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설날 세시풍속 비교 고찰

        유소홍(Xiao-Hong Liu),양명모(Myeong-Mo Y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2

        한국과 중국은 산과 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바다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이웃이다. 중국인의 말을 빌리면‘산수상련(山水相連), 격해상망(隔海相望)’이다. 문화교류의 역사는 오랜 뿌리를 갖고 있어 옛날부터 지금까지 양국민은 서로 배우면서 눈부신 문화를 이루었다. 나라마다 세시풍속이 존재하지만, 주변 나라의 것과 비교해 보면 공통되거나 비슷한 면이 많은 한편 각 나라마다 독특한 풍속도 발견된다. 이는 주변나라와 비슷한 문화를 공유한다 하더라도 각 나라 및 지역만의 독특한 원(原) 문화전통과 지리적 입지 환경의 영향 하에 형성된 독자적 문화 요소가 나라 및 지역 세시풍속에 반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인 인접성으로 인해 외교적․군사적으로 충돌하기도 하였지만, 문화적․사상적 측면에서는 교류와 융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역사적으로는 샤머니즘 문화권․농경 문화권․불교 문화권․유교문화권․한자 문화권을 형성하면서 인적․물적 교류 속에서 문화적․사상적 동질화와 이질화를 역동적으로 추구해 온 양면성이 있다. 특히, 한국과 중국은 세시풍속 면에서 공유 지대가 넓은데 그 구체적인 내용을 들여다보면‘동근이형(同根異形)’의 관계 즉, 뿌리는 같으나 그 형태는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중 양국은 지리적으로 근접함으로써 오래전부터 빈번하게 교류해 왔다. 특히 두 나라에서 두드러진 공통점은 세시풍속이라 할 수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하나는 설날이다. 설날은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했던 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권에서 전승된 명절이다. 이러한 세시풍속은 대부분 중국에서 전해진 것이라고 하지만 한국에서 이를 단순히 수용하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용한 이후에 이를 재창조하거나 선택적으로 배제하였다. 본고는 양국의 문화적 전통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세시풍속에 관심을 두면서, 특히 한국의 설날과 중국 춘절의 풍속을 상호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설날의 풍속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한국과 중국의 세시풍속 그리고 이와 관련된 문화적 전통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인과 중국인의 심리 밑바탕에 깔려있는 가치관이나 의식형태에 관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서 문화적 측면에서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한·중 문화 교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hina and South Korea are separated by the sea. They had communicated frequently in economic and cultural aspect since ancient times. China and South Korea is not only geographically neighbor with a strip of water, but also belong to the Han culture circle in histor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ey are affected by their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social background. So they gradually formed a common point, and have their own unique differences in culture. It is precisely because of the cultural commonality that both China and South Korea can have a sense of identity on each other"s culture. And the differences generated by the unique culture can attract each other, and promote more exchanges. Spring Festival is the most solemn festivals in China and South Korea, of which the folk is more representative. The study of the history folklore of the two countries can increase the cultural reson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strengthen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order to better achieve common ground while reserving differences, and promote mutual exchanges and cooper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origins of Chinese and Korean Spring Festival, the forms of folk custom and the traditional Chinese New Year folk customs and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By examining the traditional customs of the Spring Festival and comparing the Spring Festival customs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can show the past and present life of the people of the two countries, and at the same time arouse people"s attention to traditional customs and national culture.

      • KCI등재

        90년대 여성성장소설 연구

        유소홍(Xiao-Hong Liu)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3

        성장소설은‘개인적인 삶을 중시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평범한 인물인 미성숙한 존재가 이항대립적인 경험을 통하여 성장의 길로 나아가는 과정을 통해 독자들도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작품들’을 지칭한다. 성장소설에서의‘성장’은 육체적인 성장 뿐 아니라 정신적인 성장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성장이 육체적인 성장이나 정신적인 성장 둘 중에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아직 미성숙한 상태이다. 보통 성장소설의 주인공들은 미성숙한 인물인 어린이나 청소년 혹은 젊은이들이다. 이들은 성장과정에서 시련과 아픔을 겪고 난 후에 성숙된 모습으로 변화하는 삶을 보여준다. 그들이 겪는 시련과 고난의 성장과정에는 주인공의 의지와 선택과는 별도로 역경이 기다리고 있다. 그리고 그 현실을 어떻게 극복하고 일어서는가는 전적으로 주인공의 의지에 달려있다. 은희경의 〈새의 선물〉은 1969년 지방 소도시 일상을 회상하는 액자식구성의 성장소설로, 12 살 여자아이의 내면 성장기를 통해 현실의 단면을 정밀하게 재현하고 있다. 이 작품은 상처를 안고 있는 여성인물들의 성장경로를 제시하였다. 작가는 문학작품 속에서 그동안 제3자에 불과했던 여성의 목소리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것은 물론이고 여성의 삶에 관한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여성작가들의 세밀한 시선과 작은 것을 바라볼 수 있는 특유의 섬세함으로 여성들의 일상적인 욕망과 고통을 풀어냄으로써 90년대 문학을 이끈 가장 큰 힘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표적 여성성장소설이라 할 수 있는 은희경의 〈새의 선물〉을 탐색함으로써 주요 인물들의 여성성장의 특징과 그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Bildungsroman is also called enlightenment novels, which is to depict a person’s inner struggle, spiritual hesitation, and awakening about the world from his childhood, through youthful days and till the adult world. To put it simply, this kind of stories depict the process of the leading role’s initiation from his childhood, his teenager till adult. Maybe after entering the society to suffer losses and bear hardships, he slowly understands hard career and sinister heart. Reading bildungsroman can find memories and achieve resonance. Bildungsroman make people laugh, sign and mediate, which is its glamour. In 90s of 20c, this time is the rapidly developing period for women’s self-cognition. There were a lot of female writers appearing. During the time, women tried every effort to break away the restrictions of parents and actively took part in political, cultural and social life to improve their own social position. 〈The present of a bird〉> of Eun Hee Gyeong is a work, which depicts the growing process of a 12-year-old girl living in a city to reflect the social reality at that time. The work depicts the female figure’s growing experience, whose heart has been hurt badly, so as to reveal people’s inner mind which is full of hatred to the daily life. The article researches and discusses the bildungsroman in the 90s of 20c.

      • <광문자전>과 <아큐정전>의 주인공 인물형상화 비교 연구

        양명모(Myeong-mo Yang),유소홍(Xiao-hong Liu)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연암과 노신은 광문과 아큐의 인물 형상을 통하여 근대화를 지향하던 조선 후기와 1917년대 중국의 사회 현상 속에서 벌어지는 부조리한 세태를 풍자하고 비판하였다. 본고는 두 작품의 주인공 인물 형상을 비교 분석해 과도기적 근대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 현상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당시 조선 사회는 독점으로 인하여 몰락 양반이 속출하고 중인과 양인들의 신분 상승 현상에 따라 三政이 문란해짐과 동시에 국가 경제의 파탄에 기인한 탐관오리의 수탈 현상으로 서민들의 고통스러운 생활고가 뒤따랐다. 연암은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실학사상의 이념을 토대로 새로운 근대적 의식과 가치관을 지향했다. <광문자전>의 주인공은 광문을 신의와 인간애를 지닌 인물, 남녀평등을 주장하는 근대적 시민 영웅으로 형상화하고 서민사회의 삶 속에서 새로운 인간관계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진보적인 작가의식을 표출했다. 특히 광문은 당시 실존 모델이 존재했다는 민간 전설을 차용한 창작 동기가 주목된다.

      • KCI등재

        <광문자전>과 <아큐정전>의 주인공 인물형상화 비교 연구

        양명모(Myeong-Mo Yang),유소홍(Xiao-Hong Liu)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6

        연암과 노신은 광문과 아큐의 인물 형상을 통하여 근대화를 지향하던 조선 후기와 1917년대 중국의 사회 현상 속에서 벌어지는 부조리한 세태를 풍자하고 비판하였다. 본고는 두 작품의 주인공 인물 형상을 비교 분석하여 과도기적 근대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 현상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당시 조선 사회는 독점으로 인하여 몰락 양반이 속출하고 중인과 양인들의 신분 상승 현상에 따라 三政이 문란해짐과 동시에 국가 경제의 파탄에 기인한 탐관오리의 수탈 현상으로 서민들의 고통스러운 생활고가 뒤따랐다. 연암은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실학사상의 이념을 토대로 새로운 근대적 의식과 가치관을 지향했다. <광문자전>의 주인공은 광문을 신의와 인간애를 지닌 인물, 남녀평등을 주장하는 근대적 시민 영웅으로 형상화하고 서민사회의 삶 속에서 새로운 인간관계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진보적인 작가의식을 표출했다. 특히 광문은 당시 실존 모델이 존재했다는 민간 전설을 차용한 창작 동기가 주목된다. <아큐정전>은 반봉건적 식민지 사회로 전락하는 당대 중국의 혼란스러운 사회 현실을 배경으로 주인공 아큐를 통하여 사회개혁을 추구하고 현실의 문제를 폭로하고 비판하였다. 특히 당시의 실존 인물을 차용하여 재형상화 함으로써 작품 속 시대상에 대한 현실적 개연성과 박진감을 부여하는 동시에 아큐를 서민을 대변하는 시민영웅으로서 창조해냈다. 그러나 노신의 아큐는 서민 속의 지식인으로서 중국 근대개혁을 추구하지만 자신의 어리석음과 오만으로 인한 모순적인 행동으로 주위 사람들과 충돌하게 되고 중국 봉건사회의 모순을 폭로한다는 취지와 달리 결국은 파멸을 맞이한다는 점에서 독자로 하여금 아쉬움을 남게 하였다. 따라서 광문과 아큐의 인물 형상은 당대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폭로하고 비판하면서 개혁적이고 근대적인 사회를 지향하는 진보적 시민 영웅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반면 광문은 조선 후기 근대화 지향의 꿈을 강조하면서 시민들의 의식 개혁에 앞장섰지만, 아큐는 스스로의 어리석음과 오만으로 인해 사회개혁에 실패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This paper presents the social problems and phenomena from a transitional modern society appearing in <Gwangmunjajeon>, written by Yeonam, and <The True Story of Ah Q>, Lu Xun We focus on the image of each protagonist aring in <Ah Q>. Through the characters, the two novels respectively satirize and criticize various social condition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China in the 1917, when both countries moved towards moderniz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e to the monopolizing power of just a few people in the ruling classes, the other classes were declining and some rich merchants and common people bought their power and public posts. Consequently, the legislature, judiciary, and administration were in disorder, corrupt officials plundered ordinary people of their goods, and the national economy was stagnating. Facing up to the harsh financial reality of the people, Yeonam intends to establish a new value and consciousness based on the spirit of Practical Thought. So, he embodies <Gwangmun> as the figure of having new modern values igure of having nd consciousness blime philanthropy. Conversely, the protagonist <Ah Q> speaks for the author s for l base <The True Story of Ah Q>. He endeavors to conduct social reforms and play up actual problems arising in the semi-feudal colonial society through the chaotic and tough reality. Borrowing from the real person <Ah Q>, Lu Xun recreates the characternd tough reality. Borrowing d play up rotagprobability and reality. In addition, he shows the quality of a hero representing ordinary people as well. Although he pursues the reformation of a modern China as an intellectual among common people, he comes to clash with people around himself because of the paradoxical behaviors caused by his own absurdity and arrogance. As a result, unlike his original purpose to expose the contradictions of the Chinese feudal society, he goes down the road to self-destruction, which leaves a lot to be desired for the r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