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神福寺址石佛坐像 保存處理 硏究

        위광철 ( Wi Koangchul ) 중부고고학회 2002 강원고고학보 Vol.1 No.0

        강원도 강릉시 내곡동 403-2에 위치한 보물 84호 신복사지석불좌상(神福寺址石佛坐像)의 보존처리 결과에 대한 보고이다. 석불좌상은 지반 침하의 영향으로 불안정한 상태이며, 인위적인 손상, 생물학적피해, 시멘몰탈에 의한 손상 등 상당부분이 손상되어진 상태이다. 보물 제84호인 신복사지석불좌상의 보존처리과정 및 결과로, 첫째, 사전자료조사 및 정학한 실측을 실시하여 안전한 상대를 유지하였다. 둘째, 석불좌상의 해체과정에서 이동시 파손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계획하여 운반도중 발생하는 손상을 최소화하였다. 셋째, 하부구조 화인 전과 바닥변이 시멘트몰탈로 되어 있어 석불좌상의 원 위치가 아님을 추정함 수 있다. 넷째, 시멘몰탈 제거작업, 그을음작업, 지의류제거작업을 진행하여 보다 나은 형대를 확인한 수 있었다. 그리나 이러한 보존처리 이진에 선행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근본적인 파손의 원인규명 및 민간 신앙에 의한 인위적인 파손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국민의 인식전환이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port is about the result of conservation procedure of the Buddhist stone statue(seated figure) from the Sinbok temple site, which is located in 403-2 Naegok-dong, Gangreung city, Gangwon Province. The statue had biological, artificial damage and damaged by cement mortar. Moreover, it was insecure because of a subsidence of the ground. The procedure of the conservation and the result of the Buddhist statue from the Sinbok temple site are as follows: Ⅰ. Through an advanced data survey and accurate measurement of the statue, it can maintain its stability. Ⅱ. The movement of the statue was carefully done by using a method which could minimize the damage, while taking apart. Ⅲ. The base of the statue was made by cement mortar, therefore, it was presumed, to be not the original shape. Ⅳ. Through the conservation process of removing cement mortar, soot and moss, it was restored closely to its original shape. Above all, the primary consideration of conserving and restoring is to inquire into the cause of damage and the way of its prevention.

      • KCI등재

        한국 야외 조각공원 설치 작품의 보존을 위한 기초 연구 : 전북 지역 조각공원 설치 작품의 보존 현황 및 관리 방안을 중심으로

        오승준(Oh Seungjun),위광철(Wi Koangchul)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한국의 조각공원과 조각 작품은 공공미술을 통해 자연과 조각 작품이 어우러져 각각의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와 예술 전시 및 휴식 공간으로서 자리매김 했을 뿐 아니라 개발정책 이후 우리나라의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해주었다. 그러나 국가 정책과 대중의 요구에 의해 빠른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시민 의식의 미성숙, 제도적 장치의 부재, 예산과 전문 관리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조각공원과 공원 내에 설치된 조각 작품은 훼손되고 방치되어 본래의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에 조성된 6곳의 조각공원 및 작품의 보존현황을 실사를 통해 조사해보고 보존방안을 제시해 우리나라 조각공원에 설치된 작품의 보존을 위한 기초 연구자료를 축척하고자 한다. 조사 결과 관리 주체가 명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구속력이 없는 법적, 제도적 장치로 인해 공원 정비 및 관리는 부실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공원 내 설치된 조각 작품은 보수 및 보존처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공원의 보존, 관리와는 다르게 훼손, 방치되어지고 있었다. 이는 야외 조각 작품은 대형 작품이고 현대적 작품이라 내구성이 좋으며, 일회성이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보수 및 보존처리 등의 사후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조각공원의 조성 및 설립 의의를 되살리고 작가가 의도한 조각 작품 본래의 예술성, 독창성, 전달성 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개선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보존,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전문 인력과 예산 확보, 성숙된 시민 의식의 전환을 위한 교육, 전시, 홍보 등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조각공원이 관리되고 작품이 복원된다면 대중은 다시 돌아와 조각공원의 조성 의미에 맞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culpture parks and sculpture in Korea have been harmonized with nature and sculpture through public art, establishing themselves as cultural and artistic exhibitions and resting spaces representing each region, as well as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in Korea after the development policy. The sculpture park played a role in the improvement. However, although rapid quantitative growth was achieved due to national policy and public deman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culpture park and the sculpture installed in the park was damaged and neglected due to the immaturity of citizens,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devices, and the lack of a budget and professional management personnel. Therefore, t his study aimed t o accumulate b asic r esearch data for t he preservation of works installed in Korean sculpture parks by investigating the preservation status of six sculpture parks and works created in the Jeonbuk region through due diligence and suggesting preservation plans. Despite the management body being clear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park maintenance and management were inadequate due to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at were not binding. In addition, the sculpture installed in the park were not repaired or preserved. Therefore, unlike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rk, they were damaged or neglected. It is judged that outdoor sculpture works are large-sized works and have good durability as they are modern works, and post-management such as repair and preserva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due to the false recognition of one-off. To revive the significance of the creation and establishment of such a sculpture park and to restore the original artistry, originality, and transmission of the sculpture intended by the artist,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continuous and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budget are secured. Education, exhibitions, and publicity are needed to transform mature civic consciousness. Based on this, if the sculpture park is managed and the works are restored, the public will be able to come back and bring about an effect that fits the meaning of the sculpture park.

      • KCI등재

        공공미술작품의 관리를 위한 ‘보존과학’의 역할과 필요성 : 조각공원 전시 작품 사례 조사를 중심으로

        오승준(Oh Seungjun),위광철(Wi Koangchul)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조각공원은 1980년대를 기점으로 조성되기 시작해 도시의 생산적, 기능적 역할에 예술적, 문화적 기능을 입혀공공성과 예술성이 융합된 정서를 통해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는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그러나 양적인 증가와 조각공원의 조경성에만 집중된 관리방안은 오랜 기간 야외에 노출되어 손상되어지고 있는 조각 작품에 대한 미흡한 보존·관리로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 조각공원에 전시 중인 작품의 보존 상태를 연구·조사한 결과 대기환경오염물과환경적 요인으로 의해 손상된 작품이 상당 수 존재하였으며, 물리적 또는 인위적 요인에 의해 훼손된 작품도 방치되어 있어 체계적인 보존·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재질별 작품의 특성에 맞는 과학적 진단방법과 보존처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대미술 작품의 보존·관리에 대한 중요성과 인식전환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등록문화재 등재를 위한 제언을 통해 현대미술 작품의 항구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Started to be created in 1980s, sculpture parks had been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improving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emotion that combined publicness and artistry adding artistic and cultural function to the productive and functional role of cities. However, quantitative increase and management plan concentrated only on the landscape of sculpture park have led to insufficient conservation·management of sculptures that are being damaged by lengthy exposure to the outdoor. As a result of research·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conservation of works exhibited in sculpture parks in each region,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works that are damaged by air polluta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some are left unattended after damaged by physical or artificial factors, so a systematic conservation·management system is considered necessary. This study also suggested scientific diagnosis method and management plan suited to the different materials of works, and considered significance of conservation ·management of art works and necessity of change in perception through the foregoing, and also presented a permanent conservation·management plan for modern art works through the suggestion for registration 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 KCI등재후보

        철제유물 표면코팅제로 사용된 파라핀 제거방법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박물관 소장 철제유물을 중심으로

        강석인,위광철,이호연,임성진 국립중앙박물관 2012 박물관보존과학 Vol.13 No.-

        본 연구의 대상 유물은 경희대학교박물관 소장 철제유물로 표면에 파라핀(Paraffin)이나 밀납(Bees Wax)으로 추정되는 물질로 코팅이 되어있어 표면이 불투명하며 전체적으로 부식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이 판상으로 두텁게 박락된 상태이다. 따라서 유물 표면에 코팅 처리된 물질을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코팅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가역성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를 토대로 유물에 적용하여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표면에 코팅 처리된 물질의 성분을 알아보기 위하여 FT-IR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각종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유물에 코팅된 물질을 가역시킬 수 있는 약품이 무엇인지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셋째, 가역성실험 결과를 토대로 코팅물질 제거에 가장 적합한 약품을 선정하여 실제 유물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FT-IR 분석결과 유물에 사용된 코팅제와 파라핀(Paraffin)은 성분이 같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기용제 중 xylene, toluene, trichloroethylene, methyl alcohol이 파라핀을 용융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toluene이 코팅제를 제거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선정된 약품을 사용하여 실제유물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미세한 편들을 지지하고 있는 파라핀을 모두 제거하는 것은 유물을 붕괴시킬 수 있으므로 표면을 불투명하게 덮고 있는 부분만을 면봉이나 거즈 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파라핀을 제거한 후 보존처리를 완료 하였다. The object artifacts of this study are the iron artifacts owned by the Kyunghee University Central Museum. The surfaces of the iron artifacts are opaque due to the coated materials which are presumed to be paraffin or bee's wax while they are plate-shaped and exist in thickly exfoliated condition caused by severe corrosion devel oped on the overall surfaces. Therefore, in order to remove the coated materials away from the surfaces of the artifacts rather safely, reversibility tests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 conservation treatment was performed upon the basis of and in applicati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study methodologies are that: first, the FT-I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gredients of the coating-treated material on the surface; second, by applying various kinds of organic solvents, the kinds of agents that allow the artifact’s surface-coating material to be reversible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experiments; third, the most suitable agent for removing coating material was selected and applied to the real artifac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reversibility tests. Results from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the FT-IR analysis, the coating agent used on the artifacts was identified to be of the same ingredients as those of paraffin; second, among organic solvents, xylene, toluene, trichloroethylene and methyl alcohol were identified to be usable for dissolving paraffin whereas toluene was judged to be the most suitable for removing the coating agent; third, when applying the selected agents on the real artifacts, due to the fact that removing the whole paraffin might cause the artifact to disintegrate, the paraffin of only the part that covered the surfaces opaquely was removed using cotton swab or gauze, thus completing the conservation treatment.

      • KCI등재후보

        3D 프린팅을 이용한 백자수주의 복원 연구

        이해순,위광철 국립중앙박물관 2015 박물관보존과학 Vol.16 No.-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백자수주(덕수5531)는 1915년에 구입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운룡문이 투각되어 있고 반파된 상태로 수구부분은 이미 복원된 상태이다. 본 논문은 수작업식 보존처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백자수주의 결손부분인 운룡문을 3D 스캐닝과 프린팅을 이용하여 복원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이미 상용화된 6종의 출력 재료에 대하여 강도 실험을 실시하고, 수작업용 복원재료인 에폭시퍼티(Quick WoodⓇ)와 에폭시(Araldite AY103+HY956Ⓡ)의 강도와 비교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복원형 제작은 수작업보다 적은 시간과 노력으로 더 정확한 형태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무엇보다도 비접촉식 복원방식이기 때문에 보존처리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었다. 특히, 디지털 원형 파일을 기록물로 남기고 이를 부차적인 콘텐츠로 사용할 수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유물 보존처리 과정에 적용할 디지털 기술의 적용방법, 출력재질에 대한 평가와 적용, 출력물의 정형, 접합 및 표면채색 방법 등은 향후 좀 더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 White porcelain pitcher with an openwork dragon and cloud design across its surface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Deoksu 5531) was acquired in 1915. The restoration has been so far completed only for the mouth of the pitcher. This study discusses a new method based on 3D scanning and printing for the restoration of missing parts in the openwork dragon and cloud design. A strength test was performed on six output materials that have been already commercialized for comparison with the strength of materials used for traditional restoration such as epoxy putty (Quick WoodⓇ) and epoxy (Araldite AY103+HY956Ⓡ). This process confirmed that the digital technology-aided making of a restoration model requires less time and efforts than handmade work, all the while producing a more precise model. More importantly, this method being a non-contact method, it reduces risks associated with hand-made work. Another 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digital pre-restoration images can be saved and used for future references. Not with standing, future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effectively apply digital technology for restoration of ancient objects and how to evaluate and use 3D output as well as on the method of shaping, joining and coloring the 3D output.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백자 연적 편(片)을 활용한 3차원 디지털 복원 기술 연구

        신우철,김경중,위광철 국립중앙박물관 2019 박물관보존과학 Vol.22 No.-

        일부분만 편으로 발굴된 도자기의 경우 원형의 형태를 유추하기 어려워 복원에 한계가 있다. 수작업 방식에 한계가 있는 경우, 디지털 기술을 통해 복원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도자기의 원형을 추정하고 복원의 방향성을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백자연적 편을 대상으로 디지털 복원을 진행하였다. 결과, 문양과 색상 정보가 입혀진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였으며 하나의 편을 통해 원형의 모습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유물과의 최소한의 접촉으로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추정복원으로 왜곡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며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물의 차이가 나타나므로 주의가 필요하지만, 도면화 작업 등 활용 가능성이 뛰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estoration of ceramics excavated in fragments is limited by the difficulty of inferring the overall shape of the original object. However, recent innovations in digital technology can help to overcome the limits of conventional restoration using handwork.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digital technology by digitally restoring a shard from a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excavated at a kiln site at Sindae-ri. In order to complete the digital restoration, 3D scanning was applied to obtain scan data, and 3D modeling and texture mapping were performed. In this way, three-dimensional data with patterns and color information was acquired and the original form of the water dropper could be ascertained based on the shard. The study found that the data acquired from digital restora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for obtaining data on cross-sections or missing portions of a re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