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와 입소장애인의 인권충돌 요인과 갈등전환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유승주(Seoung-Ju YU),전중렬(Joong-Ryul JU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거주시설 입소장애인과 종사자의 인권충돌 사례와 요인, 갈등 후 현상, 갈등전환과정의 규명에 있며, 연구방법은 사례중심으로 근거이론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전체 14명으로 시설거주 및 근무 1년 이상자로 장애인 7명, 교사 7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거주시설 내부에서 장애인과 종사자들의 인권충돌에 의한 갈등경험은 일상생활 및 가사활동, 사회적응활동 등 삶의 전반에서 나타났으며, ‘가정생활영역’, ‘교육지도영역’, ‘사회화영역’, ‘관계성영역’ 등 일상생활 전체로 연구되었다. 둘째, 거주 장애인과 종사자들이 경험한 인권충돌에 의한 갈등의 진행과정으로 갈등경험(단계)는 ‘가정생활영역’, ‘교육지도영역’, ‘사회화영역’, ‘관계성영역’에서 비주기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거주시설의 장애인과 종사자들의 인권충돌 갈등감소 요인은 기존의 주입식 집합교육의 한계를 넘는 ’사례중심 인권교육‘, 적극적인 개입과 원인제거뿐만 아니라 예방까지도 가능한 ’갈등중재 매뉴얼‘, 관리자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관리자 적극대응‘과 갈등의 원인과 과정에서의 환류(feed back)를 위한 성찰적 ’자기변화 노력‘으로 연구 되었다. This study, cases and factors of human rights conflic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post-conflict phenomena, and conflict transition processes were studied using case-based evidence theory.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was 14, with 7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7 teachers with more than 1 year of living or working in the facility. First, conflict experiences caused by human rights conflicts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ppeared in all aspects of their lives, including daily life, housekeeping, and social adaptation activities. It appeared as a whole of everyday life such as socialization domain and relationship domain . Second, the conflict experiences (steps) that appear as a process of conflict caused by human rights conflicts experienc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workers appeared aperiodically in home life zone , education guidance zone , socialization zone , and relationship zone . Third, There are four ways to reduce the conflicts between disabled people and social workers in facilities with disabilities; case-based human rights education that exceeds the limits of the existing infusion collective education, conflict arbitration manual , which can make active intervention, cause-elimination and prevention possible, active management of managers for managers’ smooth communication, and reflective self-change efforts for the feedback during the cause of conflict and process.

      • KCI등재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사업 시행과정과 운영실태 및 발전요인에 관한 질적연구:수행기관 종사자 중심

        유승주(Seoung-Ju YU),전중렬(Joong-Ryul JU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사업의 시행과정과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로 연구참여자는 광주광역시에서 장애인고용공단으로부터 사업의 운영을 위탁 받은 수행기관 3곳의 종사자 및 관리자 포함 전체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범주와 10개의 주제 모음, 26개의 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사업의 시행과정은 사업체에 고용된 장애인이 신청서를 작성 후 고용주의 동의를 득하여 장애인고용공단에 ‘신청’, 공단은 근로장애인의 직업능력을 평가하여 수행기관으로 ‘의뢰’하고, 근로장애인에게 적합한 근로지원인을 ‘연계’ 및 ‘배치’한 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관리’와 ‘운영’을 실시한다. 둘째, 근로지원사업 운영 실태는 근로지원인 주요업무 및 근무조건은 ‘근로장애인 주 업무 보조’를 맡고, 근무여건은 ‘시급제근무, 선택적 근무시간 및 휴무불가’로 지체장애·지적장애·신체장애 등 ‘장애유형별 업무특성’과 생산직·사무직·서비스직 등 ‘근로지원 수행업무별 근무형태’와 공단 및 수행기관의 역할, 관리·감독 활동 등 ‘수행기관 주요업무’로 조사 되었다. 셋째, 근로지원사업 발전요인은 ‘전문자격자 인력풀 확보’와 ‘지원대상 적용 확대’등이 요구된 근로자 측면과 ‘근로조건 현실화’와 불가피한 추가업무에 대한 ‘근로지원인 권익증진 근무지침 마련’의 근로지원인 측면 그리고 ‘사전교육 의무화’ 적용, ‘전문·추가인력 배치’등의 수행기관 측면, ‘관리프로그램 통일 및 간소화’와 ‘범죄 및 감염예방 사전 조치’를 위한 공단 측면의 요인들로 연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operation status of the work support project for the severely disabl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7 people including the workers and managers of 3 organizations entrus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project by the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3 categories, 10 topic collections, and 26 topics. First, as for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work support project for the severely disabled, a disabled person employed by the company fills out an application form, obtains the consent of the employer, and applies to the Employment Ser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Corporation evaluates the vocational ability of the disabled and requests it to the implementing agency. After connecting and deploying a support personnel suitable for the disabled, they visit regularly to conduct management and operation . Second, as for the operation status of the labor support project, the main tasks and working conditions of the labor supporter are subsidizing the main work of the disabled , and the working conditions are hourly wage work, selective working hours and non-working days off . Work characteristics by type of disability such as intellectual disability, physical disability, work type for each work support performance such as production, office, and service positions, and main tasks of performing organizations such as roles of the Corporation and implementing agencies, and management and supervision activities were found as their work. Third, th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abor support project were investigated as following three aspects. One, the aspect of workers who are required to Secure a pool of qualified professionals and Expand the application of support targets . Two, Realizing working conditions and Preparing work guidelines to promot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labor supporters for unavoidable additional tasks. the aspect of labor support workers of the company. Three, the application of compulsory pre-training , the aspect of the implementing agency such as deployment of specialized and additional manpower , and the side of the Corporation for unification and simplification of management programs and preemptive measures to prevent crime and infection .

      • KCI등재

        대학에서 보건·의료·복지분야 다직종연계교육(IPE)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용섭(Yong-Seob KIM),유승주(Seoung-Ju YU)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1

        세계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다양한 보건·의료·복지 분야의 복합적 문제 접근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 대상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학교육의 현장에서도 다양한 직종의 전문가들의 협업을 통한 문제 해결에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다직종연계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다직종연계교육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중심으로 개념과 발전과정을 정리하며, 다직종연계교육의 주요 이론 및 특성을 조사함과 동시에 외국과 우리나라 대학의 다직종연계교육 실태와 경험에 따른 실행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진일보된 새로운 다직종연계교육의 패러다임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직종연계교육이 단순 기존의 교육과정이나 학습방법의 일탈이 아닌 다양한 직종 간의 협업을 통한 상황적 지식증진과 수행능력의 향상에 있음을 확인한다. 이와 같은 전문분야 간의 학습을 통한 상생적 대학교육 모델은 학생뿐만 아니라 현장 전문가까지 활용할 수 있는 보건·의료·복지 전문가들이 가져야 할 다직종연계 역량 개발과 대학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As the country enters an aging society 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are eligible for services that require complex access to problems in various fields of health, medical and welfare. For this reason, the need fo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which can enhance accessibility to problem-solving through collaboration of experts from various professions, is also required at the site of universit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paradigm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that has been advanced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organizing concepts and development processes around them, investigating the main theori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presenting implementation models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experience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t foreign and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thi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seeks to improve its situational knowledge and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various professions, not just a deviation from existing curriculum or learning methods. The win-win university education model through learning among these professional fields is an exploratory study aimed at presenting the development of multi-task-linked competencies and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education that health, medical, and welfare experts should ha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