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론 기반 대학 융합교양교육 설계 및 운영 전략 탐색 : S대학 융합 주제 교양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윤미희 ( Yun Mihee ),오헌석 ( Oh Heon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토론 기반 대학 융합교양교육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문·사회계열, 이공계열 교수들이 참여하여 교과목 차원에서의 융합교육과정을 구성 및 운영한 S대학교의 토론 기반 융합교양교과목 4개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담당 교수와 조교를 면담하는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개방 코딩과 범주화 과정을 거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론 기반 융합교양교육의 목표는 융합적 사고력을 육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수자들은 주제 중심으로 학문 내용을 화학적으로 결합한 교육 모듈 뿐만 아니라 각 학문별 이슈를 연결하여 토론하는 종합토론을 설계하고 운영하였다. 둘째,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수, 조교, 학부생 세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육과정을 조정했다. 셋째, 토론 파트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하나의 관점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 상황을 토론 주제로 선정하였으며, 토론 퍼실리테이터로서 조교의 역량을 강화했다. 또한 배경 정보가 다양한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토론 그룹을 구성하고, 학습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개방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동일한 이슈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전공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이 각자 자신의 전공학문의 관점을 소개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관점이 공존할 수 있음을 인지하도록 했으며, 교수자들은 직접 융합연구자들이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방식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융합적 사고력 및 소통력을 증진할 수 있었고, 교수자들의 융합 마인드도 배양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대학 융합교육이 확산되도록 하기 위해서 교수자들의 융합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effective discussion-based college interdisciplinary liberal education. Thereby,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curricula of four discussion-based interdisciplinary liberal courses at S University, where professor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science chemically combine the contents of each discipline, and interviewing the professors and teaching assistants. The results of the open coding and categorization process using the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goal of discussion-based interdisciplinary liberal education is to foster convergent thinking. To effectively foster convergent thinking, instructors designed education modules that chemically combined the contents of the disciplines around a theme, and comprehensive discussion section. In addition, the curriculum was not implemented as initially designed, but was finalized by making adjustments based on the opinions of three groups: professors, teaching assistants, and students. To foster convergent thinking, professors selected problematic situations that could not be solved from a single point of view as discussion topics and strengthened the capabilities of teaching assistants as discussion facilitators. The instructors also organized discussion groups with diverse members and respected their opinions, thus creating an open atmosphere. By introducing different disciplinary perspectives on the same issue, the students could become aware of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viewpoints, and the instructors were shown debating to demonstrate how convergence researchers communicate effectively. This helped learners improve their convergent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also led to a change in the way instruct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onvergent mindset. In future,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to secure the convergent capabilities of instructors.

      • KCI등재

        코로나19 관련 평생교육연구의 주요 주제 및 이슈 분석

        최선주 ( Seonjoo Choi ),윤미희 ( Mihee Yu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이 논문은 평생교육 분야 COVID-19 연구의 핵심 주제와 이슈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0년과 2021년에 출판된 코로나 관련 평생교육 학술 논문(KCI, SCOPUS, SSCI 등재) 20편을 대상으로 주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드러난 3가지 핵심 주제는 불평등 심화와 평생교육의 대응, 팬데믹 시대의 평생학습 재규정, 디지털 전환의 양면성이다. 주제별로 2가지 이슈가 도출되었고, 총 6개의 이슈는 다음과 같다. (1) 건강 불평등에 대한 인식과 재난 대응 도구로서의 평생교육, (2) 교육훈련 기회의 불평등과 마태효과 심화, (3) 무형식학습 및 전환학습 양상, (4) 지역사회의 회복탄력성과 평생학습, (5) 평생교육 실천가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과도한 강조, (6) 디지털 리터러시와 소속의 정치학이다. 결론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사회에서 평생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평생교육 연구자들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key themes and issues of COVID-19-related research in lifelong education. 20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20 and 2021 were analyzed by thematic analysis method. The articles were indexed in KCI, SCOPUS or SSCI. The analysis revealed three key themes: the deepening of inequality and the response; the redefinition of lifelong learning during the pandemic; and the ambivalence about digital transformation. The following six issues were identified: (i) awareness of health inequality and lifelong education as a disaster response tool; (ii) Matthew effect; (iii) promoting informal and transformative learning; (iv) resilience of the local community; (v) overemphasis on digital skills; and (vi) digital literacy creating politics of belonging. Finally,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post-coronavirus society and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researcher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