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교적 특성이 뇌사 시 장기기증 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수인(Lee, Soo-In),유지영(Lyu, Ji Young),임연옥(Lim, Yeon-Ok) 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학 Vol.20 No.3

        본 연구는 뇌사시 장기기증 의사에 유교에 대한 주관적 믿음, 유교의례, 유교적 효심, 유교전통의 집단적 가족주의라는 유교적 특성들이 미치는 영향을 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 실시한 2016 KG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국단위에서 1,052명이 수집된 표본 가운데 장기기증 의사에 응답한 1,003명을 최종분석에 포함시켰다. 유교적 특성들의 장기기증 의사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교에 대한 주관적인 믿음과 집단적 가족주의는 장기기증 의사를 증대시킨 반면 유교적 의례와 아들에 대한 선호는 뇌사 후 장기기증과 부적 관계를 가졌다. 그러나 부모의 명예를 드높이는 것이 효도라는 관념은 뇌사 후 장기기증 의사와 관계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을 바탕으로 유교의 상이한 특성들이 장기기증에 대해 상반된 작용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유교적 특성이 어떤 조건과 결합하는가에 따라 상이한 효과를 낼 수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본 연구결과가 장기기증 활성화를 촉진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Confucian characteristics and organ donation intention in South Korea.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2016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which was collected nationwide. A total of 1,003 people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onfucian characteristics and organ donation inten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bringing honor to parents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rgan donation intention. However, Confucian rituals and preference for son were associated with reduced willingness to donate organs, while Confucian beliefs and collective familism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ntion to donate organs. It is confirmed that different Confucian characteristics have different associations with organ donation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organ donation activation planning in South Korea.

      • KCI등재

        성인의 구강건강 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성: EuroQoL-5 Dimension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최은실 ( Eun Sil Choi ),유지영 ( Ji Young Lyu ),김혜영 ( Hae Young K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5 치위생과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The study us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ged 19∼64 years (n=3,252). Dependent variable was HRQoL, which was assessed with each component of EuroQol-5 dimension (EQ5D). Independent variable was oral health status (oral pain, chewing problem, speaking problem, and perceived oral health).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ers (socio-demographic factors, oral health behaviors, health behaviors, and physical conditions), the risk of having poor HRQoL was greater in adults with poor oral health status. The odds ratio (OR) of having pain/discomfort were 1.50 (95% confidence interval [CI], 1.22∼1.86) for respondents with oral pain, 1.72 (95% CI, 1.33∼ 2.22) for respondents with chewing problem, 1.79 (95% CI, 1.22∼2.62) for respondents with speaking problem, and 1.36 (95% CI, 1.09∼ 1.70) for respondents with poor perceived oral health. The OR of having anxiety/depression were 1.74 (95% CI, 1.28∼2.38) when having a chewing problem, 1.72 (95% CI, 1.12∼2.64) when having a speaking problem, and 1.54 (95% CI, 1.14∼2.08) when rating his/her oral health poor. Among Korean adults, two of the EQ5D components were associated with oral health status. Future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detailed causal relations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HRQoL longitudinally.

      • KCI우수등재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발달단계적 분석

        이나영(Lee, Na young),유지영(Lyu, Ji young)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물들을 발달단계별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고찰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4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에 게재된 논문들 가운데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사전·사후로 효과성을 검증하고, 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을 표기한 총 34편의 연구논문으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회기수 및 회기당 시간은 아동기의 경우 제각각이었고, 청소년기는5회기, 8회기, 회기당 120분, 360분, 성인기는 10회기, 12회기, 회기당 120분, 180분, 노년기는 12회기, 8회기, 회기당 시간은 120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측정도구를 살펴본 결과, 아동기는 6종의 측정도구를 활용했으며, 3편에서 모두 죽음불안척도를 활용하였다. 청소년기는 10종의 측정도구 중 죽음불안척도(5회), 죽음에대한 태도(4회), 생의 의미(4회), 임종간호태도(3회)가 주로 활용되었다. 성인기는 18종의 측정도구 중죽음불안척도(5회), 삶의 의미(4회)가 주로 활용되었다. 노년기는 18종의 측정도구 중 죽음불안척도(8 회), 자아통합감(4회), 죽음에 대한 인지적 수용(3회), 삶의 질(3회)이 주로 활용되었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을 살펴본 결과, 아동기는 주로 죽음에 대한 인지향상과죽음불안을, 청소년기는 죽음교육의 필요성, 죽음에 대한 이해, 법적 이슈인 유언, 상속, 장례의례 기획, 버킷리스트 작성을, 성인기는 청소년기 구성내용 외에도 삶과 죽음의 의미, 의료결정과 호스피스에 대한 이해를, 노년기는 노년의 삶, 비탄교육과 상실치유, 노화와 질병에 대한 이해를 다루는 내용이 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발달단계별 죽음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정도 및 발달과업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 구성, 발달단계별 이해력을 돕기 위한 교수법 개발이나 활용도구의 첨가 등을 고려해 볼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on death education program by developmental stages. Among the theses,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between 2004 to 2018, 34 articles which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essions and the time per session were not consistent in childhood, but in other developmental stages following were found at the most (adolescence - 5 or 8 sessions, 120 or 360 minutes; adulthood - 10 or 12 sessions, 120 or 180 minutes; older adulthood - 12 or 8 sessions, 120 minutes). Second, six types of measures were used in childhood. In adolescence, death anxiety (5 times), attitudes toward death (4 times), meaning of life (4 times),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3 times) scale were mainly used. In adulthood, death anxiety (5 times) and meaning of life (4 times) scale were mainly used. In older adulthood, death anxiety (8 times), self-integration (4 times), cognitive acceptance of death (3 times), and quality of life (3 times) scale were mainly us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s, improving recognition of death and death anxiety were prevalent in childhood. In adolescence, the need for death education, understanding death, legal wills, inheritance, funeral ritual planning, and bucket list planning were prevalent. In adulthood,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medical decisions, and understanding of hospice were prevalent. In older adulthood, elderly life, loss and healing, and understanding of aging and disease were prevale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considering the degree of death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death at each stage of development, and customize death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developmental task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