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ㆍ중ㆍ일 연합 국제 봉사-학습 참여 대학생들의 학습경험 탐색

        유숙영(Ryu, Sook You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3 학습과학연구 Vol.7 No.3

        국가 간 협력은 소통과 이해를 기반으로 한다. 한ㆍ중ㆍ일 3개국은 지역적 근접성과 문화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장애, 정치ㆍ경제체제의 차이, 사회문화적 차이, 역사적 문제 등으로 교류와 협력이 부족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동북아시아 협력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의 하나로 한ㆍ중ㆍ일 3개국 대학생의 연합 봉사-학습 사례를 분석하고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 2005년부터 7년간 한ㆍ중ㆍ일 3개국에서 총60명 이상의 대학생들이 참여했으며,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참여한 학생 10명의 자기소개서, 활동일지와 성찰저널을 분석하였다. 3개국에서 참여한 학생들은 학습목표를 세우고, 함께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봉사활동을 설계하고, 협력하여 활동을 수행하였다. 이 모든 과정에 소통과 이해는 가장 중요한 문제였으며, 학습 성과이기도 하다.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is possibly the major factor in the collaboration among different countries. Although Korea, China, and Japan are located close together and may share many similar cultural roots, they seem to hav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a good partnership due to social and political differences, natural geographical barriers, historical conflicts, and lack of desire to understand cultural differences that happened as time pa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Cooperative International Service-Learning as one of the best ways of education which may build the bases for better partnership and collaboration among these three northern eastern Asian countries. Since the year 2005, more than 60 university students from these three countries have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Service-Learning(S-L) program. We analyzed introductory essays, reflection journals, and reports of 10 participant students of the 2011 program. They set the learning objectives, designed S-L activities, and performed these activities together. Here we find that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are the main obstacles and also the main achiever of a successful International S-L program.

      • KCI등재

        기독교대학의 봉사-학습(Service-Learning) 프로그램의 운영 및 평가

        유숙영(Sook Young Ryu),서윤경(Yun Kyung Se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1 기독교교육정보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Service-Learning(S-L)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hristian higher education. Christian universities were established by precursors of Christian faith and Christian missionaries in order to nurture leaders who will serve Korea and the world as Jesus Christ had set us an example. However,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are now facing the crisis of its' identity and mission in these highly competitive times. It comes from the imbalance of Christian educational vision and academic excellence, weakened community of Christian faith, and lack of whole person education. As Service-Learning was perceived as an innov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promotes the social values as well as enhances learning effects, it begins to be adopted in various courses besides social welfare studies recently. We suggested a case of Service-Learning system of S university, on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in these 5 steps; 1) application and disposition, 2) drawing up a plan and a pledge, 3) Service-Learning activities, 4) reflection on process of Service-Learning, 5) sharing and encouragement. It may give us light on how it will enable Christian universities establish their identity in this world integrating Christian educational vision and academic excellence.

      • KCI등재

        기독교 대학교육에서 봉사-학습의 도입 및 효과

        유숙영(Sook-Young Ryu),서윤경(Youn-Kyung Se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8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의 설립기반인 기독교 교육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방법으로서 봉사-학습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사례를 통하여 국내에서 대학 차원의 봉사-학습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쉽게 바뀌지 않는 교육체제 내에서 혁신적인 방법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정체성과 교육철학을 기반으로 추진해야 한다. 2001년, 기독교 대학으로서 인성과 공동체, 실천을 핵심 가치로 교육하는 S대학교는 일부 과목에서 봉사-학습을 처음 도입하였고, 2005년에 관련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1학점 정규과정으로 제도화하였다. 변화에 대한 부담과 거부감에도 불구하고, 현재 S대학교의 다양한 전공 및 교양과정과 연계하여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도약과 확산의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대학 차원에서 봉사-학습 도입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공동체의 교육목적과 철학에 대한 확신과 헌신이 필요하다. 둘째, 적절한 지원시스템 구축과 인적, 물적 자원이 필요하다. 셋째,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find the better way to adopting Service-Learning(S-L)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An innovative method may be well adopted when it is accord with the educational purpose and philosophy of the university. In 2001, S Women"s University began to develop S-L programs related to major classes with the project fund from the United Board for Christian Higher Education. In 2005, S Women"s University built the support system and secured budget for S-L as 1 credit course related both to major classes and to liberal arts ones in various fields. In spite of fears and worries from some groups about this change, the other groups in the university community have kept adopting S-L in their classes with patience and belief that S-L is accord with the educational purpose and philosophy of this university, that is Christianity. This case of successful adoption of S-L could be a challenge for other universities to reflect on their identities and educational purposes and to attempt to adopt S-L or any innovative ways to educate our next generation better.

      • KCI등재

        대학 글로벌 서비스-러닝에서 협력적 학습코칭 사례

        유숙영(Sook Young Ryu),김인숙(In Sook Kim)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2023 No.10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으로 글로벌 서비스-러닝(GS-L) 교과목의 협력적 학습코칭 운영 사례를 통해 협력적 학습코칭을 적용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의 현장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글로벌 서비스-러닝 교과목의 협력적 학습코칭 수업전략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업 전과 후에 자기평가식 설문조사, 수업 후 성찰보고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과 중요 사건을 중심으로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설문조사 결과, 세계시민의식 척도에서 지구공동체 의식, 다국적 의식, 시민의식의 모든 요인에서 GS-L 활동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민의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다문화적 태도에서 문화차이 이해, 문화차이 수용, 참여 행동 의도의 모든 요인에서 GS-L 활동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행동 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후 성찰보고서에서 협력적 학습코칭 전략의 긍정적 효과는 오리엔테이션과 GS-L 활동 준비, 팀워크와 협업, 활동을 통한 나 자신과 세계,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 확대 및 글로벌 이슈에 대한 관심과 문제해결 참여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어려운 점으로는 GS-L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들 간의 합의와 협력, 그룹내 역동성을 고려한 팀구성,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에 대한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GS-L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교수자의 협력적 학습코칭 전략을 제안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GS-L 활동에서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으로 교수자의 협력적 학습코칭의 실행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coaching in university Global Service-Learning(GS-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evaluation surveys before and after class, and post-class reflection reports. They are analyzed through paired-sample t-tests and categorization focused on important ev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factors of global community consciousness, multinational consciousness, and civic consciousness were found increased after GS-L activities, and civic consciousness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econd, all factors including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acceptanc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attitudes increased after the GS-L activity,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was found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r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ollaborative learning coaching were found in expanding understanding on other cultures, and increasing interest in global issues as well as participation in problem solving. Difficulties were found in reaching consensus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participating in GS-L, forming a team that takes into account dynamics within the group, and demonstrating effective leadership.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n instructor's collaborative learning coaching strategy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GS-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evidence for the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coaching by instructors as an effectiv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in university GS-L activities.

      • KCI등재

        하이브리드 수업에서 중등 예비교사의 참여방식 선택과 학습경험 탐색

        변현정(Byun, Hyunjung),유숙영(Ryu, Sook-Young),서윤경(Seo, Youn-Ky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하이브리드 수업이 위드 코로나 시대에 대안적 수업방식이자 뉴노멀로 자리잡을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력을 갖추어야 하는 중등 예비교사들이 새로운 수업방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중등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하이브리드 수업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학습자의 수업 참여방식 선택과 학습경험이 어떠한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 A대학의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로, 4주간 진행된 하이브리드 수업에 참여한 후, 설문조사(19명)에 참여하였다. 또한 대면, 원격, 혼합(대면과 원격)방식으로 수업에 참여한 학생 각 1명씩 3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교차분석을, 인터뷰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하이브리드 수업에서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 선호도는 수업 참여방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학습자는 수업 선호도에 따라 실제로 수업 참여방식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수업방식에 대한 선호의 이유를 살펴보았을 때, 대면수업의 경우 수업 참여 시 집중도를, 원격수업의 경우 수업 참여의 효율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업 참여방식에 따른 수업에의 소속감이나 참여기회의 공정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소속감이나 참여기회 공정성은 수업 참여방식에 따른 차이 없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2) 하이브리드 수업의 장점에 관하여, 다수의 학생들이 ‘수업 참여방식에 대한 학습자의 선택권 부여’를 꼽았다. 하이브리드 수업의 개선점과 관련하여, 원활한 하이브리드 수업진행과 상호작용을 위해 적절한 테크놀로지 환경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3) 하이브리드 수업경험이 예비교사에게 주는 의미와 관련하여, 하이브리드 수업과 교육실습 경험이 연결되면서 미래의 교실에서 교사로서 어떤 수업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상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됨을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하이브리드 수업은 학습자에게 수업 참여방식에 대한 학습자 선택권을 하는 학습자 중심 수업이다. 하이브리드 수업에 적합한 수업전략이 적용될 때, 학습자는 수업에서 긍정적 학습경험을 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수업은 예비교사가 미래 환경변화에 따른 대응과 준비에 필요한 수업방식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수업을 미래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방식의 뉴노멀로서 예비교사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수업 현장에 적용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choice of participation mode and learning experience in a hybrid class.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After 4 week hybrid classes, 19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ree students in individual interview were performed. The individual interviewees were each from the three groups of participation mode; the face-to-face, the online, and the mixed one. To analyze data, crossover analysis for survey and content analysis for the interview were performed. Results: 1)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preference of participation mode affected to actual participation in a hybrid class. Participants preferred face-to-face to online class because they were able to concentrate better on the lesson. Those who chose online were more concerned with convenience over efficiency. In addition, sense of belonging and perception of equal particip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modes. 2) Most student regarded that the hybrid class’ strongest point was the flexibility of giving the students the freedom to choose the preferred method of class attendance and participation. Student felt that more technological improvement should be made to better suit hybrid class sessions to be in sync with in-class sessions. 3) The hybrid class experience enabled them to imagine the possible future classes and teachers’ role in the new environments. Discussion an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at 1) Hybrid class moved to th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providing them a wider choice of class participation. 2) Instructional design and creating the classroom climate to better suit hybrid classroom are required. 3) The more improvement and support in undergraduate academic structure, technology, and classroom environments should be made for hybrid class. 4) The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new learning methods should be offered i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develop their ability to response to the chang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addressed. As a new norm for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Hybrid classes need to be considered as a strong candidate as the future of educational method.

      • KCI등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권성호 ( Sung Ho Kwon ),박선희 ( Sun Hee Park ),유숙영 ( Sook Young Ry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은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더 나아가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우선, 창의성 및 미디어 교육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창의성 정의와 요인을 찾아내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 방법을 조사하였다. 유아들의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미디어 교육 방법은 미디어에 노출, 미디어 작품 감상, 미디어 내용 분석, 미디어 제작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창의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학습활동으로 언어 및 신체 표현, 그리기, 만들기, 역할놀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는 유치원 교사 2인이 참여하였다. 분석과 설계 단계에서는, 서울 S유치원 6~7세 유아 16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즐겨보는 비디오 프로그램과 주제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유아의 관심 주제에 따른 교수자료와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적용과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7세 20명에게 적용하여 관찰 결과에 따라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10개의 주제로 구성된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개발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하여 세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은 각각의 미디어가 갖고 있는 특성들을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심리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들이 직접 미디어 제작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이를 통해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media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Through examining literature we derived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and analyzed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media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learners. Second, we derived design principles of a media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creativity based on eight factors. Finally, we developed a media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based on the designed framework. The framework of this program is focused on drawing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that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lready have. The factors can be extracted when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re exposed to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and movement in the media. And children learn to appreciate media works, discuss their thought with friends, and produce thei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ccording to the diverse features of media that more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econd,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based on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Third, the media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allow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ir own media.

      • 고학력 여성인력 개발 및 활용을 위한 평생학습 지원체제 연구

        박승호,유숙영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6 여성연구논총 Vol.21 No.-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of our society is the very low rate of high educated or high skilled women's social participation rate, and limited opportunity in higher value-added businesses for women. Efforts to make human resources of high educated women are so urgent for entering top 10 countries with competitive human power that Korean government enacted laws promoting development and use of them. These steps can be proper only when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ir real situation and their needs. With study on relative documents and survey on high educated women, we made some suggestions for a lifelong learning support system promoting development and use of high educated woman resources. First, the system should be based on woman's needs driven from their places in their life cycles. Second, the system sould be various on the learn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women. Third, collaborative relations between lifelong learning system and the local community need to be built. Forth, woman lerners should be encouraged by emotional supports from other family members and shared household chores. To develop and use high educated woman resources, mor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ommunity should be used for women to learn at any time and in any place. Second, more active supports should be offered through close cooperation among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Woman learners can manage their course of career development with the database on their learning. Third, by database on high educated women, they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get appropriated places for their abilities. Forth, higher value-added business for high educated women should be developed. Finally, more opportunities of grant-type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o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