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대 그리스와 하이데거의 사유에서선포와 개시의 해석학

        윤병렬 한국하이데거학회 2005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12

        Die Abhandlung geht es um die altgriechischen und hei- deggerschen Hermeneutik. Diese Hermeneutik behält aber die Funktion der Verkündigung und Eröffnung. Die altgrie- chische hermeneutike kann man aber heutzutage weder verwirklichen noch erleben, weil man heutzutage weder Hermes noch Götterspruch(bzw. Orakelspruch) erfahren. Die Hermeneutik, die verkündende und eröffnende Funktion hat, hat aber Heidegger durch sein Seinsdenken wieder auf die Bühne gehoben und lebendig gemacht. Den Boden dieser Hermeneutik findet Heidegger in der Welt der Dichtung, Sprachphilosophie, und dem Kunstwerk. Auf dem Wege zur verkündene hermeneutike, insofern darin phonetischer Cha- rakter der Sprache inbesessen ist, schauen wir Derridas Kritik gegen den Phonozentrismus. Aber Verkündigung ist keineswegs eine blosse phone. 이 글은 인류의 철학적 유산이라고 할 만큼 소중한 고대 그리스의 선포와 개시의 헤르메노이티케(hermeneutike)를 하이데거가 자신의 존재사유를 통하여 재발견하고 재창조한 사실을 밝힌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적 헤르메노이티케를 오늘날 구현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것은 헤르메스의 개시도 신탁의 선포도 들려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존재사유를 통하여 선포와 개시의 ‘헤르메노이에인’을 되살리고 있는데, 이러한 ‘헤르메노이에인’의 재발견과 재창조를 통하여 그의 심원한 해석학과 존재론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해석학에 이르는 과정에는 헤르메노이에인의 ‘선포’에 음성언어적 요소가 있음을 검토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포가 데리다의 “음성중심주의”에 대한 비판과는 별개의 것임을, 더욱이 이를 문자중심주의로 대체하려는 데리다의 주장이 온당하지 않음을 고찰해보았다.

      • KCI등재

        『나무꾼과 선녀』에서의 종교현상학

        윤병렬 한국현상학회 200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18 No.-

        이 논문에서는 신화의 형태로 전래된 동화 『나무꾼과 선녀』 속에 들어 있는 철학적 의미를 해석해보고, 또 이를 바탕으로 종교현상학적인 관계와 교류의 아프리오리를 밝혀, 새로운 시각에서 종교현상학적 의미와 해석을 도출해내려는 의도를 갖고있다. 또한 뭐토스에서 로고스로 지향하는 전통적 철학과 과학주의의 태도에서 비과학적인 것으로 경멸되었던 신화의 현대적 의미와 가치를 명백하게 부각시키는 시도도 들어 있다. 우선 『나무꾼과 선녀』가 우리의 상식과는 달리 놀랄 만한 철학적(형이상학적이고 존재론적인)인 의미를 함의하고 있음을 목격한다. 그것은 철학과 인생의 궁극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또한 어떤 특정한 형식으로 그에 대해 응답하고 있기 때문이다. 초월적인 존재자와의 만남과 교류며 또 이러한 단계를 넘어 양자(인간과 초인간)가 새로운 지평을 열고서 비일상적이고 전적으로 다른 세계를 구축하는 - 그래서 인생의 궁극적이고 종말적인 것(das Eschatologisches)에 깊숙이 관련되어 있으면서 이 문제에 응답하는 - 『나무꾼과 선녀』는 “종교현상학”의 훌륭하고 독특한 모범(Paradeigma)을 보여주고 있다. 궁극적이고 종말적인 사건과 연루된 “관계”와 교류는 『나무꾼과 선녀』의 종교현상학 적이고 형이상학적인 특정으로 여겨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플라톤과 하이데거 및 고구려의 고분 벽화가 표명한 ‘사방’으로서의 코스모스

        윤병렬 한국하이데거학회 200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10

        Diese Abhandlung handelt es sich um das Denken des Kosmos bei Platon, Heidegger und alttuemlichen Kogureanern. Alttuemliche Kogurea hat aber dieses Denken in dem Freskobild der alten Graeber(UNESCO registrierte weltliche Kultur-Erbguetter) geaeussert. Der Kosmos ist bei diesen drei Positionen das Totale(to Holon) und das Ganze(ta Panta), und zwar ist er als "Geviert"(Himmel und Erde, Goetter und Mensch) dargestellt. Dazu ist dieser Kosmos nicht ein blosses Ding(oder gesamelte Dinge), sondern ein organisches Lebewesen(vor allem wurde er bei den alten Griechen fuer goetterlich gehalten). Als das "Geviert" spielt der Kosmos miteinander das Spiegel-spiel. Das Spiegel-spiel des Kosmos bei alttuemlichen Kogureanern ist fuer unendlich eingehalten. Der Mensch muesse dabei auch unsterlich sein, insofern er ein Partner dieses "Gevierts" ist. Die Kogureaner hatten den Menschen als unsterblich aufgefasst. Der Mensch wird nach dem irdischen Tode ein Shin-sun(神仙: ein uebernatuerliches unsterbliches Lebewesen) und kehrt zurueck zu dem himmelischen Heimatland. Dadurch haelt der Mensch seine Topologie als ein Partner des uebrigen "Gevierts". Die Unsterblichkeit des Menschen, das Leben des Menschen auf dem ewigen himmelischen Heimatland ist in dem Freskobild der alten kogureanischen Graeber so lebendig dargestellt. Die Unsterblichkeit des Menschen ist dabei wie bei den meisterhaften Philosophen(Platon, Kant usw.) eine der "Grundprobleme der Philosophie". 이 글의 목적은 플라톤과 하이데거의 철학 및 고구려 고분 벽화에 드러난 코스모스에 대한 사유를 파악하는 것이다. 동서양에서 코스모스를 총체로 이해하고 ‘사방’의 거울-놀이로 표현한 것에 주목한다. 고대 한국인이 파악한 코스모스의 영원한 ‘거울-놀이’에는 인간의 위상이 크게 부각된 데에서 하이데거의 논의와는 다소 차이를 드러낸다. 이 외에도 고분 벽화에 내포된 불멸사상을 통해 한국의 고대 철학을 조명해보려는 시도도 들어있다.

      • KCI등재

        왕오천축국전 의 행간에서 읽는 혜초의 기행문학과 철학 ―하이데거의 현사실성의 해석학과 존재사유를 중심으로

        윤병렬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2 철학탐구 Vol.65 No.-

        Hyecho’s life and his Wangocheonchukgukjeon (‘An account of travel to the five Indian kingdoms’) stir up nearly shocking interest. To begin with, it is marvelous that Hyecho set out on a journey of learning as a child in 719 CE and that he started out for ‘Cheonchukguk (India)’ and walked on two legs for nearly four years, completing an audacious pilgrimage through a number of (forty) countries not only in India but also in the region bordering Western China and Central Asia. A factic travel that braves the world is deeply connected to the philosophy of the anti-metaphysical experience by human Dasein as shown in Heidegger’s early thinking. Through his traveling, thinking, praying, worrying, and realizing, Hyecho must have obtained the experience of existence. But most of the research on Hyecho and Wangocheonchukgukjeon focuses on his biography, travelogues, the route of his travel, and the contemporary geographical information among others and remains quite meager in terms of investigation into his philosophy. Accordingly, this study revisits Hyecho’s journey in search of the truth and travelogues by enlarging on the Heideggerian thought about Being. Specifically, the study relates Hyecho’s experience of travels grounded in facticity,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direct experience, and his experience in traveling to the four holy places and Buddhist stupas, to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the Greek temple. However, Hyecho’s travel was carried out in search of the truth, toward his enlightenment instead of various Beings. In this light, Hyecho is believed to have experienced the ekstatic (ekstatisch) thinking that involved the transcending of the world of Beings and standing in the middle of Being. Of course, Wangocheonchukgukjeon is not a philosophical text based on logical arguments. But there is a literary and philosophical area to read and interpret, and it can be recognized that such interpretation is not a guess beyond rationality, as if Kant can build universal validity by “sensus communis” in the Criticism of Judgment. 혜초의 행적과 그의 왕오천축국전 은 그야말로 하나의 충격에 가까울 정도로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우선 그가 서기 719년 어린 소년의 나이로 당나라로 배움의 길을 떠난 것과 또 곧 이어 천축국(인도)으로 떠나 거의 4년에 걸쳐 두 발로 걸어 천축국뿐만 아니라 서역과 중앙아시아의 수많은 나라들(40개국)을 꿰뚫는 순례여행을 감행한 것이 경탄스럽다. 세상과 맞부딪치는 현사실적인 여행은 인간 현존재의 실존적인 경험과 깊이 관련된다. 여행하고 사유하며, 기도하고 염려하며 깨달음을 향한 행보에서 그는 크고 작은 깨달음과 일상세계를 초월하는 존재경험을 체득했을 것이다. 그런데 혜초와 그의 왕오천축국전 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그에 대한 전기나 기행문 및 기행의 행로, 당대의 지리적 상황 등에 집중되어 있고, 문학적・철학적 탐구에는 빈약한 상태이다. 필자는 이 소고(小考)에서 혜초의 구법여행과 기행문을 하이데거의 현사실성의 해석학과 존재사유에 입각하여 재조명해보았다. 또한 혜초의 4대 성지여행과 불탑들에 대한 여행경험을 하이데거의 그리스 신전 해석과 관련지어보았다. 혜초의 여행목적은 이런저런 존재자를 목격하는 것이 아니라 깨달음을 향한 구법(求法)여행이기에, 그의 행보는 존재자의 세계에 구속되지 않는 여행이었다. 왕오천축국전 은 물론 논증을 바탕으로한 철학적 텍스트는 아니다. 그러나 문학적⋅철학적으로 읽고 해석할 수 있는 영역이 있으며, 그러한 해석이 ―마치 칸트가 판단력 비판 에서 공통감(sensus communis)에 의해 보편타당성을 구축할 수 있는 것처럼― 결코 합리성을 벗어난 추측이 아님을 인식할 수 있다.

      • 노자적인 것과 비-노자적인 것 : 도올 김용옥의「노자와 21세기」에 대한 반론

        윤병렬 안양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人文科學硏究 Vol.8 No.-

        Laostse und 21. Jahrhundert ist ein Titel sowohl eines Buches als auch der Sendung, durch den der Philosoph Yong-Oak Kim popular geworden war. In der Zeit unseres Denkarmutes hat jener einerseit einen sensationellen Echo hervorgerufen. Andererseit zeigt sich jedoch jene Laotse und 21. Jahrhundert viel Problematisches, und zwar das Unlaotseische. Die Abhandlung Laotseisch und Unlaotseisch - eine Auseinadersetzung mit dem Philosoph Yong-Oak Kim versucht jedoch zu zeigen, was in Laotse und 21. Jahrhundert Unlaotseisches inbegriffen ist. Der Verfasser Y.O. Kim legt die Akzent auf seine Autolaritaet. Ausserdem erzaehlt er zu viele private Dinge und Ausserphilosophisches, das fast keinen Zusammenhang mit dem Text(bzw. Denken) Laotses einschliesst. Was aber noch Problematisches ist, haelt er das Tao fuer nicht ewig. Naemlich behauptet er, dass das Tao nur beweglich ist. Beim Tao gebe es dann nicht ewiges Sein. Dagegen zeigt die Abhandlung Laotseisch und Unlaotseisch …, dass die Seinswise des Tao nicht einfaelltig ist. Keinesfalls faellt aber das Tao ins Vergehen runter. Denn das Tao existiert nach Laotse vor Himmel und Erde und vergeht nicht wie die Dinge. Das Tao Laotses ist unwandelbar in allem Wandel! Die Abhandlung Laotseisch und Unlaotseisch … zeigt noch dazu gegen die Behauptung Y.O. Kims, dass man das Denken Laotses nicht einfach fuer "anti-intellectualism" halton muss. Ausserdem hat der Verfasser Kim die Abneigung gegen die europaeische Philosophie. Aber weil sein Argument am meisten dafuer nicht rechtfertigt und fast grundlos ist, und weil er die andere Denkmoeglichkeit und Pluralitaet nicht offen akzeptiert, fuehrt sein Argument das Denken zwischen Osten und Westen parteis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