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몬머스 반란과 세지무어 전투(1685)의 재해석: 근대 영국 육군 발달사의 관점에서

        윤덕희 영국사학회 2023 영국연구 Vol.50 No.-

        전문화된 근대 군대로서 영국 육군의 창설은 오래도록 윌리엄 3세의 업적이었다고 여겨져 왔다. 전통적인 관점은 명예혁명으로 집권한 윌리엄 3세에 의해 네덜란드의 최신 군사 이론과 제도가 도입되어, 유럽 대륙의 ‘군사혁명’으로부터 유리되었던 스튜어트 군대를 일신하였다고 보았다. 본고는 제임스 2세 치세에 영국 육군에 일어난 변화를 분석함으로서 이러한 해석에 이의를 제기한다. 제임스 2세의 군대는 그동안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지만, 많은 면에서 이후 근대 영국군의 발전에 핵심적인 기틀을 놓은 시대였다. 본고는 제임스 2세 치세에 영국군이 치른 유일한 실전인 몬머스 반란의 군사적 의의를 재검토함으로서 당시 영국군이 제도적, 군사교리적인 측면 뿐 아니라 실전 수행 능력에 있어서도 전문화된 근대 군대의 모습을 충실히 갖춰나가고 있었음을 주장한다. William III has long been credited for the creation of modern, professional English army. It has been commonly argued that the Tudor and Stuart army was largely alienated from the European ‘military revolution’, until William III ‘modernised’ it by adopting Dutch military practice after the ‘Glorious’ Revolution of 1688. This article, however, suggests that the origin of truly professional English army must trace back to the initiation of James II. His significant achievement in transforming a small police force he inherited from his brother, Charles II, into a regular army comparable to its continental counterparts has been unfairly forgotten mainly due to later Protestant propaganda against this Briatin’s last Catholic king. However, it was during James II’s reign that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English army was first established and its tactical doctrine was updated. The army he created proved displayed its professionalism and operational capacity when confronted the Duke of Monmouth’s rebel army, which was a more significant threat than the popular epithet the ‘Pitchfork Rebellion’ suggests.

      • KCI등재
      • KCI등재

        17세기 잉글랜드군 전술 교리의 재검토: 스튜어트 시대 잉글랜드는 군사적으로 낙후되었는가

        윤덕희 영국사학회 2022 영국연구 Vol.47 No.-

        War was a central concern for the early-modern state, and seventeenth-century England was no exception. Regular conflict, combined with the growth of literary community, stimulated a boom of publication of numerous books and treatises related to military affairs. However, this phenomenon has often been interpreted in a negative light, with a number of historians arguing that English writings on war were either based on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authority of ancient Greek and Roman authors, or on anachronistic ‘chivalric revival’. This, according to such an interpretation, resulted in the alienation of England from the Continental development and thus made England a military backwater isolated from the European ‘Military Revolution’. This paper will suggest that the intellectual milieu of early-modern England concerning warfare was far more vibrant than it has often been portrayed. Many English military writings offered a cautious but critical approach towards ancient and contemporaneous European military authorities, far from uncritical acceptance of them. While many English writers were open to their influences, they applied such influences to the existing military tradition of England in a gradual and eclectic manner. In this sense, England was very much a part of contemporary European-wide military culture. 16-17세기 유럽에 전쟁이 격화되면서 각국에서 전쟁과 군사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잉글랜드에서도 이 시기에 많은 군사서적들이 출판되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관점에서 이 시기 잉글랜드의 군사 서적들과 거기에서 드러나는 군사 사상은 복고적이었으며 유럽 대륙에서 일어나던 ‘군사 혁명’과 유리되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이러한 복고주의가 잉글랜드의 군사와 기술 발전을 가로막았으며, 이러한 장애는 17세기 말, 명예혁명을 전후해서 유럽 대륙의 선진 사상이 본격적으로 유입됨으로서야 해소될 수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본고는 17세기 잉글랜드에서 출간되었으며 널리 읽힌 군사 서적들을 검토함으로서 이러한 기존 주장을 반박하고자 한다. 당시 잉글랜드에서 가장 널리 읽힌 군사 서적들이 취한 태도는 복고주의와는 거리가 멀었다. 이 책들의 저자들은 대부분 유럽 대륙에서 풍부한 실전 경험을 쌓은 군인들이었으며, 당시 전쟁의 급변하는 현실을 잘 알고 있었다. 이들은 잉글랜드의 전략적, 전술적 현실에 맞추어 새로운 이론과 과거의 교훈을 조화시키고자 하였으며, 그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잉글랜드는 당시 유럽 군사문화의 확고한 일원이었다.

      • KCI등재

        동유럽의 복지국가 개혁에 관한 연구

        윤덕희 한국유럽학회 2011 유럽연구 Vol.29 No.2

        In east european countries, welfare state reforms has been conducted around the external dynamics of globalization and europeanization as well as in the pressure of internal social relations. The reform of soviet type of 'social state' which aims for combating serious financial crisis has been carried in many countries by the 'left' which came to power in the mid-1990s. East European welfare state reforms discussed in this article have the features as follows:First, the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personal income and Social Security benefits allowed the renewal of active citizenship of east european people and the change of the soviet type of society. Second, despite the reform process was largely unclear and further 'undemocratic,' east european new welfare system reflets the broad social consensus. In other words, the result of reforms represents the balance between the national interest groups and the transnational community representatives ('epistemic community). Third, despite the restrictions and influences from globalization and europeanization in most countries, reforms took place within the traditions of each country, and universal guarantee of communist era was largely maintained. Fourth, as result any particular model did not play a crucial role in the formation of a new system, In most countries, the continuity of social policy coupled with important renovation made a wide variety of types of welfare system. However, it does not mean the creation of the 'East European model.' In Eastern Europe existing models of welfare system have now richer variants. 동유럽 국가들의 복지국가 개혁은 세계화와 유럽화라는 외부적 역동성과 각국 내부의 사회적 관계라는 두 개의 큰 압력 속에서 진행되었다. 심각한 재정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소련식 복지국가의 개혁은 많은 나라에서 1990년대 중반 집권한 ‘좌파’정권에 의해 추진되었다. 이 글에서 논의된 동유럽 복지국가 개혁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소득과 사회보장 급여 사이에 부재했던 연관성이 수립됨으로써 능동적 시민의 복원을 통한 소련식 체제의 전환이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동유럽의 개혁은 그 채택과정이 대체로 불분명하고 나아가‘비민주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폭넓은 사회적 합의의 기반위에 수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개혁의 결과는 구 시대의 균형을 대표하는 이익 그룹들과 국가행정기관 대표들과 연결되어 있는 초국가적인 공동체(인식공동체)들 간의 갈등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세계화와 유럽화의 영향과 제약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나라에서 개혁들이 각 국가의 전통 내에서 이루어졌으며 구 시대의 보편적 보장을 대체로 유지하였다. 또한 개혁과정에서 국제기구과 EU를 매개로 가해진 강제조건들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각 국가의 고유한 체제전환 경로가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이것이 국가들 간 정책의 다양성을 가져왔다. 넷째, 따라서 새로운 체제의 형성에 어떤 특정한 모델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사회정책의 연속성과 중요한 혁신이 결합하여 매우 다양한 복지체제 유형들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는‘동유럽 식 모델’의 수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으며 기존의 다양한 모델들이 더 풍부한 변형을 갖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체코의 ‘경영주의 포퓰리즘(Managerial populism)’ 연구

        윤덕희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1

        This article analyzes the populist politics of Babiš and ANO in the Czech Republic from the perspective of ‘managerial populism.’ And this article examines how it is acting as a risk factor for Czech democracy. ‘Managerial populism’ is an ideology that suggests governance based on the rationality and efficiency of management. At the same time, it is a populist political strategy that appeals for popular support by combining the rhetoric of the people (‘ordinary people’) and the rhetoric of business expertise. Babiš' managerial populism functions as a political strategy that deprives the traditional left-right political parties, political opponents, and civil society of their legitimacy. And it is used as a means of ignoring the democratic political process and democratic representation. Babiš' populist politics demands people to immerse themselves in everyday life and promotes political indifference and apathy. Furthermore, it is used to avoid corruption charges and to suppress civil resistance. Thus, Babiš' managerial populism is actually working in the direction of regressing Czech democracy. 이 글은 체코에서 급부상한 바비스와 ANO의 포퓰리스트 정치를 ‘경영주의 포퓰리즘(managerial populism)’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경영주의 포퓰리즘’은 경영의 합리성과 효율성에 의거한 통치를 제시하는 이데올로기이다. 동시에 인민(‘보통사람들’) 레토릭과 비지니스적 전문성 레토릭을 결합하여 대중적 지지를 호소하는 포퓰리즘 정치전략이다. 이 글의 목적은 체코의 신생 민주주의에서 ‘경영주의 포퓰리즘’이 언제, 왜 나타났는지, 어떤 이데올로기와 전략으로 정치적 성공을 이룰 수 있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체코의 민주주의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체코 포퓰리즘은 1989년 이전 공산정권에 의해 완성된 정치기술의 유산이다. 또한 세계화적 통합의 역동성에 의해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정당성이 훼손되었을 때 급부상하게 되었다. 바비스의 경영주의 포퓰리즘은 전통적인 좌-우 정당들과 자신의 정적들, 그리고 시민사회의 정당성을 빼앗는 정치전략으로 기능한다, 또한 민주적 정치과정과 민주적 대표성을 외면하는 수단으로 사용됨으로써 대의민주주의 정치모델을 공허한 것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포퓰리즘 정치는 국민들에게 일상의 삶에 몰두할 것을 요구하고 정치적 무관심과 냉담을 조장한다. 나아가 자신의 부패혐의를 피하고 시민적 저항을 억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바비스의 포퓰리즘 정치는 실제로 체코의 민주주의를 퇴보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

      • KCI등재

        유럽통합에 관한 중·동유럽 여론 연구: 폴란드, 헝가리, 체코를 중심으로

        윤덕희 한국유럽학회 2008 유럽연구 Vol.26 No.3

        This analysis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public attitudes of the european integration in the three central and east european countries: Poland, Hungary, Czech Republic. The study uses different data from European commission as well as those published by CEE countries. We tried to use reliable time series data available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cause the change over time in public attitudes about european integration. Trying to expand the level and the scope of influential factors, this study suggests some conclusions as follow. Firstly, from the utilitarian view, besides the dominant explanations of individual socio-economic characters, we drew some important factors at macro level: public expectation of national economic performance; perception on outcome of system change; perspective of EU membership, eastern enlargement policy of EU. These factors explain the diversity of public opinion existing among CEE nations. Secondly, opinion surveys tends to underestimate importance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factors in evaluation of public opinion by passing over the effects of social-political interaction. Th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as well as the inclination about socialist system effect public attitude on EU membership. Thirdly, this study examines the way in which political parties structured the european issues in national political debates and how they influenced the public opinion about european integration. In East and Central Europe there exists ‘european conflict’ regardless of traditional ideological division, and popular attitudes regarding EU membership are strongly related to the political partisanship rather than to traditional left-right attachment. Finally, partisanship factor in forming public opinion about european integration offsets the socio-economic factor effect underlined by utilitarian view. 이 글은 중·동유럽에서 유럽통합에 관한 여론은 체제전환과 유럽통합 과정 속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형성, 변화되어 왔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 EU 집행위원회와 동유럽 각국에서 발표한 다양한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글은 기존의 동유럽 여론연구와 몇 가지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첫째, 유럽통합에 관한 중·동유럽 여론을 국내정치 상황과 마찬가지로 아직 생성되고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둘째, 보다 많은 데이터를 통해 이 지역 여론의 국가적 다양성과 시차적 변화를 규명하고 이러한 차이를 가져오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였다. 셋째, 여론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의 범위를 가능한 확대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첫째,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기존의 연구결과들에서 강조된 개인적인 사회·경제적 특성뿐만 아니라 거시적(국가적) 차원에서도 경제적 기대, 체제변화의 성과에 대한 인식, EU가입 전망 및 EU의 동유럽 확대정책 등이 여론에 영향을 미칠 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은 특히 동유럽 국가들 사이에 존재하는 여론의 다양성을 설명해주고 있다. 둘째, 중·동유럽 여론조사가 사회적 변수와 정치적 요소 간 상호작용의 효과를 간과함으로써 EU가입 여론에 있어서 정치적, 이념적 고려의 비중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즉, 시장경제의 원칙 또는 사회주의에 우호적인가 아닌가에 따라 유럽통합에 대한 입장이 달라질 수 있다. 셋째, 정당들이 국내정치 논쟁에서 어떻게 유럽통합 문제를 구성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여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동유럽 정당정치에서는 전통적인 이념적 분열 또는 좌·우 갈등과는 별개로 ‘유럽적’ 갈등이 존재하며 국민들은 유럽문제에 있어서 이념 자체보다는 정당 충성심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EU에 관한 여론 형성에 있어 정파적 요인은 실용주의적 관점이 강조했던 사회경제적 기대 요인의 영향을 상쇄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는 유럽통합 연구에 있어서 동유럽 여론에 관한 연구의 비중이 상당히 작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이 분야 연구가 고려해야 할 다양한 분석 수준과 연구 틀을 제공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