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전통 유학을 전복시키고, 유가의 전통을 발전시키자

        유청평 ( Qing Ping Liu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2 退溪學論叢 Vol.19 No.-

        본 연구는 원시유가와 신유가의 ``血親情理``를 비판하고 전통 유가의 특수주의 구조를 철저히 청산함으로써, 원래 유가 인본주의 입장 안에 내함되어 있는 보편주의 원칙에 근거하여 유가의 전통인 ``仁愛情理``의 정신을 홍양하는 后儒家를 구상하고자 하였다. 자아비판, 자아해체, 자아부정, 자아개선을 통하여 유가의 전통은 세계화와 다원화로 발전하는 시대적 분위기에 직면하여 지속적으로 보편적인 생명력을 발휘하고 아울러 향후 인류의 문화발전에 있어서 여타의 문화전통으로 대체할 수 없는 독특한 공헌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a critique of the Confucian and Neo-Confucian spirit of "consanguineous affection" and a deconstruction of their particularistic framework, this article tries to put forward a project of "Post-Confucianism," which insists on the universalistic spirit of "humane love" on the Confucian position of humanism and can make its characteristic and positive contribution to human culture in our time.

      • KCI등재

        유가(儒家)는 어떻게 "쓸모없음""(不能用)을 "쓸모있음"(흔受用)으로 바꿨나? - "충효를 모두 가질 수 없다"라는 곤경

        유청평 ( Qing Ping Liu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퇴계학논총 Vol.27 No.-

        유가는 역사적으로 대비되는 측면이 크게 존재해왔지만, 합리적으로 해석되지 못해왔다. 우선, 공맹(孔孟) 성현이 살던 시대에서도 “쓸모 없는”(不能用) 상태에 처해 있었다. 다른 한편, 한대(漢代) “독존유술”(獨尊儒術) 이후 이천 여 년 간 도덕 품격과 학문 지식 측면에서 공맹보다 못했던 무수한 유자들이 통치자의 중용을 받아왔다. 자세히 살펴보면, 이는 이론적으로 유가의 명운에 심각한 전환점이 발생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 또한 공맹유학과 순자ㆍ동중서(荀董) 유학이 “충효를 모두 가질 수 없다”라는 두 어려운 곤경을 처리해야 할 때 취했던 확연히 다른 두 가지 태도이기도 하다. 공맹은 비록 “효”(孝)와 “충”(忠)의 조화와 통일을 강조하였고, 더 나아가 “효를 옮겨 충으로 만든다”(移孝作忠)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양자가 충돌하는 상황에서는 자각적이든 비자각적이든 혈연 친정을 따르는 것이 근본적인 지위를 누릴 뿐만 아니라, “부모를 섬김이 크다”라는 원칙을 최고의 의의로 두었다. 즉, “효”가 “충”을 능가한다는 궁극적 의의를 잠재적으로 부여하여 “충효를 모두 가질 수 없는” 상황에서는 “효를 버리고 충을 다하는 것”이 아니라, 응당 “충을 버리고 효를 다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신하와 백성은 자신의 부모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통치자의 이익을 희생하는 것에 아까워하지 않는 취사(取捨) 태도를 부추겼고, “군주에게 충성(忠君)”을 강조했던 공맹이 당시 통치자들에게 중용되는 것을 막았다. 순자는 이점을 알았기에 혈연 친정의 근본 지위를 긍정하는 기초 하에 군주가 신하와 백성을 부양하고 교육시키는 이중 기능을 확연히 드러내었다. 즉, 부모는 자녀를 낳고 기르기만 한다는 일방적인 기능을 초월하도록 하여 “예의는 성왕보다 큰 것이 없다”로 바꿔 주장하였다. 이렇게 “군주는 부모보다 높고”, “충은 효보다 높다”라는 원칙을 내세워 신하와 백성에게 명확하게 요구하여 “충효를 모두 가질 수 없다”라는 곤경을 처리하였다. 그리하여 유가는 “쓸모없음”이라는 숙명에서 벗어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대의 동중서(董仲舒)는 순자의 이러한 입장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왕도삼강(王道三綱)”이라는 틀 속에서 군신관계를 부자관계와 부부관계 앞에 두어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처강(君爲臣綱, 父爲子綱, 夫爲妻綱)”을 강조하였다. 이는 맹자가 인지했던 “인지대륜(人之大倫)”과 명확하게 구별되지만, 오히려 순자가 인지한“군신, 부자, 형제, 부부(君臣, 父子, 兄弟, 夫婦)”라는 “의지륜(義之倫)”과는 근본적으로 일치하게 되었고, “민을 굽히고 군주를 펼쳐는(屈民而伸君)” “춘추의 대의(春秋之大義)”에 기대어 “왕”의 “지고무상의 윤리적 지위”를 보여주었다. 그 결과 유가사조는 결국 공맹이 주장한 “효는 충보다 높다”는 “쓸모없음”의 경지에서 벗어나 “충은 효보다 높다”라는 기초에서 후대 조정관부 앞에 “쓸모있음”이라는 목적을 실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놓고 볼 때, 유가사조는 전국시대에서 한대까지의 명운의 전환은 결코 “유일한” “교육에 대한 농단”에 귀인될 수 없다. 더 중요한 원인은 동중서의 “삼강”설이 공맹의 혈연 근본정신에 기초했다고 하는것이 낫다. 또한 순자의 “예의는 성왕보다 큰 것이 없다”라는 신조와 법가의 어떤 관념이 융합되어 “군주지상”을 고취시켰을 뿐만 아니라, “충은 효보다 높다”를 강조한 것이다. 그러므로 “제왕의 편애, 주요 대신의흥미, 관원의 관심”과 충분히 영합했다고 할 수 있고, 후자가 의식 형태의 정신적 지주를 찾고 있을 때, 그 목표는 기타 사조(법가를 포함한)에서 유가사조로 전환되게 하였다. There is a strange and yet seldom explained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on the one hand, Kongzi and Mengzi were rarely put in an important position by their contemporary rulers when they were alive; on the other, so many Confucians have been put in very important positions in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since the Han Dynasty, although they cannot be compared favorably with Kongzi and Mengzi at all. The basic reason why the destiny of Confucianism has taken such a dramatic turn lies in its two very different attitudes towards the dilemma between filial piety and loyalty: while Kongzi and Mengzi also emphasized the harmony of filial Piety and loyalty, they usually placed filial piety above loyalty in the case of conflict and demanded that people should choose filial piety to their parents at the cost of loyalty to their rulers according to the principle “filial piety is the greatest”. It is this very choice that makes them not be put in an important position by their contemporary rulers, even though they themselves indeed stressed loyalty to the ruler very much. Xunzi was aware of this theoretic defect and thus argued that the functions of the ruler to bring up and teach subjects were far more important than the functions of parents to bear and bring up children. Then he demanded that people should choose loyalty to their rulers at the cost of filial piety to their parents in the case of conflict according to the principle “loyalty to the ruler is the greatest”. As a famous Confucian in the Han Dynasty, Dong Zhongshu carried on this principle and definitely placed loyalty to the ruler above filial piety to parents in the so.called “Three Cardinal Guides”, thereby helping Confucianism eventually in being highly and even solely honored by the rulers in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Viewed from this perspective, the dramatic turn of the destiny of Confucianism in the history could not be attributed merely to its monopoly of education, but first and foremost to the in.depth change of its attitude towards the dilemma between filial piety and loyalty.

      • KCI등재

        사상(思想) : 공자(孔子)“小康禮敎” 에 대한 웅십력(熊十力)의 비판

        유청평 ( Qing Ping Liu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4 퇴계학논총 Vol.23 No.-

        熊十力은 『예기』 「예운」편의 “泛愛衆”과 “天下爲公”의 “大同”사상을 공자의 만년 학설로 삼아, 초기 공자 및 유가의 주류 사조에 대하여 날카로운 비판을 하였다. 더욱이 “天下爲家”의 “小康禮敎”가 ‘이기적 해독’을 담고 있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질책하였다. 熊十力의 이러한 비판은 오늘날의 우리들에게 전통 유가의 부정적인 폐단을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반성적 의의를 담고 있다. Presupposing that the two famous paragraphs of Liji Liyun were said by Kongzi himself in his later years and in virtue of the Great Way of “public interests first” described by these paragraphs, Xiong Shili seriously criticizes the parochialistic propriety of “family interests first” advocated by Kongzi in his early years as well as by the whole Confucian mainstream. It is very significant today for us to overcome the negative disadvantages of traditional Confucianism through deep reflection on these criticisms of Xiong Shili.

      • KCI등재

        "移孝作忠"的儒家密碼

        유청평 ( Qing Ping Liu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2 No.-

        ‘이효작충(移孝作忠)’라는 말은 가장 유가적 특색을 가진 기본 이념일 뿐만 아니라, 또한 유가사조가 이천 여년이라는 오랜 시간 동안 전제통치자들에게 중시될 수 있었던 중요한 원인이기도 하다. 이 이념은 원래 서주(西周) 시기의 ‘분봉제(分封制)’를 기초로한 ‘권귀예제주의(權貴禮制主義)’의 사회제도에 뿌리를 두고 있다. 특히 후자(분봉제를 기초로한 권귀예제주의)가 포함하고 있는 ‘가국일체(家國一體)’, ‘친친존존(親親尊尊)’의 ‘종법혈친예제(宗法血親禮制)’와 불가분하다. 사실, 주공과 같은 사람들은 권력 귀족집단 내부의 혈친의 ‘효’가 직접적으로 정치의 ‘충’이라는 등가관계를 강조할 때, 이미 ‘위민부모(爲民父母)’의 ‘혈친비부(血親比附)’ 원칙을 지적하였고, 일반 민중에게 “군신은 부자와 같다”라는 방식을 따르도록 명확히 요구하였다. 자신의 부모에게 효도하듯이 군주와 관장(官長)에게 충성하고 혈연친정(血緣親情)의 독특한 응집력과 강력한 심리적 영향력을 빌리고자 하였다. 또한 권귀집단에 대한 일반 민중의 효와 충 의식을 공고히 하였다. 주나라 시대의 이러한 관방의식(官方意識, 조정의 관료의식) 형태가 사상적 자원으로서 유가사조가 탄생되면서부터 ‘효를 움직여 충으로 만든다’는 ‘이효작충’의 핵심 이념을 자각적으로 창도하였다. 공자가 주장했던 “가까이는 부모를 섬기고 멀리는 임금을 섬긴다”라는 말과 같이 ‘효제’를 강조한다면 ‘윗사람을 범하는 어지러움’이 생기지 않을 것이고, 맹자가 지적하였던 “아비도 없고 임금도 없는 것은 금수이다”라는 말이나 순자가 요구했던 “선조를 높이고 군사를 받든다”라든지, 『대학』에서 말하는 “효는 바로 임금을 섬기는 것이다”, 『효경』에서 말하는 “군자는 부모를 섬기고 효도하듯이 충은 임금에게 옮겨질 수 있다”, 동중서(董仲舒)의 “삼강(三綱) 중 “부도(父道)를 군도(君道)에 배합한다”, 송명 유학이 고취했던 “부자군신(父子君臣)는 천하지정리(天下之定理)이다” 등 이천 여 년간 역사의 흐름 속에서 시종 ‘사부(事父)’의 ‘효’와 ‘사군(事君)’의 ‘충’이 융합되어 일체가 되었다. 비교해보면, 중국 고대의 어떤 사조도 유가와 같이 일관되게 ‘이효작충’과 같이 유가의 낙인이 찍힌 특색의 이념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런데, 이 이념은 혈친비부(血親比附)로써 오도하는 것 말고도 ‘효’와 ‘충’이라는 두 종류의 인간관계의 본래 면목을 왜곡시켰고, ‘가정’과 ‘국가’를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을 하나로 섞이게 만들었다. 또한 현실 생활 중에 수많은 폐단을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특히 “아비를 존경하듯이 임금을 존경하는 것이 서로 결합되어 폭군이 천하를 통치하는 국면을 맞게 하고 특별히 연장시켜왔다”(熊十力)라는 말로 잘 알 수 있다. 또한 군주ㆍ관장과 일반 백성의 업연(業緣)적 정치 관계를 ‘부자와 같이’라는 일반적 혈친관계로 말하여 이를 통해 친화력을 가진 혈친의 정감을 존비귀천의 등급 구조 속에 주입시켰고, 일반 대중에게 자신의 부모에게 효도하듯이 ‘만세야(万歲爺, 임금)’ 혹은 ‘부모관(父母官)’에게 충성토록 하였고, 황제나 관료가 자신을 핍박하고 착취함을 감내하거나 내지는 감사하게 하였다. 결국에는 백성의 반항을 약화시키고 ‘민심’을 농락하고 사회 안정 유지와 전제 통치를 연속시키는 목적으로 삼았다. 이는 법가사상 조차도 가지지 못했던 부정적 측면으로 결국은 이로 인해 유가사조는 한대 이후 장기간 통치 집단의 총애를 받을 수 있었고 권귀예제주의 사회 속에서 줄곧 ‘독존’의 지위를 향유하는 관방 정통 의식 형태가 되었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는 ‘이효작충’이라는 유가의 은밀한 코드를 이론적으로 반드시 파헤쳐서 유가사조와 군주전제제도 간의 내재 관련을 폭로하고, 다시는 권귀예제주의의 정신문화 지주가 되지 못하게 방지해야 한다. “Transforming filial piety into loyalty to the ruler” is not only the most characteristic idea of Confucianism, but is also the key factor making Confucianism highly valued by the autocrats in Chinese history. This idea has been deeply rooted in the “crony patriarchy” based on the enfeoffment system of the Western Zhou Dynasty, and especially linked with its specific structure of “uniting state with family”. According to the so-called principle of “consanguineous analogy”, Duke Zhou Gong has already demanded that the common people should be sincerely loyal to their ruler and officials precisely as they should be sincerely filial to their own parents. Carrying on his original viewpoints, a lot of Confucian masters, including Kongzi, Youruo, Mengzi, Xunzi, Dong Zhongshu, Zhu Xi, Wang Yangming, and other authors, have put forward the definite idea of “transforming filial piety into loyalty to the ruler” repeatedly in their writings, and thereby made it a consistent and distinct idea of Confucianism for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In fact, no other schools of thought than Confucianism in ancient China have insisted such a strange idea that confuses the consanguineous filial piety to parents and the political loyalty to the ruler and officials by regarding the latter as the parents of the common people in political life. However, this idea has not only distorted the true features and in-depth differences between family and state, filial piety and loyalty, the private and the public in a misleading way, but also resulted in many negative defects in real life, especially, as the Confucian master Xiong Shili points out, prolonging the dictatorship of “crony patriarchy” in the history of China by deceiving the common people into humbly obeying any demand of the ruler and officials even if they are oppressed cruelly by the latter. It is this negative effect of uniting filial piety with loyalty that has made Confucianism eventually become the sole orthodox ideology of autocracy since the Han Dynasty. Therefore, we should reveal and criticize these negative defects of this idea in order to prevent Confucianism from becoming the spiritual support of “crony patriarchy” a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