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임나강역고

        위가야 ( Ga-ya We ),쓰다소키치 ( Tsuda Soukichi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30

        1908년 1월,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조사부 산하에 ‘만선역사지리조사부(滿鮮歷史地理調査部)’가 설치되었다. 도쿄[東京]대학 교수였던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가 당시의 만철 총재인 고토 신페이[後藤新平]에게 ‘만주 및 조선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연구’가 만철 경영을 위한 실제상의 필요성과 함께 순수한 학술적 관점에서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득한 결과였다. 1) ‘만선역사지리조사부’는 이른바 ‘만선사’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성과는 1913년부터 1914년에 걸쳐 편찬된 3종 5책의 『歷史調査報告』를2) 통해 공개되었다. 이번에 소개하는 논문 「任那疆域考」는 그 중 하나인 『朝鮮歷史地理』 제1권(1913)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역사지리의 집필을 담당한 인물은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였다. 그는 시라토리 구라키치의 권유를 받아 만선역사지리조사부에 참여하여,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와 함께 중국 唐代 이전의 만주사 관계 자료 및 삼국사기, 동국통감등의 조선 사료의 조사·연구를 담당했다. 3)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그는 조선의 역사지리를 주로 강역과 지명 비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임나강역고」는 쓰다 소키치가 「일러두기」격인 「서언(緖言)」에서 밝히고 있는것처럼 임나일 본부가 처음 설치되고부터 신라에 의해 멸망하기에 이르기까지의 약200년간 임나에 속했던 강역과 소속 諸國의 위치를 고증한 것이다. 주요 사료로는[일본서기]에 기록된 임나 관련 기록을 이용하였고, 삼국사기 등의 한국측 사료는 방증 자료로 이용할 뿐 큰 비중을 두지 않았다. 그는 음상사를 통해 지명을 비정하는 언어학적 방법론을 가급적 배제하고 기록된 역사적 정황을 정합적으로 고찰하여 그 위치를 추정하려 하였는데, 이는 쓰다 소키치 이후 임나 관계 지명을 비정한 아유카이 후사노신[鮎貝房之進]과 스에마츠 야스카즈[末松保和] 등의 연구에서4) 오히려 언어학적 방법론을 중시한 것과 비교된다. 쓰다 소키치는 임나의 범위를 가야 지역으로 한정하였다. 임나일본부의 영토를 가야 지역에 등치시켰기 때문이다. 지명 비정의 대상이 되었던 기문 등의 섬진강이서 지역에 대해서는 그 영유가 일시적이었다 하여 임나일본부의 영토에서 제외하였다. 일본의 임나 지배와 그 성격을가야 諸國의 보호에 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훗날 스에마츠 야스카즈에 의해 제기된 한반도 남부경영론이 일본의 한반도 남부 諸國에 대한 직간접적 지배를 상정하고 임나의 영역을 전라도 일대까지 확대하고 있는 것과 비교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가야 諸國의 보호가 관계 사료의 실증을 통해 입증된 사실이 아니라 오히려 지명 비정을 위한 역사적 정황의 전제로서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5) 일본서기 신공기 기록에 전설적 요소가 있음을 인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공기의 내용 심지어는 그 이전인 숭신기의 내용조차 지명 비정을 위한 역사적 정황으로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모순적 태도는 ‘가야 諸國이 일찍부터 일본의 보호 아래 있었다’는 쓰다 소키치의 편견이 전제로 기능하고 있었던 데에서 기인한 것이다. 이처럼 실증에 우선한 전제가 존재한 것은 시라토리 구라키치가 조선역사지리의 「序」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연구의 목적이 “반도의 실제적 경영에 대하여 학술상의 측면에서 다소의 참고자료를 기여하는 것”에 있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임나강역고」는 1995년 가야문화 8(가야문화연구원 발행)에 이미 번역본과 원문이 함께 수록된 적 있었다. 6) 이 번역은 그것을 참고로 의역이 지나친 부분과 오역 일부를 수정한 것이다. 본문에 인용된 사료 또한 모두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다만 번역자와 저자의 이해가 다를 수 있음을 감안하여 사료 원문을 본문에 인용된 구두점 그대로 [역자주]에 수록했다. Study on Territory of Imna(任那疆域考) was a Tsuda Soukichi(津田左右吉)``s historical research paper that was included in Historical Geography of Joseon(朝鮮歷史地理). In this paper Tsuda Soukichi analyzed Ilbonseogi(日本 書紀) as fundamental historical records. On the other hand Samguksagi(三國 史記) and Korean historical records weren``t considered to be major research materials. Tsuda Soukichi thought that territory of Imna was limited to Gaya(加耶). Because he believed Imnailbonbu(任那日本府) was a protector of Gaya. His Research omitted historical proof, and Imnailbonbu was regarded as unwavering confidence in his research. It reflects the view of coloni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