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핍지표 분석을 통한 한국 다차원 빈곤의 특성 연구

        원소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6 No.0

        본 연구는 7차년도(2012년)와 17차년도(2022년) 한국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생활수준·교육·건강·경제수준·사회보장 등 다섯 가지 차원의 10개 결핍 지표 분석을 통해 한국의 다차원 빈곤 상태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차원 빈곤에 관한 선행연구를 발전시켜 10개의 결핍 지표들이 서로 어떠한 방식으로 결합 및 상호 작용하며 다차원 빈곤층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 결과 한국의 다차원 빈곤율은 2012년 39.9%에서 2022년 31.8%로 최근 10년간 다소 감소하였으나, 같은 기간 소득 빈곤율에 비해 약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다차원 빈곤층 중 약 20%가 공식 빈곤율로 측정되지 않는 빈곤상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별로는 2012년 교육·근로·소득·건강·사회보장 결핍이 다차원 빈곤층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반면, 2022년의 다차원 빈곤층은 교육·근로·건강의 결핍을 가장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난 10년간 사회보장수준의 증가 및 그에 따른 소득빈곤 감소가 다차원 빈곤 감소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빈곤층이 장기적으로 만성 빈곤에서 벗어나 가치있는 삶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실현가능능력(capability), 즉, 교육, 건강 및 근로에 있어 여전히 결핍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2012년)의 빈곤 경험은 현재(2022년)의 빈곤 경험 확률을 통계적으로 약 6배 가량 유의하게 증가시킨다는 종단분석 연구결과도 다차원 빈곤층이 만성 빈곤상황을 경험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효율적 빈곤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소득 기준을 넘어 다차원 빈곤선 적용을 통한 빈곤층 선별 및 다차원 빈곤층의 유형별 분석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정책들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PAK4 signaling in health and disease: defining the PAK4–CREB axis

        원소윤,박정진,신은영,김응국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9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51 No.-

        p21-Activated kinase 4 (PAK4), a member of the PAK family, regulates a wide range of cellular functions, including cell adhesion, migration, proliferation, and survival. Dysregulation of its expression and activity thu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diverse pathological conditions. PAK4 plays a pivotal role in cancer progression by accelerating the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invasion, and metastasis. Therefore, PAK4 is regarded as an attractive therapeutic target in diverse types of cancers, prompting the development of PAK4-specific inhibitors as anticancer drugs; however, these drugs have not yet been successful. PAK4 is essential for embryonic brain development and has a neuroprotective function. A long list of PAK4 effectors has been reported. Recently, the transcription factor CREB has emerged as a novel effector of PAK4. This finding has broad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PAK4 in health and disease because CREB-mediated transcriptional reprogramming involves a wide range of genes.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PAK4 signaling pathways involved in prostate cancer, Parkinson’s disease, and melanogenesis,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PAK4-CREB axis.

      • KCI등재

        벼 유식물을 이용한 C<sub>29</sub>-Brassinosteroids의 대사

        원소윤,주세환,김성기,Won, So-Yun,Joo, Se-Hwan,Kim, Seong-Ki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4 No.3

        BRs의 생합성 경로는 $C_{28}-BRs$ 생합성 경로 외에 $C_{27}-BRs$ 생합성 경로가 존재함이 확인되었고, 최근 $C_{29}-BRs$의 생합성 경로가 존재함이 보고되어 BRs의 생합성 과정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예상되었다. 이에 $C_{29}-BRs$인 28-homoTE와 28-homoTY 등이 동정된 벼의 유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C_{29}-BR$인 25-homoCS의 대사 과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in vitro 효소변환 연구를 통해 28-homoCS은 CS와 26-nor-28-homoCS으로 전환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역반응인 CS에서 28-homoCS로 또는 26-nor-28-homoCS에서 28-homoCS로의 전환은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C_{29}-BRs$인 28-homoCS은 C-28위치의 demethylation에 의해 보다 강한 활성의 $C_{28}-BRs$인 CS로 생합성 되는 과정과 C-26 위치의 demethylation에 의해 26-nor-28-homoCS으로 생분해 되는 과정이 존재함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한편, $C_{28}-BRs$인 CS에서 BL로의 전환과 동일한 반응이 $C_{29}-BRs$에서도 일어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벼 유식물에서는 28-homoCS에서 28-homoBL로 전환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C_{29}-BRs$와 $C_{28}-BRs$의 생합성과정의 연결이 28-homoCS에서 CS를 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28-homoCS에서 CS로 전환되는 과정을 통하여 $C_{29}-BRs$ 또한 $C_{28}-BRs$ 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활성형의 CS로 전환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BRs의 생합성은 $C_{27}-BRs$과 $C_{28}-BRs$의 생합성과정이 연결된 것처럼 $C_{29}-BRs$ 또한 $C_{28}-BRs$ 생합성 과정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활성형 BR인 CS은 $C_{27}-BRs$, $C_{28}-BRs$의 생합성 과정뿐만 아니라 $C_{29}-BRs$의 생합성 과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과정이 식물체내에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t has been recently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not only $C_{28}-BRs$ biosysnthesis, but also $C_{27}-$ and $C_{29}-BRs$ biosynthesis in plants, suggesting that BRs biosynthesis are complicatedly connected to produce biologically active BR (s). This prompted us to investigation of metabolism of a $C_{29}-BR$, 28-homoCS in seedlings of rice from which $C_{29}-BRs$ such as 28-homoTE and 28-homoTY have been identified. In vitro enzyme conversion study using a crude enzyme solution prepared from rice seedlings revealed that 28-homoCS is converted into both CS and 26-nor-28-homoCS, but their reversed reaction did not occur. This indicated that 28-homoCS is biosynthetically converted into more biologically active $C_{28}-BR$, CS by C-28 demethylation and biodegraded into 26-nor-28-homoCS by C-26 demethylation. Next, bio-conversion of 28-homoCS to 28-homoBL was examined by the same enzyme solution. No 28-homoBL as a metabolite of 28-homoCS was detected, meaning that biosynthetic reaction for 28-homoCS to 28-homoBL is not contained, and main connection of $C_{28}-BRs$ and $C_{29}-BRs$ biosynthesis is between CS and 28-homoCS in the rice seedling. This study is the first demonstrated that $C_{29}-BRs$ and $C_{28}-BRs$ bionsynthetic pathways are connected, and that $C_{29}-BRs$ biosynthetic pathway is an alternative biosynthetic pathway to produce more biologically active $C_{28}-BR$, CS in plant.

      • KCI등재

        국화 유전체 연구의 동향

        원소윤,김정선,강상호,손성한,Won, So Youn,Kim, Jung Sun,Kang, Sang-Ho,Sohn, Seong-Ha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6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3

        국화는 관상용, 약용으로 활용되는 주요한 화훼 작물중의 하나이다. 국화의 육종 프로그램은 다양한 품종의 개발에 기여하였으나, 다른 주요한 식량, 채소작물에서 보여졌듯이 전통적인 표현형 기반의 품종선발에서 분자표지를 활용한 선발로 진일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자육종은 유전학, 분자생물학, 최근에는 유전체 연구로 규명된 형질연관 분자표지에 의존한다. 그러나 자가불화합성, 자식약세, 이질육배체, 이형접합성, 거대한 유전체와 같은 국화의 생식적, 유전적, 유전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연구는 심각하게 지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전연구를 통하여 국화의 유전자지도가 구축되었고 꽃, 잎, 식물구조와 같은 국화의 주요한 형질과 연관된 분자표지가 규명되었다. 염기서열 분석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국화의 전사체가 해독되어 국화의 표준유전자 목록이 구축되고 발달단계에 따라 혹은 생물적 비생물적 환경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도 규명되었다. 또한 2배체인 야생의 국화속 식물의 유전체 해독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대량의 염기서열 정보는 국화의 분자육종을 위한 근원적인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총설에서는 국화의 분자유전학, 유전체 연구의 현황을 요약하고 향후 전망을 논의한다. Chrysanthemum is one of the top floriculture species with ornamental and medicinal value. Although chrysanthemum breeding program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cultivars so far, it needs to be advanced from the traditional phenotype-based selection to marker-assisted selection (molecular breeding) as shown in major cereal and vegetable crops. Molecular breeding relies on trait-linked molecular markers identified from genetic, molecular, and genomic studies. However, these studies in chrysanthemum are significantly hampered by the reproductive, genetic, and genomic properties of chrysanthemum such as self-incompatibility, inbreeding depression, allohexaploid, heterozygosity, and gigantic genome size. Nevertheless, several genetic studies have constructed genetic linkage maps and identified molecular markers linked to important traits of flower, leaf, and plant architecture. With progress in sequencing technology, chrysanthemum transcriptome has been sequenced to construct reference gene set and identify genes responsible for developments or induced by biotic or abiotic stresses. Recently, a genome sequencing project has been launched on a diploid wild Chrysanthemum species. The massive sequencing information would serve as fundamental resources for molecular breeding of chrysanthemum.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of molecular genetics and genomics in chrysanthemum and briefly discussed future prospects.

      • KCI등재

        국화 유전체 연구의 동향

        원소윤,김정선,강상호,손성한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6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43 No.3

        Chrysanthemum is one of the top floriculture species with ornamental and medicinal value. Although chrysanthemum breeding program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cultivars so far, it needs to be advanced from the traditional phenotype-based selection to marker-assisted selection (molecular breeding) as shown in major cereal and vegetable crops. Molecular breeding relies on trait-linked molecular markers identified from genetic, molecular, and genomic studies. However, these studies in chrysanthemum are significantly hampered by the reproductive, genetic, and genomic properties of chrysanthemum such as self-incompatibility, inbreeding depression, allohexaploid, heterozygosity, and gigantic genome size. Nevertheless, several genetic studies have constructed genetic linkage maps and identified molecular markers linked to important traits of flower, leaf, and plant architecture. With progress in sequencing technology, chrysanthemum transcriptome has been sequenced to construct reference gene set and identify genes responsible for developments or induced by biotic or abiotic stresses. Recently, a genome sequencing project has been launched on a diploid wild Chrysanthemum species. The massive sequencing information would serve as fundamental resources for molecular breeding of chrysanthemum.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of molecular genetics and genomics in chrysanthemum and briefly discussed future prospects. 국화는 관상용, 약용으로 활용되는 주요한 화훼 작물중의하나이다. 국화의 육종 프로그램은 다양한 품종의 개발에기여하였으나, 다른 주요한 식량, 채소작물에서 보여졌듯이 전통적인 표현형 기반의 품종선발에서 분자표지를 활용한 선발로 진일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자육종은 유전학, 분자생물학, 최근에는 유전체 연구로 규명된 형질연관분자표지에 의존한다. 그러나 자가불화합성, 자식약세, 이질육배체, 이형접합성, 거대한 유전체와 같은 국화의 생식적, 유전적, 유전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연구는 심각하게 지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전연구를 통하여 국화의 유전자지도가 구축되었고 꽃, 잎, 식물구조와 같은 국화의 주요한 형질과 연관된 분자표지가 규명되었다. 염기서열 분석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국화의 전사체가 해독되어 국화의 표준유전자 목록이 구축되고 발달단계에 따라혹은 생물적・비생물적 환경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도 규명되었다. 또한 2배체인 야생의 국화속 식물의 유전체 해독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대량의 염기서열 정보는 국화의 분자육종을 위한 근원적인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총설에서는 국화의 분자유전학, 유전체 연구의 현황을 요약하고 향후 전망을 논의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내배양을 통한 Brassica 작물의 반수체 생산에 관한 연구 동향

        서미숙,원소윤,강상호,손성한,김정선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5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7 No.4

        배추속은 전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중요한 경제작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종의 진화 및 배수성 연구를 위해 학문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물이 교잡육종을 통해 종자를 생산하기 때문에 고정 계통을 육성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위적인 방법으로 반수체 식물체를 유도하여 형질이 고정된 계통을 단시간에 육성함으로써 연구 및 육종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내배양법이 시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지금까지 배추속 작물에서 시도된 기내배양법의 연구현황을살펴보고 반수체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반수체 생산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Brassica includes many economically important crops such as canola, Chinese cabbage and cauliflower. It also serves as one of the model plants for studies of polyploidy and genome evolution following U’s triangle. With the completion of the B. rapa genome sequence, significant progress is expected in the functional studies with genetic variants showing agricultural traits and the genetic improvement of crops. However, heterozygosity coming from self incompatibility in Brassica species would make such studies laborious. For this, tissue culture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rapidly generate the perfect homozygous plant known as doubled haploid (DH). This review, we discuss the recent studies of tissue culture technologies and suggest a methodology for efficient embryogenesis from microspore culture to produce haploid plants in Brassica crop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