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악 무치악 구치부에서CT를 이용한 임플란트 매식과 관련된 하악골의 형태학적 연구

        원기욱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 적: 본 연구는 하악 구치부 무치악부위에서 computerized tomography scan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매식과 관련된 하악골의 해부학적 행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내원한 37명의 facial CT가 연구에 이용되었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42~85세(평균 67.1세)로 남성은 16명, 여성은 21명이었으며, CT scan은 모두 전남대학교 치과병원의 patient positioning protocol을 따라 촬영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의료영상 뷰어 프로그램인 m-view 프로그램을 통해 하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부위가 무치악인 환자의 facial CT scan을 선별하여 해당 부위의 Coronal view를 선택하였다. 치조정 부위의 피질골의 두께, 치조정에서 하악관까지의 거리, 치조정 하방 5 mm부위에서 Marrow space의 폭, 그리고 치조정의 피질골과 해면골 각각의 골밀도(HU unit)를 측정하였다. 하악체의 형태학적 분류는 Quirynen1)의 분류에 따라 분석되었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12.0으로 ANOVA를 이용하여 각 부위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결과: 1.치조정부위의 피질골의 평균두께는 남성이 1.91± 1.11 mm, 여성이 2.46± 1.10 mm였다. 2.치조정에서 하악관까지의 평균거리는 남성이 18.0± 5.07 mm, 여성이 15.6± 5.41 mm였다. 3.치조정 하방 5 mm부위에서 해면골 영역의 평균 폭은 남성이 7.0± 2.56 mm, 여성이 7.2± 4.00 mm였다. 4.치조정에서 피질골의 평균 골밀도는 남성이 1003.8± 263.17 HU, 여성이 997.4± 294.60 HU였다. 5.해면골의 평균 골밀도는 남성이 522.1± 263.82 HU,여성이 244.7± 211.49 HU였다. 6.하악체의 형태학적 분류는 Type III가 22개체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Type I이 14개체로 많았으며, Type II는 1개체로 가장 적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하악 구치부 무치악 부위가 형태학적으로 매우 다양함을 시사하며, 임플란트 매식시 환자 개개인별로 여러 인자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morphology of the posterior edentulous mandible for implant installation using CT sca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7 facial CT scans taken from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adopted in this study. The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42~85 years (mean 67.1 years) and female was 56.8% (21/37). In coronal section, images were carefully examined to measure the thickness of alveolar crestal bone, the density and shape of bone marrow, and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anal in the posterior edentulous mandible. Statistical analysis(ANOVA, SPSS 12.0) was performed. Result: 1.The mean thickness of alveolar crestal cortical bone was 1.91 mm (ranged from 0.70 to 3.90 mm) and 2.46 mm (ranged from 1.10 to 5.50 mm) in man and woman, respectively. 2.The mean distance from alveolar crest to the center of inferior alveolar canal was 18.01 mm (ranged from 7.70 to 24.30 mm) and 15.64 mm (ranged from 6.00 to 27.10 mm) in man and woman, respectively. 3.The mean width of marrow space 5 mm below the alveolar crest was 7.01 mm(ranged from 3.20 to 10.80 mm) and 7.19 mm(ranged from 0.0 to 13.00 mm) in man and woman, respectively. 4.The mean houndsfield unit of alveolar crestal cortical bone was 1003.81 HU(ranged from 942.00 to 1405.00 HU) and 997.38 HU(ranged from 979.00 to 1517.00 HU) in man and woman, respectively. 5.The mean houndsfield unit of marrow space was 522.06 HU(ranged from 100 to 985 HU) and 244.67 HU(ranged from 6.00 to 651.00 HU) in man and woman, respectively. 6.In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type I was 14 cases, type II was 1 case, and type III was 22 cas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orphology, quality, and anatomic structures of the edentulous posterior mandibular region are diverse for implant installation, thus It is requested that the practitioner should consider various anatomical factors for each patient in implant installation.

      •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확장된 계획행동의 매개효과

        원기욱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확장된 계획행동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의 창업의도를 파악하여 기업가정신과 확장된 계획행동의 중요성과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확장된 계획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의 확장된 계획행동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대학생의 확장된 계획행동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영향관계와 확장된 계획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대학생 414명의 설문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확장된 계획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확장된 계획행동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대학생의 확장된 계획행동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 스스로 기업가정신을 수립한다면 긍정적인 태도 및 주변인들의 의견과 지지, 그리고 내·외적인 개인의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특히, 추가요인으로 선정한 창업실현 가능성은 창업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할수록 창업의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확장된 계획행동에 추가구성한 창업실현 가능성은 창업의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성립함을 검증하였다. 기업가정신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이기 때문에 교육이나 경험을 통해 길러질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여 창업의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창업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을 적용하여 긍정적인 태도와 함께 주변인의 이해 및 지지 정도, 내·외적인 방해요인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창업행동의 성취에 대한 자신감 수준의 효과를 파악하여 타 연구와의 차별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창업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의 창업의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기업가정신의 관점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창업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기업가정신과 확장된 계획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교육 및 창업지원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기업가정신이 신장되어 창업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대학생의 창업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업가정신과 확장된 계획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지만, 이외에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이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대학생의 창업지원 현황이 활발해지는 오늘날 불확실한 창업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 대학생의 창업의도 향상에 필요한 기업가정신 외의 다양한 변인을 살펴보고 영향관계를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whether extended planning behavior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and present the import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entrepreneurship and expanded planning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does the entrepreneurship of college students affect the expanded planning behavior? Second, does the extended plann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ffect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Third, does the entrepreneurial spirit of college students affect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Fourth, does the extended plann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xpanded planning behavior, and the survey response data of 414 college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ntrepreneurship of college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panded planning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xtended plann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Third, in the case of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extended plann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is means that if college students establish entrepreneurship on their own, positive attitudes, opinions and support from those around them, and internal and external individual abilities will be improved.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a start-up selected as an additional factor means that the more positive value is given to the start-up, the more the start-up intention increases.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a start-up, which was added to the expanded planning behavior, has a direct impact on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Since entrepreneurship is a competency necessary to perform a job,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by seeking ways to be nurtured through education or experience. In addition, by applying extended planning behavior to find out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positive attitud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the surrounding people, and internal and external obstacle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the level of confidence in the achievement of entrepreneurship behavior was identified to derive a difference from other studi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ct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entrepreneurship as a way to increas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interested in starting a busin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studi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and expanded planning behavior as variables that affect startup intention. Third, providing education and start-up support-related programs to foster entrepreneurship will increase entrepreneurship and improve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xpanded planning behavior was examined to find out the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to start a business, but there may be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In particular,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various variables other than entrepreneurship and verify the impact relationship necessary to improve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to cope with the uncertain start-up environment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