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펀(Fun)디자인을 활용한 쇼윈도 디스플레이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김선정 ( Seonjeong Kim ),유진형 ( Jin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쇼윈도 공간의 디스플레이는 인간과 사회, 문화, 환경의 공간을 디자인하는 한 분야로써 시각적인 요소가 디스플레이 되어 대중과의 거리를 가까이하는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쇼윈도 거리를 자유롭게 접근하여 즐길 수 있는 소비자의 문화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소비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재미있고, 즐겁게 지내려는 욕구와 흥분감, 환상적 느낌 등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기분전환, 자유, 새로운 정보수집 등 현실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심리욕구를 가지게 되면서 펀(Fun)을 추구하게 되었다. 공간에서의 펀(Fun)은 직접 보고, 듣고, 만지는 등의 경험으로 호기심을 자극하고 다양성과 창의성, 그리고 역동성을 가진 가능으로써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이며 그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쌍방향 소통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쇼윈도 공간에서 다양한 펀(Fun)의 표현방법을 분석하여 공간에서의 유희 개념에 대한 본질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펀(Fun)의 요소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공간을 다루고자 한다. 또한 펀(Fun)개념의 정의와 요소를 활용한 쇼윈도 디스플레이 사례를 중심으로 형태, 색채, 소재, 오브제 4개의 개념을 선정하였고, 하위 개념으로 변형, 과장, 반복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변형, 일탈, 착시, 반전, 연상, 과장, 함축의 7가지 표현요소를 기준으로 사례분석을 하여 쇼윈도에 적용되었을 때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 펀(Fun)을 활용한 쇼윈도 디스플레이는 창의적인 속성으로 대중들에게 새로운 시각과 상상력을 보여줌으로써 지루한 일상을 해소시켜주는 대안으로 소비자에게 긍정적 반응을 유발한다. 이는 소비자에게 예술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낭만, 감동, 환상 등의 감성적 이미지를 더해 신선한 삶을 추구하게 된다. 사례분석은 재미와 즐거움을 준다는 공통점인 목적으로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인간의 경험을 확대하는 것으로 일상적인 사물이나 생각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깨트리고 발상의 전환을 제안한다. 이러한 특성의 표현방법들을 대중들이 경험함으로써 향후 쇼윈도 공간에서의 펀(Fun)디자인은 차별화된 이미지로 디자인적 표현 영역과 거리문화 발전에도 기여하며 아울러 대중들의 문화공간으로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window display is a design area for use in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spaces, as visual elements are displayed for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expanding show windows on the street to enable easy access to cultural spaces by consumers. Consumers have needs for fun and playful times to evoke exciting and fantastic feelings, as well as psychological needs for branching out beyond their realities to rejuvenate, enjoy a sense of freedom, and collect new information. That is, today’s consumers seek “fun” lifestyles. From the aspects of space, fun is an element stimulating one’s emotions, meaning that participant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That is, fun stimulates curiosity, diversity, creativity, and dynamic style by providing people with direct experiences that exercise their five senses. In this regard, this study identifies the nature of the concept of “playful“ by analyzing the expressions in display windows using fun according to the following categories: use of objects and use of art. The purpose of methods for expressing fun in window displays is to allow people to experience street culture by forming a consensus and understanding cultural approaches. (Research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window display cases using fun elements and categories for the analysis of form, color, material, and techniques used in designing display cases. The characteristics of fun can be classified as curiosity, stimulated imagination, picturesque stimulation, and emotion. When fun is used in window displays, a non-daily concept is introduced to extend the human experience, make people think outside the box, and stretch thinking patterns. Fun designs provide artistic elements and combined objects through visual effects such as exaggeration, distortion, transformation, and color for a vivid and playful experience. In this study, future directions in design are suggested with a view toward window displays that will influence cultural value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Conclusion) The emphasis on fun in window displays reflects creativity through new visuals and imaginative presentations, thereby arousing a positive reaction from consumers for window displays that differ from conventional ones. Such creativity expressed through the medium of art evokes emotions and feelings, including romanticism and fantasy. A connection to playful elements that emphasize new and fun experiences reflects thinking that is outside the box, thereby increasing design value and maximizing consume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is scenario also extends the expression realm of design,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 street culture by providing extended cultural space for the public.

      • KCI등재

        그로토프스키의 연극론에 따른 전시소통구조에 관한 연구

        이보영 ( Boyoung Lee ),유진형 ( Jin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까지 전시 소통은 관객과 전시물의 관계에 발생하는 상호적인 작용으로 이해되었다. 전시 연출 디자인도 관람객에게 초점을 두고 전개되어왔다. 따라서 전시 소통이 협소한 범위로 상정되었고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원인은 전시의 목적이 전시의 본질인 전시물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전시의 목적을 바로 세우고 전시 소통을 다시 정의해야 한다. 극연출가 예지 그로토프스키의 연극 이론을 바탕으로 전시의 본질을 탐구하고 전시 소통의 의미와 구조를 재정의하고자 한다. 그로토프스키는 연극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극의 목적, 배우와 관객의 역할과 관계를 탐구하고 연구했다. 이는 현재 전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전시 소통 구조를 확립하는데 방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전시의 본질을 근거로 전시 소통을 재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현재의 전시 소통을 재고하고 문제점을 분석한다. 전시와 그로토프스키의 연극론의 관계성을 설명한다. 둘째, 예지 그로토프스키 연극론 고찰을 통해 전시 소통 재정의의 필요성과 관점을 제시한다. 셋째, 그로토프스키의 연극 논리에 근거하여 전시 소통구조를 정의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정의한 전시 소통의 구조를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한다. (결과) 전시 소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시물인데 전시 연출이 지나치게 확대되면서 전시물보다 더 우선시되었다. 또한 대부분 전시가 잘못된 가치 체계를 바탕으로 해서 콘텐츠보다는 다른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정보가 왜곡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전시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부터 재고해야 한다. 전시는 단순하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물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전시물 자체를 근본으로 의미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것이다. 전시의 목적은 사물을 현재 시점에서 가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고 전시는 의미를 탐구하고 가치를 추구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시 연출은 사물에 내재된 의미를 풀어내고 전해야 하며 관람객과 물리적, 정서적으로 경계 없이 만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전시의 본질을 탐구하고 전시 소통의 의미를 정의하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시의 목적은 전시물에 있으며, 전시 소통은 콘텐츠를 탐구하고 담론을 나누는 과정이다. 사물의 의미를 동시대에 공유하고 담론을 형성하여 미래 가치를 지향할 수 있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mmunication system of exhibitions is comprehended as an interaction between audience and exhibit. The direction of exhibitions progresses with a focus on the audience. The communication system of exhibitions is presumed to be a narrow, limited concept. The reason for this view is that the essence of exhibitions is not based on the exhib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urpose of exhibitions and redefine th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dramatics of Grotowski, this study analyzed the essence of exhibitions as well as redefined its meaning and structure. Grotowski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audiences and actors to propose solutions to problems in theater. His study is helpful to address the problems in present exhibitions and establish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ame. This study aimed to redefine the communication system of exhibitions according to its essence. (Method) First, the present communication system of exhibitions is reconsidered, and the problems clearly s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s and the theatrical theory of Grotowsky is described to ascertain validity. Second, the dramatics of Grotowski is explored, and the need for redefining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ystem is proposed. Third, the communication system of exhibitions is defined based on the dramatics of Grotowski. Lastly, case studies of exhibition communication systems were conducted. (Results) Although the exhibi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communication of it, the presentation is expanded excessively and overwhelms it. A number of exhibitions are based on an erroneous value system, distorting information. Thus,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has to be reconsidered. An exhibition does not offer information not show; it generates and delivers meaning based on the exhibit itself. The purpose of an exhibition is for the audience to perceive value in the real, present time. The exhibition is understood as a process toward research significance and pursuit of value. It is necessary for the direction of the exhibition to disclose implicit meanings and deliver them. The display environment is made up to be endles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Conclusions) This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the essence of the exhibition and to redefine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Moreover, the orientation for it is suggested. The exhibition is founded on the exhibit. The communication of the exhibition is a process in that the contents are explored and used in discourse. The meaning of the exhibit is shared, and discourse is formed; as such, the future value would be suggested.

      • KCI등재

        바슐라르의 시적 상상력에 따른 한옥의 원초적 거주공간의 존재방식

        이지원 ( Jiwon Lee ),유진형 ( Jin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4

        (연구배경 및 목적)현대의 도시공간에서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공간과의 원초적 관계성은 어떠한 존재적 특성을 갖고 있는가? 바슐라르가 제시하는 시적 상상력이 우리의 실제적인 삶과 공간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게 될 수 있는가?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의 전통 가옥인 한옥의 자연성을 통해 공간의 존재방식의 특성을 찾고자 한다. 우리의 한옥이 갖고 있는 거주공간의 자연성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징이 바슐라르의 시적 상상력의 현상학적인 측면과 어떠한 관계맺음을 하고 있는지 추적한다. 이러한 접근의 과정에서 바슐라르의 이미지의(상상력의) 현상학 중 시적 상상력의 개념을 통해 현재의 거주공간 안에 담고 가야할 본연적 가치의 필요성을 도출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바슐라르의 이미지의 현상학 중 시적 상상력에 따른 영역을 바탕으로 한옥공간에서의 시적 거주를 통한 원초적 공간의 존재방식에 관한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시적 상상력이 거주공간의 원초적 특성을 어떻게 발현케 하는지에 관한 접근과 한옥의 자연친화적 공간개념과의 관계성을 드러내어 향후 인간이 체험하는 공간에 관한 현상학적인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바슐라르의 시적 상상력의 특성을 추출한 후, 이 특징들이 한옥의 자연성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아본다. (결과) 한옥공간의 자연성은 자연, 가옥, 인간이 하나로 이루어지려는 전일성과 융합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자연의 역동적인 생명성을 닮은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생성하려는 원리를 갖고 있었고, 이는 바슐라르의 몽상하는 자, 즉깨어있으면서 꿈을 꾸는 자의 적극적인 지각현상에 의해 역동적으로 재생되는 이미지의 생성과정과도 연결 되었다. 이러한 연결로 인하여 시적 상상력이 가능한 한옥의 원초적 거주공간은 상상력이 가능한 순간들의 거듭난 이미지들로 채워졌다 . 이미지들은 더 이상 고정되어있지 않고 주체적 능동적으로 활성화되고 있었다. (결론) 바슐라르가 몽상하는 인간의 역할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이미지는 이제까지 끊겨있었던 인간의 자아의식과 본질들과의 건강한 접촉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회복에 집중되는 현상은 결국 인간의 공간이 자연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에 관한 것이었다. 이는 인간이 공간을 대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즉 상상력에 따른 심상작용, 즉 시화에 근거하고 있었다. 결국 한옥의 자연성은 거주자가 자연과 친숙해지려는 삶의 태도와이를 바탕으로 한 상상력을 통해 거주자의 공간을 시화 하려는 적극적인 에너지를 향하고 있었다. 시화된 한옥공간의 생명원리인 역동적인 변형태 현상의 운동성은 적극적인 상상을 통해 이루어진 이미지의 운동성과 닮아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What kind of existential characteristic does the primordial relationship have with the space we experience in the modern urban environment? Does the poetical imagination suggested by Bachelard have any influence on our real perceptional life and space? Concerning these aspects, this study look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ence mode of the space through the naturalness of Hanok, which is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This study analyzes the naturalness of dwelling space that Hanok possesses, and aims to trace what kind of relationship it has with the aspect of phenomenology of poetic imagination described by Bachelard. The process of this approach induces the necessity of determining the inherent value that it should hold in the current dwelling space through the concept of poetic imagination in Bachelard``s concept of Image Phenomenology. (Metho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ence mode of primordial space through poetic dwelling at the Hanok space based on the area according to the poetic imagination as per Bachel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pproach how the poetic imagination reveals the primordial characters of dwelling space and the setting of the phenomenological mode on the space that people experience in the future by showing its relation to the nature-friendly space concept of Hanok. After distilling the characteristics of Bachelard``s poetical imagination, it seeks to find how they are related to the naturalness of Hanok. (Results) The naturalness of Hanok space had the principle of becoming the image consistently similar to the dynamic vitality of nature due to its characteristic holism and convergence that attempts to form a unity between nature, house, and human. It was also connected to the process of becoming of image that was dynamically replayed by the active acknowledgement phenomenon of dreaming people of Bachelard, that is dreaming people who are awake at the same time. Due to these connections, the primordial dwelling space of Hanok that makes the poetical imagination possible is filled up with reborn images of moments. These images were subjectively and actively vitalized without being fixed anymore. (Conclusions) The image that Bachelard wanted to realize through the role of dreaming people plays a role in recovering a healthy contact between the self awareness of people and nature. The phenomenon that is concentrated on restoration was eventually about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 human space made with nature. This means that it was based on the energy that occurred when people face the space, that is image-interactive according to the imagination, in other words, po?tiser. In the end, the naturalness of Hanok towards the affirmative energy that was to po?tiser the space of dwellers through the imagination based on the dweller``s attitude, to become friendly with nature. The motility of the dynamic metamorphosis phenomenon that was the law of vitality of Hanok``s space that was poetiser, was similar to the motility of image which was made by the active imagination.

      • KCI등재후보

        도시구조물로서 한강철교의 경관색채에 관한 연구

        김조아 ( Joah Kim ),유진형 ( Jin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3

        (연구배경 및 목적)우리나라는 산업화에 따른 철거 및 정비와 지역의 지형적 변화에 비해 도시구조물은 준공된 기존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구조물의 노후화 및 지역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산업화의 문제점 중 하나로 인식돼 왔다. 특히 도시구조물 중 한강철교의 색채는 주변 경관을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고채도 고명도의 색채로 주변 경관을 저해하고 있으며 도시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있다. 도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데 경관은 중요한 요소이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경관의 색채계획이 중요하다. 도시구조물의 경관 색채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색채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도시구조물 중한강에 최초로 놓인 한강철교의 색채 개선을 주제로 삼았다. (연구방법)한강철교가 조성된 한강 경관의 계절에 따른 색채 변화와 주변 교량의 적용 색채, 한강철교에 적용된 색채를 분석하여 문제점 및 방향성을 도출하였으며 한강철교의 주요 결절 점을 중심으로 조망 점을 선정하였다. 일출과 일몰 3시간 전에 디지털카메라로 촬영을 하였으며 한국 표준색 색채 분석(KSCA)을 활용하여 모자이크 기법으로 처리한 후 색채를 추출하고 색채의 면적을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그에 따른 경관 색채와 I.R.I를 활용하여 색채 이미지를 통한 경관 색채 분포도를 분석하였으며 이 분석을 통해 한강철교의 색채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결과)한강의 사계절 색채와 한강철교 조망 점의 경관 색채를 분석한 결과 공통으로 중명도 저채도의 무채색(N 계열)의 색채가 나타났으며 한강의 수변 색채인 어두운 파란색(RB 계열), 회청색(PB 계열)과 대지 및 도로의 무채색(N 계열), 갈색(YR 계열)이 나타났다. 색채 이미지는 ‘은은한’, ‘정적인’, ‘클래식한’, ‘품위 있는’, ‘점잖은’, ‘조용한’ 등 중명도·저채도가 갖는 색채이미지를 나타냈다. 현재 한강철교는 고명도·고 채도의 녹색(G 계열)로 주변 경관과 조화롭지 못하고 자극적인 색채로 강조되어 있었다. 한강은 도시의 정체성에 중요한 요소로 경관 이미지 형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므로 한강철교는 한강에 순응하는 배경색이 되어야 한다. 수변경관 및 주변 경관의 배경색이 되기 위해서는 경관의 일부가 되도록 중명도 저채도의 무채색(N 계열)의 색채를 적용하여야 한다. (결론)인간의 다양한 활동이 만들어낸 경관은 다양한 색채와 어우러져 도시의 정체성을 나타내며 경관 색채는 도시의 정체성이 나타나도록 고려하여 계획되어야 한다. 한강철교는 한강의 수변경관을 고려하여 중명도 저채도의 무채색(N 계열)의 색채를 적용하여 주변 경관이 돋보이도록 배경색 역할을 해야 한다. 경관의 요소 중 도시구조물의 색채는 수시로 변화하는 경관변화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도시의 정체성과 지역성이 나타나도록 색채계획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Despite the removal and renewal of many buildings and topographies as a result of industrialization, Korean urban structures are still in their original as-built forms, defenseless against degradation and local changes. They represent one of the problems of industrialization. Particularly, the Hangang Railroad Bridge (hereafter, the HRB), which should have reflected the surrounding landscape, is instead spoiling it and disturbing urban identity with its high color. Landscape is a key element in representing urban identity, and a color scheme that considers local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This study examines color direction by researching the landscape color of urban structures, focusing on color improvement of the HRB, the first urban structure built over the Han River. (Method)Seasonal color variations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the applied colors of the HRB and adjacent bridges were analyzed to derive the problem and direction, with viewpoints selected around main nodes. Images taken using a digital camera three hours before sunrise and sunset each day were processed by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KSCA) into a mosaic so as to identify colors and calculate their areas in percentage. The identified colors were analyzed using the I.R.I. image scale to derive landscape color variations and the color direction for the HRB. (Results)Analysis of all seasonal colors of the Han River and the landscape colors around viewpoints revealed common neutrals with middle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N series); waterfront colors of the Han River, such as dark blues (RBseries) and grey blues (PB series); neutrals of the land and road (N series); and browns (YR series). The color images were “gentle,”“calm,”“classic,”“gracious,”“decent,” and “quiet,” representing middle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The present HRB has sensational color unfit for the surrounding landscape, such as green with high brightness and saturation (G series). Instead, it should have a background color fit for the Han River,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urban identity that greatly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landscape image. For the background color of the waterfront and surrounding landscape, neutrals with middle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N series) should be applied to become part of the landscape. (Conclusions)The landscape produced by different human activities represents urban identity in harmony with various colors, and landscape colors should be schemed considering urban identity. Considering the waterfront landscape of the Han River, the HRB should have neutral colors (N series) with middle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as background colors to the surrounding landscape. Among the landscape elements, the colors of urban structures should be attuned periodically to the ever-changing landscape and planned such that it can represent urban identity and locality.

      • KCI등재후보

        인터랙티브 디자인 도입에 따른 VMD기능 재정의에 관한 연구

        김영란 ( Youngran Kim ),유진형 ( Jin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3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사회가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서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새로운 정보나 취향 등 구매 고객 및 소비자들의 소비패러다임이 급속히 변화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매장들은 전시물이나 상품에 대해 마련해 놓은 정보나 안내가 미비한 상황이고 고객들은 매장 내 상품에 대해 체험을 할 수 있는 요소들이 부족한 현실이다. 소비자들은 소비를 하는 판매 공간에서기존과 다른 다양한 욕구에 대한 만족도나 기대감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니즈 충족과 구매 편익을 도모하기 위해 소비자들이매장 내에서 커뮤니케이션 하고 경험 할 수 있는 환경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로 인하여 소비자의 경험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공간을 디자인하는데 있어 인터랙티브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방법)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현 VMD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공간에서의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였다. 그리고 인터랙티브 디자인 도입에 따른 VMD기능 재정의를 위해 인터랙티브 디자인 특성 및 요소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실제 국내, 외 사례에서 나타나는 인터랙티브 공간디자인의 유형과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결과)본 연구를 통해 VMD의 기능적인 인터랙티브 디자인은 공간의 다양한 연출과 콘텐츠에 의한 경험이 결합되어진 기능의 공간을 구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매장 내 소비자들은 부지런히 구경하고 돌아다니며 상품에 대한 체험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시각적 효과에만 머물러 단순히 상품과 마네킹만이 존재하는 기존 매장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벗어나 인터랙티브 디자인 도입으로 인한 재배치를 통해 새로운 공간의 질서를 제안한다. 그에 따른 차별화와 소비자의 인터랙티브 경험 디자인을 통해 자연스러운 판매 유도가 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시각적인 효과에만 머무르고 있는 VMD기능 변화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인터랙티브 디자인 도입으로 인하여 VMD 기능을 소비자들이 상품 구매시 적극적으로 체험 할 수 있는 공간으로써의 기능으로 재정의 하였다. (결론)현재의 VMD기능은 오로지 시각적 효과에만 집중되어 나타나고, 소비자의 변화하는 소비패러다임의 니즈를 충족시켜 수용하기에는 어려웠다. 앞으로의 구매 공간 내 VMD의 기능은 인터랙티브 디자인 도입으로 인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폭넓은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용성, 사용성, 매력성, 검색성, 접근성, 신뢰성, 가치성의 특성을 가지고 제시되어야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매장은 소비자들과의 지속성, 그리고 남들보다 더 빠르고 신속한 커뮤니케이션으로 매장 내 소통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에 따른 더욱 더 발전되어지는 연구를 해야 할것이다. 향후 매장 내 다양한 인터랙티브 디자인 도입으로 인하여 VMD의 기능은 다양한 시도를 통하여 점차 더 발전되어 질 것이고, 소비자들에게 참여 기반의 VMD가 가진 전략적인 가치를 더욱 향상 시킬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As society becomes increasingly diversified in terms of economy and culture, the consumption paradigm of customers and consumers for things such as new information and taste changes rapidly. Information and guidance as well as exhibits at most stores are insufficient. Customers have few chances to experience goods in shops. In spaces where people usually consume goods, customer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about different kinds of needs have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To satisfy these kinds of needs and for customers to receive the full benefits of their purchases, stores must communicate with customers and create an environment where customers can experience goods. Therefore, we have to research interactive designs to create spaces with improved communication. (Method)In this study, we examined all the functions of VMD by conducting advanced research to analyze literature and define the concept of interactive design in a space. Additionally, to redefine the VMD’s functions in interactive design, we identified all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interactive design and analyzed them. We examined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space design using many examples from all over the world. (Results)We found that VMD’s functional interactive design created specific spaces with a variety of displays and opportunities for consumers to experience products. Consumers can experience goods while looking around a store space. This study proposes rearranging new spaces that escape the existing methods of stores in which displays of goods and mannequins are limited to visual effects. This study defines the need to create VMD spaces that induce customers to buy goods by giving them a chance to experience them. This allows customers the time and chance to actively experience the VMD``s performance while purchasing products, and it occurs through interactive design. (Conclusions)The current functions of VMD only focus on visual effects, making it hard to meet customers’ needs in the changing consumption paradigm.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we found that the VMD’s functions in purchase spaces have to include many characteristics such as usefulness, attractiveness, accessibility, trustworthiness, and value to consumers. Additionally, store managers should maintain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customers and communicate with the mearly on. They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their stores and do the developed research. The function of VMD is expected to develop gradually through attempts to introduce various interactive designs and strategic value and that VMD will be based on consumer participation.

      • KCI등재후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고가하부 활용 공간 콘텐츠에 관한 연구

        김지훈 ( Jihoon Kim ),유진형 ( Jin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급속도로 발전한 산업화와 도시 발전에 의해 도시 공간 속에 많은 유휴 공간이 생겨나고 있다. 도시 공간 속 유휴 공간 중 고가도로는 사람과 물자를 운반하는 목적으로 건설되었지만 고가도로의 하부공간으로 인한 지역의 분절이 나타나고 하부공간의 무분별한 사용, 어둡고 삭막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가도로로 단절 된 지역들의 고가도로 하부 공간을 어떠한 콘텐츠로 커뮤니티의 공간이 되었는지를 사례를 통하여 연구하였고 고가도로의 하부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단절된 지역을 주민들의 지속적인 공간 사용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제안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고가도로 하부공간에 대한 구조적특징과 사회적으로 발생되는 현상을 고찰하고 가시적, 비가시적 콘텐츠의 활용과 주민들의 지속적인 공간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과 고가도로 하부공간으로의 접근 방법, 도시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분석을 통해 결론적으로 단절 된 지역을 주민들의 참여에 의한 콘텐츠의 활용으로 도시 공간 속 유휴 공간인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성화 되었는지 알 수 있었다. (연구방법)고가도로 하부 공간의 사용가능한 공간을 고찰하고, 고가도로 하부 공간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특징을 고려하여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활용한 선진사례 에서 보여 지는 가시적, 비가시적 콘텐츠의 활용과 공간의 장소적 특징을 활용한 공간 유형을 도출하여 커뮤니티의 공간으로써의 활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 연구 결과 고가도로 하부의 콘텐츠로 인한 커뮤니티 활성화 방법으로는 주민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콘텐츠를 활용하였고 또 활동적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커뮤니티의 근본적인 활동영역을 제공하였으며 주민들의 공간 활용이 지속되면서 사례에서 보이는 공간들의 사회적 문제점들이 해소되어 지고 지역의 활성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고가도로 하부의 저렴한 임대료, 대여료로 주변의 상업공간을 고가도로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주민들의 왕래가 잦아졌으며 자연스럽게 단절 된 지역을 소통 가능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결론)고가도로 하부의 지속적인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첫째 의, 식, 주를 해소 할 수 있는 콘텐츠로 지속적인 공간사용이 되어야 하는 콘텐츠와 여가, 휴식 등 편의를 위한 이벤트 적 콘텐츠의 효율적인 활용이 되어야 한다. 둘째로 고가도로 하부의 공간은 도시 구조상 차도에 둘러싸인 교통섬의 구조로 되어있다.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선 차도를 피해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하며 셋째로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환경을 개선하여 방문하는 사람들의 쾌적한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려해야한다. 고가도로 하부공간에 필요한 콘텐츠의 활용으로 고가도로하부 공간의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으며 단절 된 지역을 연결 하는 공간으로 사용되어 질것을 기대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Because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quite a few idle spaces are being generated in urban areas. Although overpasses were constructed for transportation of people and materials, the appearance of regional segmentation caused by the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and their indiscriminate use are creating a dismal and desolate atmosphere.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how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in segmented regions were transformed into community spaces and made available to local residents as sustainable spaces for collaborative use. We examin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and the resulting social phenomena, and we analyzed visible and invisible utilization of related contents, methods to induce sustainable use by local residents, methods for accessing newly created spaces, and the ways overall urban views could be improved. With this analysis, we were able to verify how segmented idle spaces in the city can be regenerated into community spaces through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using various contents. (Research method) The phenomenon of residential participation was examined through utilization of visible and invisible contents using available examples, and the possibility of regenerating a space into a community space was analyzed by inducing spatial types through utilization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Results) Regarding community revitalization of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using appropriate contents, the ones that induced sustaine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were utilized, and fundamental activity areas of the community were provided through lively programs. Consequently, social problems of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were resolved and regional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was accomplished, as sustained utilization of such spaces by local residents increased (supported by examples). Furthermore, residential traffic s became more frequent as reasonable rental rates were offered as a result of locating surrounding commercial spaces in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and segmented areas were transformed naturally to community spaces. (Conclusion) To use the space underneath an overpass as a sustainable community space, the following steps should be taken: first, sustainable use of the space should include contents that can solve issues related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as well as efficient utilization of these contents for the sake of leisure and rest. Second, since the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are necessarily surrounded by streets to form transportation islands, as conditioned by urban structure, the means should be devised to ensure easy access for avoiding the risks of roads for vehicles. Third, means should be devised for visitors to enjoy utilization of pleasant spaces by improving environments in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In short, it is expected that problems of the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will be resolved through utilization of required contents so that segmented regions can be reconnected.

      • KCI등재후보

        게스트하우스에서 활용 가능한 한옥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문진희 ( Jinhee Moon ),유진형 ( Jin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한국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짐에 따라 매년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여행객 수가 늘어나고, 여행을 통한문화체험욕구가 높은 개별 여행자가 늘어남에 따라 게스트하우스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게스트하우스는 지역과 동떨어진 호텔과 달리 여행객이 투숙하며 가까이에서 그 나라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며, 다양한 사람들이 만나고 어울리면서 문화를 습득할 수 있는 숙박시설이다. 여러 유형의 게스트하우스가 있으나, 공간에 머무르며 그 지역의 문화와 정서를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전통 주거건축인 한옥의 개념을 적용한 게스트하우스 공간구성은 방문객에게 한국의 문화와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게스트하우스와 한옥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게스트하우스라는 특수한 공간에 한옥의 해석을 통하여 한국성을 표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이론적 고찰을 통해 게스트하우스라는 공간이 가지는 특성과 함께 각 공간별로 요구되어지는 요소들을 도출한다. 이러한 특성에 접목 가능한 한옥의 개념을 도출하기 위하여 한옥의 개념과 구조,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여 한옥에 잠재되어있는 전통적 가치를 도출한다. 구체적 적용 방법에 대한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성이 잘 표현되었다고 여겨지는 게스트하우스를 지역별로 선정하여 사례분석 틀에 맞추어 비교분석한 다. (결과)한옥은 배치형태와 채 나눔에 의해 다양한 특성이 나타난다. 대청과 마당은 서로 연결되어 집의 중심을 이루는 곳으로 사람들이 늘 드나드는 열린 공간이다. 게스트하우스의 라운지에 이를 접목할 수 있다. 라운지는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다양한 활 동이 가능한 공간이어야 하므로 개방성과 다양성이 요구된다. 객실은 다양한 유형과 도미토리로 인해 투숙인원이 유동적이므로 상황에 따른 가변성이 요구된다. 한옥에서 벽체를 대신하며 공간을 분리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가진 창호의 특성을 객실에 접목 할 수 있다. 복도와 주방 등의 연결공간은 배치형태와 채 나눔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동선을 활용하여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사람들을 접촉하게 할 수 있다. (결론)게스트하우스는 숙박시설이며 동시에 문화체험공간이다. 전통은 문화의 축적이며 시대와 함께 변화되고 발전되듯이, 한옥을 해석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그 형태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닌 본질적 개념과 그 안에 숨은 정서를 파악하여 새롭게 풀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한옥의 문화적 가치를 되돌아보고, 한옥과 그 안에 담긴 한국의 정서를 가까이에서 체험하고 습득할 수 있는 게스트하우스의 올바른 계획 방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interest among people about Korea and its cultur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in Korea.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gradual increase in the need for guest houses in Korea. Unlike hotels in remote locations, guest houses provide lodging facilities that are conveniently located so that tourists may experience Korea, mingle with local people, and learn about the culture. There are many types of guest houses, among which the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hanok) is thought to be the most authentic for delivering Korean culture to visitors staying in such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o express Korean identity by analyz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guest house and by interpreting the hanok concep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for application in guest house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the elements required for each space would be drawn together, highlighting characteristics of the guest house. (Method) In order to apply certain aspects of the hanok concept to guest houses, the analysis will include concept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hanok, thus capitalizing on its potential value. Therefore, the guest houses where Korean identity is clearly expressed were selected by area for a comparative analysis in line with the case study framework. (Results) Hanok has variou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main floor living room (daecheong) and the courtyard (madang) are connected to form the hub of the house where people come and go. These spaces can be also connected to the lounge of a guest house. As a lounge requires openness and diversity, it should be a space that enables accessibility and various activities for everyone. Room characteristics vary based on the number of guests; among the various types are dormitorie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oors and windows from hanok architecture can be combined to divide and connect space, instead of walls. For any connecting space such as a corridor or kitchen, various flows of human traffic can be envisioned to create, arrange, and join spaces to facilitate human interaction. (Conclusions) Guest houses can be used as lodging facilities and as culture experience spaces. As traditions change, it may be more desirable to identify the fundamental model and add a new interpretation to hidden sentiments in interpreting the concept of hanok, rather than simply emulating its conventional style. Through this study, hanok``s cultural value and Korean sentiment can be reviewed to determine the correct directions for designing guest houses in which Korean sentiment can be experienced and lear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