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미술교육에서 도조의 특성을 이용한 지도방안 연구

        유순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teaching methods by using characteristics of ceramic sculpture in Art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eramic sculpture is a combination of ceramic art and sculpture, meaning the "Expression of aesthetic value of a sculpture by ceramic technique". This is one of the modern art phenomenon seeking novelty. One trait of modern art is that the artist tries to express one's subjective concept (individual identity) through the artwork by attempting various techniques. Also there is a tendency to transcend the boundary of genres. Like process art (conceptual art), the art works have come to the point where the original work is destroyed after taking a photograph of one. Therefore, judging by the modern art trend, the concept (individual identity) of an artwork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ceramic sculpture also, and how the artist's concept (individual identity) is represented is the center of attentio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students' concept (intention, thoughts) to their work by applying teaching methods of characteristics of ceramic sculpture to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develop their creativity, which is a modern trend. In the traditional Korean ceramic art, pottery was baked for practical use with decorative effects. The modern Korean ceramic art which is influenced by American ceramics was changed to make artworks for expression of aesthetic value of a sculpture. So ceramic sculpture is the resul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various cultures from foreign countries. Ceramic sculpture is one of the many sculpture arts, a pure art contains its own concept (individual identity) and a contemporary ceramic craft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individual creativity; it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 sculpture and find ways to apply it education-wise, in order to put the students' concept (intention, thoughts) to the artwork, understand the traditional ceramics technique, and also be able to understand / effectively express the traits of molding element / principl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 sculpture can be defined by these three things based on the meaning or the common points in production. First, it is a tendency of experimental art, so I call it as a 'characteristic of modern art'. This characteristic emphasizes on including the artist's concept (individual identity). Also expressing the properties of clay through improvisation, changing the traditional process by adding various material, or transcending the boundary of genres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Secondly, there's a tendency to maintain the traditional ceramic producing method and its practical use. I call it as a 'characteristic of ceramic crafts'. Maintaining practicality or the image of practical container / including decorative elements / using only clay as material / process of traditional clay molding / emphasis on colouring with glost and firing are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 crafts in ceramic sculpture. Third, there's a tendency to disregard purpose of practical use to freely express the aesthetic value of a sculpture. I call it as a 'sculptural characteristic'. Sculptural characteristics are 3-dimensional representation, created in grand scale, oriented towards the aesthetic value of sculpture and molding technique. According the varying types of ceramic sculpture and relevant subjects,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 sculpture cited above are arranged as an education plan. This is related to the 2009 revised art major curriculum's expression activity. First, the education pla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art' aims to include concept(intention, thoughts) in the art work in the scope of 'expression of subject', and experience to use various materials in the scope of 'method of expression'. Secondly, the education pla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ceramic crafts' aims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ceramic producing method and follow the process of traditional clay molding. Lastly, the education plan according to the 'sculptural characteristic' aims to understand the traits of molding element/principle, and research the aesthetic value of a sculpture based on such understanding. The result of applying the above education plan is as follows : First, including the concept(intention, thoughts) as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art was successfully achieved. This was proved by the artwork that expressed various individuality, inner self, and experiences. Secondly, the students expressed themselves with various vocabularies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concept into their artwork. Also the colleagues were helpful in improving each other's linguistic expression. Third, the understanding of producing traditional ceramic was acknowledged through their practical ceramic work. Fourth, it was observed that the students' representation of 3 dimensional art work was improved with the expression method based on the traits of molding element and principle .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was putting the concept(intention, thoughts) into the students' work. In the class, finding the artist's concept was more important than referring to the sample's shape. Consequently the class put more emphasis on leading the flow of thoughts rather than the result itself. This study accomplished initial goal of improving the students' ability to express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ncept by the education pla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eramic sculpture. The students experienced improvement in creative expression of artwork and were able to understand / accept the modern art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ncept. 본 연구의 목적은 도조의 특성을 초등미술교육에 이용할 지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도조는 도자예술의 전통적 작업방식을 그 기본적 바탕으로 하고 그 위에 조각 장르의 조형작업의 특징을 접목한 것으로서 <도자의 조각적 표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두 가지 장르의 장점을 접목하여 새롭게 탄생된 것으로서 현대미술에서 새로움을 추구하는 경향의 일환으로 생성된 것이다. 현대 미술의 특징은 작가의 정체성을 담기 위하여 항상 새로운 시도를 추구하고 장르를 초월코자 하며, 개념미술과 같이 작품은 사진 기록으로만 남기고 작품 자체는 해체하여 남기지 않는 단계까지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현대미술의 경향으로 볼 때 도조에서도 작품의 개념이 매우 중시되고 있으며, 작품에 작가의 정체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가가 주목되고 있다. 도조의 교육적 적용을 통하여 학생들이 개념(의미, 생각)을 작품에 담는 표현과정은 현대의 시대적 요구인 창의성 계발에 매우 필요하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실용적인 용기에 장식적 효과를 가미한 작품을 제작하여 왔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도조의 흐름이 한국에 많은 영향을 주면서, 이러한 전통 도예의 기반 위에 조각적 특성이 가미된 작품이 제작되고 있다. 따라서 도조는 민족 고유의 미술영역과 세계의 다양한 문화가 서로 교류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으로써 자기 정체성을 담은 순수 미술이라고 볼 수 있으며 현대도예인 동시에 조각의 한 종류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도조 작품의 특성을 주목하여 지도방안에 이용함으로써 학생의 개념(의미, 생각)을 작품에 담고 전통도예 제작방법을 이해하며 조형요소와 조형원리의 특징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 조형미 탐구를 통하여 개인의 창작능력을 증진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의미나 제작방식에서의 공통점에 따라 도조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현대 미술의 실험정신이 강한 경향으로서 <현대 미술적 특성>으로 칭하였다. 이 특성에서는 작가의 개념(자기 정체성)부여가 특별히 강조되며, 즉흥성을 통한 찰흙의 성질(물성)을 표현하는 제작방식, 전통적 제작방식을 변형하여 다양한 재료를 부가 재료로 이용하거나 장르의 초월을 시도하는 것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둘째, 전통적인 도예의 제작방법 및 실용적 의미를 강하게 유지하고 있는 경향으로서 <도예적 특성>으로 칭하였다. 도조의 도예적 특성은 실용성을 유지하거나 실용적인 용기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작품이 많다는 것, 장식적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점, 점토만 사용한다는 점, 전통적인 찰흙 조형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이 많다는 점, 유약을 통한 채색 및 소성과정이 중시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다. 셋째, 실용성을 벗어나 조각에서의 자유로운 조형미 표현을 중심으로 한 경향으로서 <조각적 특성>으로 칭하였다. 도조의 조각적 특성은 3차원적인 표현이며 거대한 스케일(크기)로 제작된다는 것과 조형미 표현이 중심이 되며 제작방법 상 소조기법이 중심이 된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위와 같이 정리한 도조의 특성은 도조의 유형과 연계하여 정한 주제에 따라 지도방안으로 계획되었는데, 2009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표현활동과 연계된다. 첫째 <현대 미술적 특성>에 따른 지도방안에서는 표현활동의 주제표현 영역과 관련하여 개념(의미, 생각)을 작품에 담고 표현방법 영역에서 다양한 재료의 결합 경험을 목표로 한다. 둘째 <도예적 특성>에 따른 지도방안에서는 전통적인 도예 표현방법의 특성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셋째 <조각적 특성>에 따른 지도방안으로는 조형요소와 조형원리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중심으로 조형미를 자유롭게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지도방안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미술적 특성으로서 개념(의미, 생각) 담기를 성공적으로 이루었는데, 이는 자신들의 개성과 내면을 표출하고, 경험을 표현한 작품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자신의 작품에 개념을 담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언어표현을 사용하였으며, 동료 학생의 도움을 받아 언어적 표현 능력이 향상됨이 발견되었다. 셋째 실용성을 갖춘 용기 이미지의 그릇 제작 등을 통하여 전통 도예 제작방법을 이해하였음을 작품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넷째 조형요소와 조형원리를 중심으로 한 표현방법으로 입체작품의 표현능력이 향상됨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장 집중적으로 시도한 것은 학생의 작품에 개념(의미, 생각)을 담는 과정이었다. 참고작품을 볼 때에도 작품의 형태를 참고하려는 생각보다는 작가의 개념이 무엇이었는가를 찾는 것을 우선시 하며 수업하였기 때문에 작품의 결과물 보다는 사고를 이끌어 가는 과정을 중요시 하였다. 도조의 특성을 이용한 지도방안을 통하여 학생들은 작품 표현능력의 상승도 경험하고, 개념(의미, 생각)의 중요성 인지를 통하여 현대 미술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

      • 심정문화교육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순천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선문대학교 한국어교육원에서 심정문화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고, 그동안 한국어 수업과 잘 연계가 되지 않았던 심정문화를 한국어 교육 과정 안에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제안하였다. 한국 사회와 통일사상 모두에서 심정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작용한다. 선문대학교 한국어교육원은 애천 · 애인 · 애국(愛天 · 愛人 · 愛國)의 건학이념을 중심삼고 설립되었으며 한국어 뿐만 아니라 건학이념을 중심한 한국인의 심정문화를 학습할 목적으로 방문하는 유학생의 수도 적지 않다. 그래서 한국어 교육과정 속에서 한국의 심정문화를 느끼고 체휼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통하여 심정문화 교육을 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인간 사회의 기본 단위인 가정 안에서 체득할 수 있는 부모의 심정, 부부의 심정, 자녀의 심정, 형제자매의 심정을 한국어교육원에서 교육 가응한 심정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심정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심정문화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자료가 개발되어야 하고, 부모의 심정으로 학습자를 지도할 수 있는 교사 양성 교육이 필요하다.

      • 성인을 위한 동화 '아낌없이 주는 나무'를 모티브로 한 화예작품 창작에 관한 연구

        유순천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ttempts to shape inspiration from a fairy tale called The Giving Tree into hwaye(floral art) by making a creative space which recalls mother’s love. The image of my mother I have is a warm-hearted one whom to stay with permanently. I remember that my mother was always an early bird and a benevolent person. She loved raising vegetables and plants, and sharing garden products with not only family but also with neighbors. I found the image of a typical mother in The Giving Tree. Every mother shows unconditional love for her children that the tree gave both when it was a young tree and when it was an old stump. Rereading this tale reminded me of the childhood purity and innocence. Since this experience, I had wanted to visualize the places which bring memories of mother back. One day, I met the very image at a place named Mother’s Garden by chance.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express the remembrances of my mother with the motives that I had found at Mother’s Garden, and to visualize them in five places: Tea Room, View from the Terrace, Mother’s Room, Bathroom, and Bedroom. To be specific, I intended Tea Room as a communicational place for feeling mother’s affection, View from the Terrace as a hopeful place for starting a day, Mother’s Room as a parental place for feeling mother’s breath, Bathroomas a resting place after a tough day, and Bedroom as a blessed place for falling asleep. According to presented research, I conducted hwaye creation utilizing a story line, sketch references, photographs, and an onsite visit, and I presented images and scenes of a living space to which hwaye was applied as a finished product. Each of the five places was composed of one piece of work, and in each piece natural material was used as main media to actualize space in order that not only can people feel the naturalness and vitality of plants but also they can understand the work as a means to recall mother’s love. 본 연구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라는 동화에서 영감(靈感)을 받아 어머니의 사랑을 장소적 모티브와 연관시켜 화예 창작을 행한 연구이다. 연구자의 기억 속의 어머니는 따뜻하고 영원히 같이 있고 싶은 존재이다. 어린 시절 기억되는 어머니는 항상 일찍 일어나서 마당에 밭을 가꾸고 화초와 채소 등을 키우는 일을 즐겨했고 야채를 뽑아 우리 가족뿐만 아니라 이웃에게도 베풀고 나누는 것을 좋아하였던 인자한 분이셨다. 연구자는 동화 ‘아낌없이 주는 나무’에서 나무가 어린 싹으로부터 시작해서 다 늙어 밑둥까지 소년에게 베푼 사랑의 모습에서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관심과 사랑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어린 시절 읽었던 동화책을 성인이 되어 다시 읽음으로써 잊고 지냈던 과거의 순수한 감정과 동심을 떠올리고 어머니와의 추억을 함께 지낸 공간에 갈무리하여 이미지화하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연구자는 우연히‘어머니의 정원’이라는 곳에서 그 이미지를 만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바로 이 ‘어머니의 정원’에서 발견한 모티브들을 가지고 어머니에 대한 회상을 ‘티룸’,‘베란다에서 본 전망’,‘어머니의 방’,‘욕실’,‘침실’이라는 5개의 ‘場所’를 기반으로 풀어내었다. 구체적으로‘티룸’에서는 어머니의 정을 느끼는 대화의 공간을, ‘베란다에서 본 전망’을 통해서는 하루를 시작하는 희망의 공간을, ‘어머니의 방’은 어머니의 숨결이 느껴지는 어른의 공간으로, ‘욕실’에서는 힘들었던 일상으로부터 휴식의 공간을 그리고 ‘침실’에서는 잠자리에 드는 행복한 순간을 작품공간으로 표현하였다. 앞서 제시한 연구를 바탕으로 스토리 기반, 스케치 자료, 사진 및 현장을 통해 화예창작을 실행하였고 최종적으로 연구자가 직접 화예로 생활의 공간을 활용한 이미지의 장면들을 결과물로 제시하였다. 5개의 공간은 각각 하나의 작품으로 구성되었고 다섯 작품의 공간표현에는 자연의 재료를 주된 매체로 하여 식물의 자연성과 생명성을 느끼는 동시에 어머니에 대한 추억과 사랑의 통로로 표현되도록 노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