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활용한 말하기 활동이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원해영 한국언어과학회 2014 언어과학 Vol.21 No.4

        This study expects the improvement of learners' korean-speaking fluency by adopting ‘Storytelling’ task in Korean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put forward evidences to support this hypothesis through task activities that used storytelling. Learners are expected to dictate what they have learnt through the reading materials in a limited time while they perform the ‘Storytelling’ task. This ‘Storytelling’ task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orytelling techniques in the way that learners become narrator who deliver the story instead of staying listener who just listen to the story. This process makes learners keep trying to develop their own speaking strategy to deliver the narrative story more effectively; in the long run, it helps learners deliver the original story by reorganizing it by their own language proficiency. This study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the group that adopted ‘Storytelling’ task for the speaking activity showed better accuracy and fluency than the group that adopted other tasks by experiment. (Pusan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PBL을 적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사례 연구

        원해영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7 No.-

        본 연구는 외국인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작문’ 수업에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을 도입함으로써 협력 적 글쓰기 활동을 통해 대학 교육에서 요구하는 한국어 작문능력을 향상 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PBL을 적용한 작문수업은 학습자들이 보다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쓰기에 임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실제적이 고 비구조화된 문제를 동료들과 협력적으로 해결하도록 설계함으로써 학 습자 개별학습의 약점을 보완하고 학습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정보, 지식을 교환하며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PBL을 적용한 한국어작문 수업을 통해 본 연구의 성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외국인유학생들이 활동의 결과로 본 수업의 목표인 보고서의 형식 과 작성 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게 되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주어 진 문제를 해결할 때 동료 학습자들과의 협력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협력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셋째, 학습자들은 쓰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교수자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경험하였다.

      • KCI등재

        연결어미 ‘-고’와 ‘-아서’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원해영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3 언어사실과 관점 Vol.60 No.-

        본 연구는 한국어능력 중급 이상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결어미 ‘-고’와 ‘-아서’가 가지는 의미적 차이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어미는 시간적 순차성에 기반한 ‘순서, 지속, 원인·이유·근거’의 의미를 공유하고 있는데 외국인 학습자는 이들이 공유하는 의미의 차이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구어와 문어 사용에서 지속적으로 오류를 생산하고 있다. 유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 나열(대등, 대립)의 ‘-고’와 원인·이유의 ‘-아서’에 대해서는 오답률이 매우 낮은 반면, 공통 의미인 순서, 지속, 원인·근거에서 높은 오답률을 나타내었다. 특히 ‘-고’가 원인·근거일 때 오답률은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초급에서 이미 학습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중고급 학습자에게 많은 오류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지금까지의 ‘-고’와 ‘-아서’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고’와 ‘-아서’의 교육 내용은 초급에서 두 어미가 공유하는 의미를 같이 제시하여 표현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이해를 도울 수 있다. 교육 방법적 측면에서는 두 어미의 정확한 사용을 위해 ‘-고’와 ‘-아서’의 의미적, 통사적 차이점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perception focusing on the meaning of temporal sequentiality of the conjunction endings ‘-Go’ and ‘-Aseo’ targeting foreign students with intermediate or higher level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two endings share the meaning of ‘order, continuation, cause/ground’ based on temporal sequentiality. And foreign learners do not accurately understand the meaning shared by the two endings and continuously produce errors in the use of spoken and written Korean. As a result of surveying 122 international students about their perception of endings, the error rate was very low for ‘-Go’ in Listing(Equal, Opposite) and ‘-Aseo’ in Caus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high error rate in Order, Continuation, and Cause/evidence. In particular, when ‘-Go’ was the Cause, the error rate was over 70%. Even though the content has already been learned at the basic level, many errors appear in middle and high level learners. It appears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content and methods of teaching ‘-Go’ and ‘-Aseo’. Regarding the learning contents of ‘-Go’ and ‘-Aseo’, understanding can be aided by presenting the meaning shared by the two endings at the beginner level and comparing the expression patterns. I also suggest presenting the learning sequence as follows: ‘-Go’ of Listing // ‘-Aseo, -Go’ of Reason, Cause // ‘-Go, -Aseo’ of Order // ‘-Aseo, -Go’ of Continuation. As an educational method, a device is needed to compare the semantic and syntactic differences between ‘-Go’ and ‘-Aseo’ to ensure accurate use of the two endings.

      • KCI등재후보

        ‘이야기 구술하기(storytelling)’ 과제가 한국어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원해영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이야기 구술하기’는 서사적 구조 속에 줄거리를 가지고 있고, 줄거리가 시간적 흐름에 따라 진행되며, 발화자는 청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전달하는 과정을 거치는 활동이므로,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 이러한 이야기 구술하기 활동을 적용함으로써 말하는 속도, 억양 등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이야기 구술하기’를 말하기 활동으로 실시한 실험집단이 다른 말하기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말하기 평가에서 정확성과 유창성 모두 더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ects the improvement of learners' korean-speaking fluency by adopting 'Storytelling' task in Korean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put forward evidences to support this hypothesis through task activities that used storytelling. Learners are expected to dictate what they have learnt through the reading materials in a limited time while they perform the 'Storytelling' task. This 'Storytelling' task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orytelling techniques in the way that learners become narrator who deliver the story instead of staying listener who just listen to the story. This process makes learners keep trying to develop their own speaking strategy to deliver the narrative story more effectively; in the long run, it helps learners deliver the original story by reorganizing it by their own language proficiency. This study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the group that adopted 'Storytelling' task for the speaking activity showed better accuracy and fluency than the group that adopted other tasks by experiment.

      • KCI등재

        한국어 교사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원해영 우리말학회 2013 우리말연구 Vol.33 No.-

        최근 전 세계적으로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어 학습목적과 연령, 성별, 국적, 종교 등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외국인 학습자의 학습목적이나 배경이 다양한 만큼 학습내용이나 학습환 경, 그리고 교사의 역할에 대한 요구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 교육현장에서는 한국어 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학습자의 기대역할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 인식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가 기대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사양성단계에서부터 교사 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포함(도)과 배제(은/는)의 조사 교육 연구

        원해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A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Inclusion’(Do) and‘Exclusion’(Eun/Neun) for Foreign LearnersHaeyoung W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for ‘Eun/Neun’ of exclusion together in the process of learning ‘Do’ of i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basic meanings of ‘Eun/Neun’ and ‘Do’ and analyzed 5 types of textbooks to understand the learning stages and meanings in Korean education. ‘Do’ was learned sequentially after ‘Eun/Neun’ in the beginner level and the two Particles were presented without relevance. In the negative expression of ‘Do’, ‘Eun/Neun’ of exclusion should be used, but the learning of ‘Do’ consists only of positive expressions. 'Do' has syntactic characteristics in which positive and negative are expressed differently, so this must b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content. This study devised a cyclical class model that applied tasks on the learning of ‘Do’ and ‘Eun/Neun’ of exclusion together. Key Words: Foreign Learners, Particle Education, Inclusion(Do), Exclusion(Eun/Neun), Class Model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포함(도)과 배제(은/는)의 조사 교육 연구원 해 영**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포함의 ‘도’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배제 의미의 ‘은/는’을 함께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으로 ‘은/는’과 ‘도’의 기본 의미를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에서 이 조사들을 제시하고 있는 학습 단계와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어교재 5종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를 통해 초급에서 ‘은/는’을 학습한 이후에 ‘도’를 순차적으로 학습하며 두 조사는 연관성 없이 제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의 부정 표현에서 배제의 ‘은/는’을 사용해야 하지만 ‘도’의 학습은 긍정 표현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도’의 부정 표현과 배제의 ‘은/는’을 함께 교육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과제를 적용한 순환적 대화 중심의 수업 모형을 고안하였다. 결론 및 제언: 결론으로 ‘도’의 교육 내용에 배제 의미의 ‘은/는’이 포함되어야 하며 실제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맥락과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과제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핵심어: 외국인 학습자, 조사 교육, 포함(도), 배제(은/는), 수업 모형 □ 접수일: 2022년 11월 16일, 수정일: 2022년 12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Professor, Busan Univ. of Foreign Studies, Email: won1004@bufs.ac.kr)

      • KCI등재

        A Study on Class Activities for Korean Sentence Pattern Applying Task-Essential Language

        원해영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3 No.-

        본 연구는 외국인학습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서 효과적인 문형교육을위해 형태초점 기법의 하나인 언어필수과제를 활용하여 문형과 주제를결합한 수업활동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형교육은 한국어의 문장 구조를 체계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본문형 교육에서 출발하여야 하며, 기본문형은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초급단계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초급단계에서 제시되는주제를 기분문형과 결합함으로써 맥락 속에서 형태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태초점 접근법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맥락과형태가 결합된 문형수업을 위해 형태초점의 여러 기법들 가운데서도언어필수과제를 적용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언어필수과제는 학습자가 과제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목표문형을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하도록 설계되므로 초급단계에서 문법형태를 익히기에 적합한 기법이다. 언어필수과제를 통해 문형을 주제와 연관시킴으로써 맥락 속에서문형이 자연스럽게 표출될 수 있는 수업활동의 예를 제시하였다. 언어필수과제와 같은 형태초점 기법을 활용한 형태-주제-과제를 결합한 문형 수업활동은 형태를 통해 한국어의 문장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과제를 통해 실제적 의사소통 상황을 경험하며, 주제를 통해 맥락에맞는 적절한 어휘와 표현, 문형 등을 사용할 수 있어서 한국어학습자의 통합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