더욱 고무적이다. 이에 필자로서는 우리법제 하의 복합운송에 관한 상세한 규정 제정과 합리적인 해석을 위한 외국의 사례로서, 미국 내의 해상화물운송법의 규정 및 내용, 적용범위, 도로운송 및 철도운송에 관한 Carmack Amendment 규정(이하 ‘Carmack’), 미국 연방항소법원의 복합운송에 관한 판례를 연구 검토하고자 한다. 미국 연방항소법원은 그 견해가 나뉘고 있는데, (가)복합운송 구간 중 내륙운송증권이 별도로 발급된 경우에만 Carmack을 적용하는 제11항소법원의 견해 및(나)복합운송의 경우 무조건적으로 Carmack을 적용하는 제2, 3, 9항소법원의 견해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견해 차이는 2004년 대법원이 선고한 Norfork Southern Railway Co., v. Kirby사건에 대한 해석차이로 (가)의 경우, 내륙운송에 관하여 별도의 증권이 발행되지 않은 이상 내륙구간에 편입된 COGSA규정은 유효하다고 해석한 반면, (나)의 경우, 비록 당사자들이 내륙운송구간에 연방법인 COGSA를 편입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단지 계약조건(contractual term)일 뿐, 실제 복합운송구간 중 내륙운송에 적용하는 연방법인 Carmack Amendment와 또 다른 연방법인 COGSA와 충돌된 것이 아니므로 당연히 하나의 연방법인 Carmack 가 적용된다고 해석한 것이다. 즉, 강행법규로서의 Carmack의 유효성을 인정하고 이에 반하는 당사자의 약정은 무효로 판시하였다. 이처럼 복합운송구간 중 미국내륙내의 사고에 대해 어느 법규를 적용하느냐에 따라서 운송인의 책임제한 및 제소기간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바, 우리법상으로도 이러한 쟁점을 포함한 상세한 복합운송규정의 제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Holding the public hearing on 9th Nov. 2010, on the amendment of multimodal transport provisions in the Korean Commercial Code, the Ministry of Justice has been recently striving to stipulate specific provisions in relation to multimodal transport which is connecting the modes of carriage by land, sea and air. As Korean legal system has not been reflecting the reality of changing logistics centered around multimodal transport and the amended Korean Commercial Code, as of 3rd. Aug. 2007, adopted only one new provision regarding ocean multimodal transport, it has been keenly needed to establish detailed provisions (i.e., the difference between ocean and the multimodal freight forwarder, the issuance of multimodal transport B/L, the governing law for the damage to the goods (whether to apply the law of destination)) to settle the disputes among the multimodal transport concerned parties. Hence, the enactment of new provisions for the multimodal transport in relation to reasonable interpretation thereof under Korean law, I will research and examine relevant U.S. cases in relation to U.S. COGSA and its range of application, Carmack Amendment on carriage by road and rail (hereinafter ``Carmack``), and multimodal transport cases in the U.S. Federal Appeals Court. The opinions of U.S. Federal Appeals Court are divided; (A) the opinion of the 11th Circuit Court:Carmack applies only when the in land transport B/L has been separately issued during the section of multimodal transport, (B) the opinions of the 2nd, 3rd, 9th Circuit Courts: Carmack applies whenever multimodal transports are concerned. This split arose from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Supreme Court`s judgment in 2004 of Norfork Southern Railway Co., v. Kirby. In case of interpretation (A), COGSA which is incorporated for in land section is valid as long as separate B/L is not issued for in land transportation. In case of interpretation (B), Carmack as a Federal Law applies to in land transportation section within multimodal transport without conflicts with another Federal Law of COGSA even though the parties incorporated COGSA for the in land transportation section as a contractual term. As above, a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arrier`s limitation of liability and time bar period depending on which law applies to the accident during in land transport in America multimodal transportation, legislation of detailed rules for multimodal transport involving the above issues would be required.

      • KCI등재

        최적의 산악기상관측망 적정위치 선정 연구 - 호남·제주 권역을 대상으로

        윤석희 ( Sukhee Yoon ),원명수 ( Myoungsoo Won ),장근창 ( Keunchang Jang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6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매년 발생하고 있는 산불, 산사태 등의 산림재해방지를 위해 호남과 제주의 산악지역을 대상으로 최적의 산악기상관측망 입지를 선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적정위치 선정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항목들을 공간자료화한 후 공간 분석을 통해서 후보지를 선정하고 현장 조사를 통해 정량적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인 적정위치를 선정하였다. 공간자료는 과거 10년간의 산불발생 정보와 과거 7년간의 산사태위험등급 정보, 산림청의 국사경계도, 국유지의 임도와 등산로 그리고 기상청의 자동기상관측소(AWS)와 산림청의 산악기상관측소 위치정보, 30m 해상도의 수치표고모델(DEM)을 사용하였다. 공간분석은 산불과 산사태의 1-2등급의 위험지에 대한 추출 및 중첩 분석, 산림청 국유지 내에 100m 버퍼를 준 임도와 등산로의 접근성 분석, 기상관측소의 2.5km 버퍼를 준 중복성 분석, 산악기상관측 입지환경 조성을 위한 고도 200m 이상의 지형특성 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중첩분석을 수행하였다. 공간분석 결과, 총 159개의 중첩 폴리곤이 추출되었고 구글어스 등을 활용하여 능선과 정상부에 총 64개의 적정위치 후보지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후보지는 기상관측환경, 접근성, 통신 및 전력공급 환경, 기상관측소의 중복성에 대한 정량적인 현장 평가를 통해서 총점이 70점 이상인 지점을 `적합`으로 판정하여 고득점 순으로 산악기상관측망의 적정위치 26개소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적정위치 선정 기법에 의해 구축된 산악기상관측망의 기상정보는 향후 산불, 산사태 등과 같은 산림재해위험 예측력의 향상과 산림 복잡 지형에 대한 미기상 연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MOS) is an important ingredient for several climatological and forest disaster prediction studies. In this study, we select the optimal sites for AMOS in the mountain areas of Honam and Jeju in order to prevent forest disasters such as forest fires and landslides. So, this study used spatial dataset such as national forest map, forest roads, hiking trails and 30m DEM(Digital Elevation Model) as well as forest risk map(forest fire and landslide), national AWS information to extract optimal site selection of AMOS. Technical methods for optimal site selection of the AMOS was the firstly used multifractal model, IDW interpolation, spatial redundancy for 2.5km AWS buffering analysis, and 200m buffering analysis by using ArcGIS. Secondly, optimal sites selected by spatial analysis were estimated site accessibility, observatory environment of solar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field survey. The threshold score for the final selection of the sites have to be higher than 70 points in the field assessment. In the result, a total of 159 polygons in national forest map were extracted by the spatial analysis and a total of 64 secondary candidate sites were selected for the ridge and the top of the area using Google Earth. Finally, a total of 26 optimal sites were selected by quantitative assessment based on field survey. Our selection criteria will serv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MOS network for the best observations of weather conditions in the national forests. The effective observation network may enhance the mountain weather observations, which leads to accurate prediction of forest disasters.

      • KCI등재

        The Review of Package Limitation -Concerning Interpretation of Gold Value, Package and Customary Freight Unit-

        윤석희 ( Seug Hee Yoon ) 한국해법학회 2014 韓國海法學會誌 Vol.36 No.1

        해상화물운송인의 책임범위에 관한 최초의 조약인 1924년 헤이그 규칙, 미국의 해상화물운송법(일명 COGSA), 1968년 헤이그·비스비 규칙은 운송인이 발행하는 선하증권 이면약관의 지상약관으로서 여전히 유효하다. 그러나 위 헤이그 규칙상 운송인의 책임한도의 기준인 gold value는 국가 별로 달리 해석하고 있고, 미국 해상화물운송법상 포장의 개념과 범위, 관습적 운임단위 등도 미국 항소법원에 따라 다르게 해석한다. 이에 필자로서는 위 지상약관상의 운송인의 책임제한 법리의 중심개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1) 헤이그 규칙 제4조 제5항과 제9조 소정의 gold value의 의미에 대해, 영국의 Rosa S 판결(1988)은 헤이그 규칙 제정시의 금 가치에 상응하는 현재의 가치를 책임범위의 기준으로 판시 하였고, 호주, 캐나다 등도 위 견해를 따르고 있다. 우리는 하급심에서 이와 상반된 결론을 내린 바 있으나 현재도 영국 판결이 유효한 것을 감안하면, 위 해석을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2) 미국 해상화물 운송법 상의 ‘포장’에 대해 다수의 항소법원(2, 11, 5)은 화물의 규모, 형태, 중량과 관계없이 화물운송 내지 취급을 용이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을 반드시 감추거나 완벽하게 에워싸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하나, 제9항소법원은 일반적인 의미로서 단지 bolt나 skid로 조여진 화물은 포장된 화물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포장의 기준 또한 선하증권상의 표면뿐 아니라 다른 관련서류(부두수령증, 송장 등)에 의하기도 한다. 컨테이너 화물의 경우, 내부의 소포장(carton 등)을 기준하나, 만일 포장을 명기하지 않고 화물자체나 수량을 기재한 경우(plant, piece 등) 컨테이너 자체를 하나의 포장이라고 판단하기도 한다. 소포장(carton)을 한 위에 다시 대 포장(pallet)한 경우 소포장을 기준으로 하며, 포장으로 선적되지 않은 화물에 적용되는 관습적 운임단위는 운임의 계산단위로 당사자 사이에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화물의 수량, 중량, 면적단위를 의미한다. 각국의 노력으로, 2009. 9. 23. 화물의 국제해상운송을 위한 계약에 관한 조약인 일명 로테르담 규칙이 서명되기는 하였으나, 발효되지 못한 현재 시점에서 여전히 미국 해상화물운송법에 대한 미국법원의 이론과 판례는 위 법을 해석하여야 하는 우리 법 체계하에서도 검토될 분야라 사료된다. 또한 향후 위와 같은 지상약관과 준거법약관 사이의 충돌 및 적용범위에 관해서도 외국 및 국내의 견해를 심층 분석,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활발한 논의와 발전을 기대해 본다. The Hague Rules 1924, which is the first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extent of ocean carrier`s liability, the Carriage of Goods by Sea Act (“COGSA”)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Hague. Visby Rules 1968 are still effective as the paramount clause in the bill of lading issued by the carrier. However, the meaning of “gold value”, which is the monetary unit used in liability limitation under the Hague Rules, is interpreted in different way under legal system of countries. Also, the interpretation of U.S. Courts on the meaning and extent of “package” and “customary freight unit” under the COGSA has differed among U.S. Circuit cour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re legal concept in the paramount clause mentioned above that limits carrier`s liability. 1) With respect to the meaning of “gold value” under Article IV(5) and IX of the Hague Rules, in Rosa S (1988) decision by the U.K. Court, the Court held that the gold value to be used in the liability limitation is the current value equivalent to the gold value at the time of legislating the Hague Rules. The Courts in Australia, Canada, etc. also followed the decision by the U.K. Court. The lower court in Korea rendered an opposite decision, but this interpretation of the law needs to be re-evaluated considering that the U.K. decision is still valid. 2) With respect to the meaning of “package”, majority (the Second, Eleventh and Fifth Circuit) interpreted it as measure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r protect the cargo regardless of cargo`s size, shape or weight and found that it does not have to completely conceal or surround the cargo, but the 9th Circuit held that cargo bolted to skid is not package in its plain meaning. Also, package can be determined documents other than bill of lading such as dock receipt or invoice. As for containerized cargo, small package (e.g carton) inside the container is often considered as package, but in some cases, the Court held a container itself as a package when package was not clearly stated but the cargo itself or number of the cargo such as plant or piece was used. Where a smaller unit such as carton is inside a larger unit such as pallet, the smaller unit is considered package. Customary freight unit, which is applied to cargo not shipped in packages, means the unit of quantity, weight or measurement of the cargo customarily used as the basis for the calculation of the freight rate to be charged. Even though The Rotterdam Rules was signed on September 23, 2009 based upon effort of several countries, the rules is still not in force. Therefore, in present, the rationales and court decisions in the United States concerning COGSA is worth the review by the Korean Court with respect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and various discussion as well as development in this area of law is expected. In addition, further in depth analysis and study on the above conflict between the Paramount Clause and Governing Law Clause and their extent of application will be necessary. Active discussion and development on this issue is also expected.

      • KCI등재

        MODIS Fire Spot 정보와 5km 기상 재분석 자료를 활용한 접근불능지역의 산불기상위험지수 산출 모형 개발

        원명수,장근창,윤석희,WON, Myoung-Soo,JANG, Keun-Chang,YOON, Suk-Hee 한국지리정보학회 201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1 No.3

        This study has developed a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for inaccessible areas such as North Korea and Demilitarized Zone and we have developed a real-time forest fire danger rating system that can be used in fire-related works.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research that it is impossible to conduct site investigation for data acquisition and verification for forest fire weather index model and system development. To solve this problem, we estimated the fire spots in the areas where access is impossible by using MODIS satellite data with scientific basis. Using the past meteorological reanalysis data(5㎞ resolution) produc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on the extracted fires,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res were extracted and made database. The meteorological factors extracted from the forest fire ignition points in the inaccessible areas a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the forest fire occurrence and the weather factors and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at can estimate the forest fires occurrence(fires 1 and non-fores 0). And used to calculate the forest fire weather index(FWI).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the logistic models(p<0.01) strongly depends on maximum temperature, minimum relative humidity, effective humidity and average wind speed.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showed a relatively high accuracy of 66%. These findings may be beneficial to the policy makers in Republic of Korea(ROK) and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for the prevention of forest fires. 본 연구는 북한 및 비무장지대 등 접근불능지역에 대한 기상에 의한 산불발생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과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시간 산불위험예보 체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산불기상위험지수 산출 모형 개발을 위해 자료의 취득과 검증을 위한 현장조사가 불가능하다는 연구적 한계가 존재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MODIS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의 산불발화지점(fire spot)을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추정하였다. 추출된 산불발화지점을 대상으로 기상청에서 생산된 과거 기상 재분석자료(5㎞ 해상도)를 활용하여 산불발화지점에 대한 기상특성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접근불능지역의 산불발화지점에서 추출된 기상요소들은 산불발생과 기상요인들과의 통계적 상관성과 산불발생 유무(산불발생 1, 산불 미발생 0)를 추정할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실시간 기상변화에 의한 산불기상위험지수(Fire Weather Index, FWI)를 개발하였다. FWI 모형의 예측정확도는 66.6%로 나타나 모형의 적합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남 북한의 산불 방지를 위한 정책 입안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2000~2008년 봄철 황사와 산불발생의 관계 분석

        원명수 ( Myoung Soo Won ),윤석희 ( Suk Hee Yoon ),이우균 ( Woo Kyun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1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s of forest fire possibly related with Asian dust event and carry out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rest fire occurrence and existence or not of the Asian dust event during dry seasons i.e. February to May in 2000 to 2008. To study the correlation of forest fire and Asian dust, we surveyed information of Asian dust observations, forest fire statistics, fire danger rating index, weather data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of the day occurring the forest fire. As a consequence of analysis, the regional frequency of Asian dust was the highest in Gyeonggi and Chungbuk divisions. Frequencies of forest fire occurrence by the Asian dust events were the highest in the day before three days of the Asian dust event. The highest frequent regions of forest fire occurrence were district of boundary line between Gyeonggi and Western of Gangwon, Chungbuk and Gyeonbuk inland. The correlation between forest fire and fire danger rating index showed the high correlation with the day before three days and after three days of the Asian dust event. Thes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50038 and 0.53978 to 1%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 of analysis between the frequency of forest fire occurrence and wind speed had a highly negative relationship at all the Asian dust days, the day before and after three day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had been -0.58623 to -0.61245 to 1% significance level. Relative humidity showed a little of negative relationship with forest fire occurrence in -0.2568(p ≤ 0.01) for the Asian dust day and -0.35309(p ≤ 0.01) for next three days. Moreover, at the day before three days of Asian dust events, it was -0.23701 to 1% significance level. However, the mean temperature did not correlate with frequency of forest fire occurrence by Asian dust events at all.

      • KCI등재

        2000년대 기후변화를 반영한 봄철 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

        원명수 ( Myoungsoo Won ),윤석희 ( Sukhee Yoon ),장근창 ( Keunchang Jang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6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1990년대와 2000년대 봄철에 발생하는 산불의 공간적 분포가 크게 변화됨에 따라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불발생확률모형의 변화를 비교하고, 2000년대 이후의 산불발생확률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의 기후 변화로 인한 산불발생 변화 예측을 현실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특정지역의 일일 산불발생위험도 예측하기 위하여 산불발생과 관련이 있는 기상요소로 규명된 습도, 기온, 풍속 등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기후변화를 반영한 2000년대의 전국 9개 권역의 봄철 기상요소에 의한 일일 산불발생위험지수(daily weather index, DWI)를 개발하였다. 첫 번째로 구체적인 개발방법은 전국 9개 광역지역별로 산불발생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소를 규명하여 지역별로 산불발생의 유무를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로 두고 산불발생 관련 기상요소들을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모형(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적용하여 산불발생확률을 추정하였다.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봄철 건조계절의 평균 기후장 분석 결과, 영남지역에서 기온은 상승하고 습도와 강수량의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원지역은 모든 기상요소에서 변화폭이 비교적 낮아 산불발생 환경 측면에서 다른 지역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권역별 기후변화 특성과 산불발생 경향을 비교함으로써 산불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권역별 주요 기후인자를 선별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990년대와 비교하여 2000년대의 산불의 패턴은 남북으로 분할되던 경향이 광역 대도시를 중심으로 인근 지역으로 확대되면서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동서로 분할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2000년대 봄철 기상에 의한 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을 수행하였다. 각 권역별 산불발생과 관련되는 기상요소로 경상남·북도, 전라남도 4개 권역은 최고기온, 상대습도, 실효습도, 평균풍속, 경기도와 충청남도 2개 권역은 최고기온, 상대습도, 평균풍속, 충청북도는 최고기온, 상대습도, 실효습도, 전라북도는 최고기온과 상대습도, 마지막으로 제주도는 최고기온과 평균풍속에서 95% 이상의 신뢰도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를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99%의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본내 예측력은 68.7∼80.7%로 나타나 모형의 적합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모형은 현재 운영중인 산림청국립산림과학원의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에 반영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2000년대의 산불발생위험을 정확히 예측하여 산불예방은 물론 진화자원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시간과 인적·경제적 비용을 절감하고 산불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선택과 집중의 산불정책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forest fire occurrence model using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for practical forecasting of forest fire danger rate by reflecting the climate change for the time period of 2000yrs. Forest fire in South Korea is highly influenced by humidity, wind speed,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To effectively forecast forest fire occurrence, we developed a forest fire danger rating model using weather factors associated with forest fire in 2000yrs. Forest fire occurrence patterns were investigated statistically to develop a forest fire danger rating index using times series weather data sets collected from 76 meteorological observation centers. The data sets were used for 11 years from 2000 to 2010. Development of the national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us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forest fire occurrence data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Nine probability models for individual nine provinces including Jeju Island have been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the logistic models (p<0.05) strongly depends on the effective and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wind speed, and rainfall. The results of verification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randomly selected fires ranges from 0.687 to 0.981, which represent a relatively high accuracy of the developed model. These findings may be beneficial to the policy makers in South Korea for the prevention of forest fires.

      • KCI등재

        1990년대와 2000년대 건조계절의 산불발생 시공간 변화 분석

        원명수 ( Myoung Soo Won ),윤석희 ( Suk Hee Yoon ),구교상 ( Kyo Sang Koo ),김경하 ( Kyong Ha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3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19년 동안에 연평균 448건의 산불이 발생하였다. 특히, 전체 산불발생건수의 약 94%가 봄·가을철 건조계절에 동시다발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는 국가적인 산림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불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9년간 발생한 건조계절 산불을 1990년대와 2000년대로 나누어 순기에 따른 각 시군별 산불발생빈도의 시공간적 패턴을 GIS로 분석 후 1990년대 대비 2000년대의 순기별 산불발생빈도 변화 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가장 높은 산불발생빈도를 나타낸 순기가 4월 초순으로 같았지만 이에 대한 지역별 산불발생빈도가 한반도 서쪽인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대전에서 27건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호남 및 인천지역에서 10건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강원 홍천에서는 4월 하순에 최대 12건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기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산불에 대한 지역별 맞춤형 산불방지대책 수립이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For the period between 1991 and 2009, the annual average of 448 forest fires occurred in Korea. Above all, approximately 94% of the total fires frequently occurred during the spring and fall seasons. Therefore, we need to minimize the damage of forest fire and manage them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for the frequency of forest fire occurrences by each city and gun during dry season between 1990s and 2000s using GIS. Then we compar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forest fire occurrence by ten-day intervals in 2000s with that in 1990s. As a result of analysis, early April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forest fire occurrence in both 1990s and 2000s. Compared to the 1990s and 2000s, the regional change of forest fire showed the most frequent fire events around Chungcheong province. Especially extra 27 fires increased in Daejeon city, and the second most frequent fire had more than 10 fires in Jeolla province and Incheon. However, the number of fire frequency decreased by 12 fires at the end of April in Hongcheon-gun(the province of Gangwon). This is the largest drop over the study period. We consider that this paper will utilize usefully to establish regional counterplan for forest fire prevention by understanding regional forest fire patterns from seasonal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