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 난소의 노화와 Mitochondrial DNA 결손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장병우(Byeung Woo Jang),유한기(Hna Ki Yu),박혜영(Hae Young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2

        목적 : 조직의 노화과정에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결손이 밀접한 관련이 있는바, 폐경 여성의 난소는 시기적으로 여성의 노화가 가속화하는 시간으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결손과 여성의 노화과정의 연관성을 보고자, 폐경을 전후한 여성 난소에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결손이 노화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폐경 전 여성 35례와 폐경 후 여성 17례에서 얻어진 난소, 자궁근종, 자궁근육 조직에 대하여 결손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부위에 대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고, 증폭된 시료에 대한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결손의 band를 확인하고, 그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결과 :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결손은 4977 bp결손과 3805 bp결손, 7150 bp결손, 5777 bp결손이 있었고 난소조직에서 4977 bp결손은 폐경 후 여성 난소에서 62.5%, 폐경 전 여성 난소에서 20.0%로 폐경 후 여성의 난소에서 높은 빈도의 양성율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4977 bp결손, 3805 bp결손, 7150 bp결손 및 5777 bp결손 모두 폐경 후 여성의 난소 조직에서 자궁근종 조직이나 자궁근육 조직에 비하여 높은 빈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결론 : common deletion으로 알려진 4,977 bp결손의 경우 폐경 후 여성의 난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805 bp결손, 7150 bp결손과 5777 bp결손은 모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결손위치이며, 그 중 5777 bp 결손은 한국인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많은 연구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되며, 본 연구 결과 폐경 후 여성의 난소에서 높은 빈도로 보여지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결손은 폐경과 관련하여 난소의 노화과정에 나타나는 원인인자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age-associated changes of mtDNA include nucleotide deletion, point mutations, as well as modifications. Age associated alterations of mtDNA occur in several different species; however, their physiological relevance remains unclear. The function of human ovary changes dramatically around the menopausal period. However, the mechanism of menopause and ovarian aging is not well understood. Thus, to study the regulatory mechanism of ovarian dysfunction by aging, the accumulation of mtDNA deletions in human ovaries from pre-menopausal and menopausal women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mtDNA deletions in myoma and myometriums of the same subjects. Method : Total DNA was extracted from these tissues, an part of mtDNA were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detailed locations of each of the deleted mtDNA regions were identified by sequencing. Result : Four types of mtDNA deletions were identified: a 4977 bp deletion, a 3805 bp deletion, a 7150 bp deletion, and a 5777 bp deletion. In ovaries, the occurrence of a 4977 bp deletion of mtDNA in menopausal wo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pre-menopausal women, i.e., 62.5% of that in menopausal women and 20.0% of that in pre-menopausal women. In menopausal women, the occurrence of all of those four mtDNA deletions identified in this study in ovaries was higher than that in myomas and myometriums. Conclusion : A 4977 bp deletion of mtDNA between the ATPase 8 and ND5 genes in ovaries can be related to ovarian aging, especially during menopause. A 4977 bp deletion in ovaries of menopausal women can be a usuful marker of natural ovarian aging and may have a relationship to dysfunction of the ovarian aging. Three other mtDNA deletions identified in this study, a 3809 bp deletion, 7150 bp deletion, and 5777 bp deletion, was newly reported. A 5777bp deletion was found in a large amount in Korean women and further studies about this racial specificity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