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사임당 <초충도>의 소재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유정은 ( Yu¸ Jeongeun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5 No.-

        본 논고는 신사임당의 예술작품 중 가장 많은 전칭작이 전하는 <초충도>의 소재를 분석하고, 그 소재에 담긴 상징성의 의미를 연구하여 사임당이 <초충도>에 담아 전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는지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신사임당은 500여 년 전 조선사회에서 여성으로서는 매우 드물게 시ㆍ서ㆍ화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불리면서 지금까지 존경받고 있는 대표적인 여성 예술가이다. 특히 그림 부문에서의 예술적 능력이 가장 두드러졌는데, 그중에서도 초충 화목에서는 조선초기의 초충도 작품이 대부분 사임당의 것으로 회자될 정도로 그 위상이 높다. 사임당의 <초충도>가 지금까지 높은 예술성으로 회자되고 있는 이유는 그녀의 예술적 재능뿐만 아니라 인(仁)과 덕(德)으로 완성된 인품까지 그림에 함께 담겨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임당의 대표적인 전칭작 중 <초충도> 24점에 등장하는 초충의 소재를 분석하였고, 각각의 초충이 가지고 있는 상징적인 의미와 가치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임당이 가장 많이 그린 초충은 어떤 것이고, 또 그 소재를 화폭에 담으며 사임당이 염원했던 가치는 무엇이었는지 미루어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임당에게 있어 초충을 그린다는 것은 단순한 사생이 아니라 ‘만물을 낳는 어머니의 마음’이었을 것이고, ‘타인을 향해 있는 겸허의 마음’이었을 것이고, ‘모든 존재가 제자리에서 제 빛을 드러내는 조화의 마음’이었을 것이다. 사임당의 그림을 보고 아들 율곡은 ‘모두 지극히 정묘하다[俱極精妙]’라는 넉자로 표현하였다. 또 사임당의 초충도에 발문을 남긴 조선후기 문신 신경과 홍양한은 ‘그림을 잘 그려 신묘한 경지에 들어간 사람[善畵而入神妙者]’이라고 칭송하였다. 공자가 말한 도(道)에 뜻을 두고, 덕(德)을 지키며, 인(仁)에 의지해서, 예(藝)에서 노닐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평가라 생각한다. 천지만물과 더불어 삶을 영위하고 그 속에 담긴 자연의 섭리를 깨달으면서 이에 순응하며 살고자 했던 조선의 여성 신사임당은 <초충도>와 함께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500여 년의 세월에 종이와 비단에 스몄던 먹빛은 바래고 또 바랬지만 사임당이 <초충도>에 담았던 사랑과 조화의 생명력은 아직도 살아 숨 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what Shin Saimdang aims to deliver through < Grass-and-Insect Paintings > by analyzing the materials of < Grass-and-Insect Paintings > with the most works estimated as Shin Saimdang’s out of her artworks, and then researching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materials. Shin Saimdang is a representative female artist who is still admired as she was excellent at all the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which was a very rare case as a woman in Joseon society about 500 years ago. Especially, her artistic ability in paintings was the most remarkable, and the status of her grass-and-insect painting works is high enough that most of the grass-and-insect painting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s told as her works. Shin Saimdang’s < Grass-and-Insect Paintings > are still regarded as high artistry because her paintings not only contain her artistic talent, but also her character completed with benevolence and virtue. This thesis analyzed the materials of grass and insects shown in 24 pieces of < Grass-and-Insect Paintings > out of Shin Saimdang’s representative works, and also considered the symbolic meanings and value of each grass and insect. And this thesis also aimed to understand the grass and insects that Shin Saimdang drew the most, and the value she longed for while drawing the materials. To Shin Saimdang, drawing the grass and insects must be not simply making a sketch of them, but the ‘heart of mother who gave a birth to everything’, ‘humble attitude toward others’, and ‘harmonious mind where every being reveals its own light in place’. After looking at Shin Saimdang’s painting, her son Yulgok said ‘Everything is extremely exquisite’. Also, Shin Gyeong and Hong Yanghan as literary offic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left the epilogues in her grass-and-insect paintings, praised her as ‘the one who has reached the miraculous level because of her excellent ability to draw paintings’. She could receive this evaluation because she aimed for Confucian Tao, obeyed the virtue, depended on benevolence, and observed the courtesy. Shin Saimdang who was a woman of the Joseon Dynasty, aiming to enjoy her life together with all creatures, to realize the provision of nature, and to adapt herself to it, is living in the 21st century together with < Grass-and-Insect Paintings >. Even though the ink color on paper and silk faded after about 500 years, the vitality of love and harmony contained in her < Grass-and-Insect Paintings > should become a chance to see that they are still alive.

      • KCI등재

        강정일당의 『척독』에 드러난 공부론 연구

        유정은 ( Yu Jeongeun ) 한국공자학회 2024 공자학 Vol.52 No.-

        본 논문은 조선후기 여성 성리학자로 불리는 강정일당의 문집 『정일당유고』속의 척독 을 분석하여, 척독 의 내용 속에 드러난 특징과 그녀의 공부 방법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정일당유고』에 전해지는 『척독』은 모두 82편이다. 이 82편의 『척독』을 중심으로 척독의 특징과 척독에 드러난 그녀의 학문에 대한 의지, 공부의 목적을 살펴본 것이다. 척독은 정일당이 남편 윤광연에게 보낸 쪽지편지로, 주된 내용은 남편의 학문과 수신(修身)을 권유하는 내용, 일상에서의 예법과 의례에서의 예법 등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밝히거나 문의하는 내용, 남편이 제자들을 가르치면서 보여야 할 스승의 자세를 조언하거나 교우관계에 있어서 옳지 못한 행동들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또 자신이 공부하는 서책에 대한 궁금증도 담겼고, 필요한 서책을 빌려와달라는 강력한 요구도 포함되어 있다. 더 나아가 자신의 학문 목적을 남편에게 밝히는 당찬 포부도 모두 척독에 드러나 있다. 정일당의 신념은 성인과 범인은 그 본성에 있어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기 때문에 누구나 공부를 통해 공자와 같은 성인이 될수 있다는 것이었다. 더 나아가 여성도 남성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기에 규방의 여성 역시 공부를 통해 자신을 수신해 나간다면 성인에 이를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까닭에 여성 교육의 부재에 대한 안타까움도 당당히 척독에서 주장하고 있다. 즉 여성을 남성의 부수적인 존재가 아니라 개체성을 인정하는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한 것이다. 이는 조선 최초의 여성 성리학자라 불리는 임윤지당의 사상을 적극 수용한 것이지만 임윤지당의 사상을 수용한 것에만 머무르지 않고 남편 윤광연을 성인지도(聖人之道)의 길로 이끌어 그로부터 스승으로 인정받은 확장된 신념과 실천력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규방 여성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 오롯이 인정받았던 강정일당의 독실한 공부 방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Jeong Il-dang’s study methods that are revealed in the contents of Cheokdok by analyzing the Cheokdok in the collection 「Jeongildang Yugo」 written by Kang Jeong Il-dang, who is a female Neo-Confuciani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are a total of 82 Cheokdoks included and remaining in Jeongildang Yugo. Focusing on these 82 articles,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heokdok and looks into her will to study and the purpose of study. Being notes sent by Jeong Il-dang to her husband Yoon Kwang-yeon, the contents of Cheokdok are as follows: the recommendation on study and moral training to her husband, her own opinion and inquiry about both ordinary etiquette and ritual etquette, advises on the attitude of a teacher which her husband needs to show his disciples, and a comment on inappropriate behaviors in friendship, and so on. Furthermore, there are curiosity about the books she studies, a strong request to borrow the necessary books, and additionally, her determination by which she reveals her academic objectives to her husband in this Chukdok. Jeong Il-dang's belief was that there is essentially no difference between saints and ordinary people in their nature, so anyone can become an saint like Confucius through studying. Furthermore, since men and women are intrinsically not different, women in Gyubang are also able to reach being a saint if they cultivate themselves through study. For these reasons, the regret over the lack of women's education is also boldly expressed in Chuckdok. In other words, she recognizes women not as accessaries to men, but as independent beings who are recognized as having individuality. This is an active acceptance of the belief of Im Yoon-ji Dang, who is called the first female Neo-Confucianism scholar in Joseon, but by extension, as Jeong Il-dang leads her husband Yoon Kwang-yeon to the path of becoming a saint(聖人之道), it shows her broadened belief and power of execution that are recognized as a teacher by him. In this paper, we will be able to confirm the committed study method of Kang Jeong-ildang, who is recognized wholly as a human being, not as a woman in Gyubang.

      • 제 2 부 한국의 효사상과 효문화 : 신사임당 가계의 효행관 고찰

        유성선 ( Sungseon You ),유정은 ( Jeongeun Yu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5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5 No.-

        본 논고는 신사임당의 가계도와 가문의 친족에 따른 효행관을 고찰하였다. 신사임당의 어린 시절에 관해서 전해오는 기록은 별로 없지만 효행과 예술철학의 논의는 율곡의 「선비행장」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조선조 시대에 부친 신명화가 세상을 떠나자 친정에서 여자의 몸으로 3년 상을 마친 것만 보아도 그녀의 효성을 잘 알 수 있다. 또한 신사임당은 여자가 갖추어야 할 부덕은 물론이요, 부모님에게 행한 효행이며, 자식을 향한올바른 훈육까지, 거기에다 당시 조선사회에서는 생각할 수 없을 만큼의 예술적 재능까지 모두 펼쳐낸 분이다. 본 논고의 차제는 신사임당의 생평과 효행/ 부친 신명화(申命和) 공/ 모친 용인이씨(龍仁李氏)/ 부군 이원수(李元秀) 공/ 4남 3녀의 자제 양육/ 효행관의 의의와 전망이다. 신사임당이 오늘날 어머니 상으로 추앙을 받게 된 데에는 그녀의 어머니 용인이씨 및 부친 신명화 공의 가르침이 절대적인 영향이라고 할 수있다. 또한 율곡을 비롯한 4남3녀 모두 어머니 사임당의 훈육으로 모두 훌륭하게 성장하였다. 당시 조선조 통치이론인 유교의 남성적 우위의 사회적 불평등을 감당하고 당당한 여류 예술가로서 자임한 것은 신사임당만의 예술적 미의식과 사상적 배경이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신사임당은 예술가인 동시에 높은 덕과 인격을 쌓은 어진 부인으로, 또 훌륭한 어머니로서 우리나라 여성의 모범이 되어 존경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신사임당의 족적을 통해서 우리는 21세기 인성 확립의 시대에 전통의 현대화라는 시금석을 적용할 때이다. 따라서 신사임당의 가계 또는 가문 중심의 효행 관계를 고찰하는 일은 신사임당의 삶과 예술철학의 기초를 새롭게 정립하는 일이다. This research considered filial behavior view along with Shin Saimdang``s genealogy and the relatives of the family. There is little record about Shin Saimdang``s childhood, however discussion on filial behavior and art philosophy could be identified through Yulgok``s 「Seonbihaengjang」. Also, considering that she completed 3-year mourning as a woman at her parents`` home when his father Shin, Myunghwa passed away during Joseon Dynasty, we can understand her filial love well. And Shin Saimdang not only had virtue as a woman, filial behavior for her parents, right education for children, but also unfolded artistic talent that could not even be imagined during the Joseon society. Following paper of this research will be on significance and prospect of Shin Saimdang``s lifetime and filial behavior/ father, Sir Shin, Myunghwa(申命和)/ mother Yongin Lee(龍仁李氏)/ husband Sir Lee, Wonsoo(李元秀)/ education for 4 sons and 3 daughters/ filial behavior view. In respect that Shin Saimdang has been adored as a mother``s image today, it can be said to be the absolute influence of her mother Yongin Lee and father Sir Shin, Myunghwa``s education. Also, all 4 sons and 3 daughters including Yulgok grew greatly along with mother Shin Saimdang``s education. The point that she posed as a dignified woman artist by coping with male-dominated social inequality of Confucianism, ruling ideology of Joseon Dynasty took was based on the great role of Shin Saimdang``s own artistic esthetic consciousness and ideological background. Shin Saimdang was a benevolent woman with high virtue and personality, at the same time an artist, and as a great mother, she is respected by being a model of our nation``s women. In this respect, it is time to apply a touchstone, modernization of tradition in the21st personality establishment era through Shin Saimdang``s legacy. Therefore, consideration on Shin Saimdang``s filial behavior centered with genealogy or family is a new establishment of Shin Saimdang``s life and basis of art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