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양 선교사가 주도한 근대 한국학의 발명과 국제화, 1870년대-1890년대

        육영수 한국역사민속학회 2018 역사민속학 Vol.0 No.55

        The article aims to critically comprehend the origins, the processes, and the effects of modern Korean studies, which had been primarily managed and manipulated by Western missionaries during the second half the 19th century. Relying on Michel Foucault’s concept of discourse (=knowledge/power), the article claims that Western missionaries invented, accumulated, and internationalized Korean studies in the guise of objective and value-neutral knowledge in order to justify and legitimate the implantation of “Christian Civilization” on Korean soil and mind. In pursuit of this thesis the author tries to disclose the intimate and indispensabl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production and colonial matrix of power. The main body of the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Part One keeps trace of French Catholic priests’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of Korean studies for the purpose of converting uncivilized-superstitious Koreans into royal Christians. The works of Antoine Daveluy, Charles Dallet, and Felix Ridel are analysed. Part Two compares John Ross (History of Corea, 1879) with William Griffis (Corea the Hermit Nation, 1882) to examine how Protestant missionaries contributed to solidifying major framework of Korean studies. Part Three focuses on The Korean Repository, the first English monthly period, in which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refined, upgraded, maneuvered, and most of all internationalized the encyclopedic knowledges on Korean civilization. The author evaluates that The Korean Repository had completed the First Wave (Cycle) of Korean Studies and prepared/anticipated for the arrival of the Second Wave of Korean Studies, which was to be launched by Korean nationalist schola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The author tentatively concludes the article by proposing a radical and “dangerous” hypothesis as followings: 1) the discourse on Korean civilization that emphasizes the negative & de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y and people was not a conspiracy of Japanese imperialism but a collaborated product of French Catholic and mostly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2) Judging from this perspective, the author is convinced that the challenging task for eradicating colonial heritages in the post-colonial era should begin, instead of repeatedly blaming Japanese imperialism for enforcing the colonial historiography, by shedding a new light on the hidden. unintended, and paradoxical legacy of Western missionary works accomplished under the excuse of promoting Christian Civilization in Korea. Needless to say, the author welcomes more comparative & transnational case studies written either to dispute or confirm his provocative argument. 이 논문은 19세기 후반에 서양 선교사들이 주도했던 한국학의 발명․전파․국제화 과정과 이 작업에 동반된 제국주의 의지와 욕망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식=권력’이라는 등식으로 압축되는 푸코의 담론이론에 기대어 서양선교사들이 실증적인 사실탐구라는 명분으로 창출했던 근대 한국학이 식민지배에 대한 피식민지배자들의 자발적인 동의를 확보하려는 헤게모니 전략에 다름이 아니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조선에 대한 지식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창출되는 지점과 교환․소비되는 경로 및 전유․재생산되는 사이클 등에 주목하여 각 단계마다 투입되는 ‘식민지 계몽주의’가 지향하는 ‘힘에의 의지’를 폭로하려는 것이다. ‘조선을 아는 것은 조선을 지배하는 것이다.’라는 명제를 실천하여 서양 선교사들이 엮고 지휘했던 담론의 역사를 서술함으로써 지식생산과 제국권력의 분리할 수 없는 운명을 파헤치려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문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문 앞부분에서는 가톨릭 선교사들이 가장 먼저 그렸던 한국학의 윤곽을 더듬기 위해 다블뤼․달레․리델 신부의 글에 주목한다. 서양어로 서술된 최초의 한국역사문화 소개서인 샤를 달레의 『한국천주교사』(1874년)가 주요 분석대상이다. 다음으로는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이 건축했던 한국학의 형식과 내용을 관찰한다. 존 로스의 『한국사』(1879년)와 그리피스의 『은자의 나라 한국』(1882년)을 비교 분석하여 신교 선교사들이 쌓아올린 한국학의 골격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 끝에서는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이 출간했던 최초의 영문 월간지인 『코리안 리포지터리』에 초점을 맞춰 달레-로스-그리피스가 초벌로 스케치했던 한국학이 더욱 정교하고 치밀한 담론으로 승격되는 공정을 추적한다. ‘서양 선교사들은 조선의 전통과 제도를 어떻게 인식했을까?’라는 기존의 질문들을 되풀이하는 대신에 ‘서양 선교사들은 어떤 의도와 세계관을 가지고 한국의 역사문화와 그 성격을 특정한 방식과 콘텐츠로 창출했는가?’라는 새로운 질문을 제기하고 그 대답을 탐색해보려는 것이 본문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주제의식이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 필자는 몇 가지 잠정적인 결론에 이른다. 1) 조선 식민지를 정당화하기 위해 조선역사의 정체성(停滯性), 지배계층의 무능력, 분열적인 지역주의 등을 강조했던 ‘식민사관’은 일본제국에 지적 소유권이 있다기보다는 19세기 후반 프랑스 가톨릭 신부들과 미국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이 공동으로 만든 담론에서 기원․파생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서양문명이 먼저 경험했던 근대화 운동의 동아시아 우등생임을 자부했던 메이지 일본정부가 서구에 대한 자신의 열등적인 자아상을 식민지 조선에 투사(投射)하여 ‘메이드-인-웨스트(Made in the West) 한국학’을 식민지 운영에 ‘쓸모 있는 한국학’으로 변주하여 제국주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적인 무기로 (재)활용했다는 것이 필자가 조심스럽게 제기하는 가설이다. 그렇다면, 2) 포스트식민시대를 사는 오늘 우리가 진정으로 식민사관을 극복 혹은 횡단하기 위해서는 일본제국주의의 악랄함을 반복적으로 비난하는 대신에, 서양 선교사들이 조선에서 헌신적으로 실행했던 ‘문명화 사명’과 서구중심적인 진보사관 및 인식론적 식민주의 사이의 은밀하고도 의도하...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트랜스내셔널 지성사 다시 쓰기: 식민지 시기 ‘한국적 니체’의 생애연구, 1920〜1945

        육영수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5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4

        Friedrich Nietzsche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nd controversial modern thinkers in Europe. As an intellectual idol and the central symbol of the post-Christian and post-Modern era, Nietzsche was widely consumed in East Asia at the turn of the Nineteenth century. A few Korean intellectuals also became ardent followers of Zarathustra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In order to reappraising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legacies of Korean intellectuals’ encounter with Nietzsche between 1920-1945, the paper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y had been Korean intellectuals attracted to this German prophet of extremity, and how had they appropriated and propagated Nietzschean philosophy for the purpose of reforming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thus modernizing colonialized Korea? How differently/commonly Japanese, Korean, Chinese intellectuals had received and perceived Nietzsche’s works and collectivel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East Asian discourse on Nietzsche? By answering these questions, the author intends to re/over-write an alternative transnational intellectual history based on the mode of ‘border thinking.’ 본 연구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양사상의 한국적 수용 및 전유과정과 그 지성사적 성격과 특징을 전 지구적(global)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을 기본목표로 한다. 특정 인물과 사상이 국경선을 넘나들며 얽히는 혼종성과 상호교류성에 주목하여 1920-1945년을 이 땅에서 살았던 ‘니체의 한국적 삶’을 재구성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 제기한 핵심적인 질문들을 다음과 같다. 니체 사상은 누구를 대상으로 전파되고 그 과정에서 ‘오리지널’ 사상은 식민시대 조선의 사상적 전통과 어떻게 굴절·충돌하는가? 조선지식인들은 그들이 직면했던 1920년대와 1930년대라는 각기 다른 역사적 콘텍스트에 비춰 ‘같은 제품’을 어떻게 다른 포장과 내용으로 재창출했는가? 20세기 전반 조선지식인들이 재구성했던 니체의 생애는 같은 시기 중국·일본 지식인들의 그것과 어떻게 구별되거나 공통적인가?이런 질문들에 대답을 모색함으로써 니체사상을 식민지 조선이라는 공간에 유폐시키는 대신, 일본·중국 지식인들과 교류·소통하면서 형성된 동아시아의 ‘엉킨 지성사’를 입체적으로 서술하기를 제안한다. 니체를 일국적(一國的) 경계로부터 탈영토화 시켜 근대 서양과 동아시아의 안팎을 왕래했던 디아스포라 유랑자로 재조명함으로써 ‘경계 사유’(border thinking)’에 입각한 트랜스내셔널 시대의 대안적인 지성사 서술에 도전해 보려는 것이다.

      • KCI등재

        미국-영국 선교사와 외교관이 주도한 근대한국학 전문화와 시스템 만들기, 1900-1940년: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Korean Branch 분석을 중심으로

        육영수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1

        The article aims to reappraise the characteristics and legacy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RASKB) and its official Journal,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in the historiography of modern Korean studies. By analysing its membership, interpreting the contents/subject-matters, and examining the new mode of writing strategies of the Transactions published from 1900 to 1940, the author is very convinced that both RASKB and Transactions had played a critical and indispensable role in professionalizing and systematizing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e Transactions, a forum dominated by British and American missionaries and diplomats, demonstrates the maturity of modern Korean studie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us standing at the apex of “the First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Imperial Japanese scholars imitated and appropriated the Western-made First Wave and had established “the First and Half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for the purpose of legitimizing colonialization of Korea. And “the Second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during the 1930s, which emphasized the Korean Studies by Koreans and for Koreans, was to a certain degree the extended and reinvented outcome founded on the previous two Waves. The author concludes that modern Korean studies is a hybrid (re)production of multiple nationalities and that transnational perspectives would shed an alternative light to disclose non-nationalist and post-colonial peculiarities of ‘Knowledge/Power’ usually known as ‘the discourse on Korea.’ 이 글은 영국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와 그 학술지가 1900-1940년 사이에 한국학 담론 창출과 전문화에 기여한 성과와 영향력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창기에 한국학을 주도했던 프랑스 선교사들이 퇴조하고 영국과 미국 선교사들이 한국학 담론을 지배했다. 둘째, 코리안 리포지터리 · 코리아 리뷰 와 비교하면 트랜잭션 은 참고문헌을 밝히고 이미지 자료를 활용하는 등 좀 더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학문적 포럼이었다. 셋째, 생태환경사와 같은 새로운 주제를 발굴하고 미래 한국학 학자를 키우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담당했다. 필자는 근대한국학의 계보를 객관적·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지식 네트워크의 트랜스내셔널 뒤엉킴에 특별히 주목할 것을 요청한다. 서양선교사들이 19세기말을 전후로 발명·국제화하고 20세기 초반에 심화했던 한국학의 제1의 물결, 일본제국이 한국의 식민지 통치를 정당화하고 피지배자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구하려는 의도로 재생산한 한국학의 제1.5 물결, 그 사이 공간에서 등장한 한국인의,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을 위한 한국학의 제2물결―이런 세 갈래 물결이 부딪히고 뒤섞이며 서로를 밀고 당기며 상승하여 한국학의 역동적인 무늬와 다양한 색채를 만들었다고 필자는 강조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