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과학관련 진로선택에 나타나는 성차에 관한 사회인지적 분석

        유순화(Soon Hwa Yoo) 한국상담학회 2001 상담학연구 Vol.2 No.1

        While currently dominating theories, such as Super`s theory, Holland`s theory,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and social learning theory of career decision-making, are generally sou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lack explanatory power when applied to women`s career development. A new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 (SCCT) seems to be able to adequately account for the career behavior of women as well as 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gender, learning experience,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interest in the process of science career choice of high school students, as a partial test of the SCC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six competing career path models were developed and tested using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In addition to testing these six general models, two additional models for each gender were analyzed to closely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career choice process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sample consisted of 719 high school students in Ohio from 12 schools.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generally supported the utility of SCCT in explaining the career choice proces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by SCCT, self¬ efficacy mediated gender effect on science career choice. However, the learning experiences (performance accomplishments and verbal persuasion), the important sources of self-efficacy information, did not mediate the gender effect on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failed to demonstrate the SCCT`s notion tha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affect career choi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However, the results did confirm the indirect effects. Relation to counseling research of these findings, counseling implications, and application possibilities to Korean situ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여대생의 생애목표와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

        유순화 ( Yoo Soon Hwa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8 여성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여대생의 생애목표와 진로적응성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정준상관 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부산과 경남에 소재하는 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생애목표와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생애목표의 하위요인인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를 독립변인군으로,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인 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생애 목표 가운데 삶지향목표가 성취지향목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적응성 하위요인 중에는 통제가 가장 높았고 관심, 호기심, 자신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준상관분석 결과 유의미한 정준함수가 도출되어 생애목표와 진로적응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생애목표의 하위요인인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는 모두 진로적응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성취지향목표가 삶지향목표보다 진로적응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성 하위요인도 모두 생애목표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관심, 호기심, 통제, 자신감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자대학생을 위한 진로적응성 향상 프로그램에 생애목표의 균형적 발달을 돕는 개입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goals and career adapt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1 female college students in A city and B province. To analyze the data,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score in the personal life goals than the achievement goals. The scores of career adaptability came in the order of control, concern, curiosity, and confidence. Second, a significant canonical function was produced, therefor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fe goals and career adapt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was found. Third, both subscales of life goa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career adaptability, achievement goals having larger effect than the personal life goals on the career adaptability. All four subscales of career adaptability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life goal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유순화 ( Soon Hwa Yo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 하위변인 간의 관계를 고려한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우리나라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B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536명 이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에서 성차가 발견되었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심리적 안녕감이 높고 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는 반면,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인 간의 상관분석에서는 인지적 정서조절 가운데 적응적 정서조절만이 심리적 안녕감과 실제적인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적 정서 조절 하위변인군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두 변인의 하위변인 간의 관계가 남녀 학생 간에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도모할 때는 남녀의 차이를 고려하고, 부적응적인 전략 보다는 적응적인 전략의 사용을 촉진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각된 부모화 경험이 청소년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문소희 ( So Hee Moon ),유순화 ( Soon Hwa Yoo ),윤경미 ( Kyung Mi Yu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화 경험과 정서표현양가성, 청소년의 안녕감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화 경험이 청소년의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농촌지역에 소재한 10곳의 중ㆍ고등학교 남ㆍ여학생 6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그 중 613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 정서표현양가성,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안녕감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청소년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안녕감 역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정서표현양가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화 경험과 청소년의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화 경험은 청소년의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과 상담에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well-being of adolesc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13 students sampled from 10 school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y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well-being, parentific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To analyze the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ll-be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fic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However, parentifi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Seco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well-being.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ovided.

      • KCI등재

        초등 여교사의 명예퇴직 이유에 대한 Q방법론적 분석

        최정임 ( Jeong Im Choi ),유순화 ( Soon Hwa Yoo ),이성실 ( Seong Sil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초등 여교사의 명예퇴직 이유를 Q방법론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선행 문헌연구에서 드러난 명예퇴직 이유를 참고하고, 실제로 명퇴한 초등교사 4명과, 상담심리 전문가 1인의 면담을 통해 명예퇴직의 이유를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문항 78개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명퇴교사 1인과 상담심리 전문가 1인, 교육학 교수와의 논의와 자문을 거쳐, 최종 34개의 진술문을 채택하였다. 이 진술문을 명퇴한 초등 여교사 41명으로 하여금 9점 척도의 Q분류 분포도 상에 강제 배분하도록 한 후, 개인면담을 통해 그 이유를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28명의 대상자가 최종 유형에 포함되었으며, 가장 동의하거나 부정하는 진술문과 식별문항 중심으로 해석하여 명퇴 이유를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제1유형은 소진형, 제2유형은 안전추구형, 제3유형은 제2의 인생설계형, 제4유형은 현실문제탈피형, 제5유형은 개인행복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명예퇴직을 희망하는 교사와 체계적 명예퇴직 제도의 수립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asons of voluntary retirement of femal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by using Q-methodology. Seventy-eight Q statements representing the reasons of voluntary retirement were drawn from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four retired female teachers and one counseling specialist. Finally, thirty-four Q statements were selected by a female retired teacher, a specialist in counseling and a professor majoring in education. The sample was consisted of 28 female retired teachers. They were asked to rank-order Q statements on the 9-point continuum, then explain the reasons why they made the orders. The result of the Q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most agreed and the most disagreed statements: 1) burn-out, 2) pursuit of safety 3) planning for new life, 4) escaping from reality problems, 5) pursuit of individual happiness. It is suggested that the needs and the directions of policy for voluntary retirement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용 낙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회성 ( Lee Hwe Seong ),유순화 ( Yoo Soon Hw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상황에서의 초등학생용 낙인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 고찰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낙인의 개념적 요소를 탐색하였으며, 잠정적으로 결정한 개념적 요소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용 낙인 척도는 대중적 낙인과 자기 낙인, 두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행요인과 구성요인을 포함한다. 둘째, 초등학교 4, 5학년 567명이 참여한 예비검사 응답 자료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대중적 낙인 2요인 26문항과 자기 낙인 2요인 26문항으로 결정하고, 하위요인은 배제와 편견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확정된 초등학생용 낙인 척도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본검사에는 초등학교 4, 5, 6학년 1,020명이 참여하였으며, 응답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구조의 적합성을 검증하였고, 내적 합치도,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hat can measure a stigma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situations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To address these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followed standard procedures for scale development. First, a basic framework for the scale of stigma was established. The conceptual elements of stigma were investiga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 open basic survey related to stigma. Next, this study developed a stigma scale by conducting ques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nall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igma scale were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igma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sts of two areas, public stigma and self-stigma. Second, we managed preliminary measures of 56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5.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each area of stigma scale consisted of 2 factors with 26 items. The two factors in each area were 1) exclusion and 2) prejudice. Third, the model fit of factor structure,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Stigma-Scale were examined by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different sample of 1,0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6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was appropriate. Also, public stigma scale had no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elf stigma scale had a deep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The scale of public stigma was a bit correlated with stress, and self stigma was deeply correlated with stress. The reliability of the test-retest was also shown on a reliable scale.

      • KCI등재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태도에 대한 지각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영숙 ( Young Sug Park ),유순화 ( Soon Hwa Yoo ),한귀녀 ( Gui Nyeo Han ),정애리 ( Ae Ree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7 초등교육연구 Vol.20 No.3

        교사태도에 대한 아동의 지각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많이 보고되었으나,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직무만족 여부가 아동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교육효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라 교사가 아동을 대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고, 교사가 아동을 대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으면 아동의 담임교사에 대한 지각 또한 달라져서 결과적으로 아동의 학교적응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담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아동의 담임교사에 대한 지각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S, G, W 초등학교 4~6학년 담임교사 50명과 담당 학급의 아동 1082명이 참여하여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학생의 교사에 대한 지각을 1단계로,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2단계로 회귀방정식에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보통``보다 다소 높았으며, 아동들은 대체로 담임교사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고, 학교생활에도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에 대한 지각 및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태도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간의 상관이 높았다. 셋째,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에 대한 지각은 모두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임이 밝혀졌다. 특히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아동의 교사에 대한 지각이 투입된 후에도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임으로써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아동교육의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도 모색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Study results have frequently reported that children`s perceptions of teachers` attitudes have an influ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se studies do not examine how teachers` job satisfaction affects teachers` attitudes, and how it is thereby a factor having an influence on children and educational outcomes. This study examines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 50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4~6 graders from 3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their 1,082 childre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reveal the effect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o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oth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ppeared as a significant variable after controlling a common part with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increas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teachers` job satisfaction.

      • KCI우수등재

        부모효능감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회성(Hwe Seong Lee),유순화(Soon Hwa Yoo) 한국아동학회 2013 아동학회지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research findin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it as well as to produce results using meta-analysis. The following questions guide this study: Which variables are frequently conducted in research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What is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The 65 studies whose results are analyzed in this paper were collected via a search for investigations focusing on ``parenting efficacy``. The studies were used for meta-analysis in which eleven variable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a large effect size is produced by the parenting stress in a negative direction. A higher than medium effect size occurs on the basis of parenting beliefs in a negative direction. A higher than medium effect size is also caused by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care and social support. A medium effect size is produced on the basi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a small effect size is the result of the mother`s academic background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s income.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