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樂浪郡與中國內地的文化聯系 -以考古學遺存爲視角的動態觀察-

        왕배신 ( Pei Xin Wang ) 단국사학회 2014 史學志 Vol.48 No.-

        낙랑문화란 낙랑시기의 유물·유적으로 구성된 고고학적 문화개념이다. 낙랑문화에는 현지의 전통문화 요소와 변군(邊郡)과 중원본토의 연계를 통해 끊임없이 전입되어진 한·위·진 문화요소가 모두 포함된다. 낙랑문화와 관련된 유적으로는 무덤유적이 가장 대표적이다. 지금까지 조사된 낙랑관련 무덤자료들은 낙랑문화시기 전체를 포괄할 수 있을 만큼 풍부하여 이 시기를 연구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무덤의 형태와 구조 변화 등에 근거하여 낙랑문화를 전체 6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 무덤양식은 단인장(單人葬)을 한 목곽묘 위주이다. 제2기, 여전히 단인 목곽묘 위주이며, 시신이 안치된 관의 측면부에 부장품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을 두거나 혹은 상자(邊箱)를 설치한 형식이 새롭게 등장한다. 제3기, 부장품을 담아두는 두상(頭箱)이 있고 변상(邊箱) 혹은 관상(棺箱) 윗 부분과 옆쪽에 부장품을 놓아두는 합장 목곽묘가 유행한다. 제4기, 무덤의 형태와 구조는 제3기와 기본적으로 서로 같으며, 매장방식은 다인동곽합장(多人同槨合葬)으로 변한다. 이 시기에는 개별적으로 전실묘(傳室墓)가 출현한다. 시대는 동한 후기로 약 AD 2세기이다. 제5기, 목곽묘가 소실되고 묘실의 네벽이 외호궁륭정(外弧穹隆頂)한 단실묘(單室墓)와 전후 2실의 전실묘(傳室墓)가 유행한다. 매장방식은 2인 합장 혹은 다인 합장이 많았다. 시대는 동한 말에서 조위(曹魏) 전기로 약 AD1 90-240년이다. 제6기, 장방형의 단실 전실묘가 유행하고 매장방식은 2인합장이었다. 시대는 조위 정시(正始) 연간(AD 240-248년)에서 낙랑과 대방군이 고구려에 점령당한 이후까지로 약 3세기 중반-4세기 전후이다. Nakrang(lelang, 樂浪) culture is the archaeological cultural concept which consists of relics and sites of Nakrang period. Nakrang culture includes the cultural aspects of its original local area as well as the cultural aspects of Han(漢)·Wei(魏)·Jin(晉) dynasties which unceasingly came into Nakrang area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outer rim and the Chinese heartland. Among the sites related to Nakrang culture, the burial site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The burial sites investigated by today are as abundant as they can cover the entire Nakrang era, so they are used for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to research the era. Depending on the forms and the structures of the burial systems, Nakrang culture can be assorted into 6 periods. In the first period, the burial style was mainly of the wood-receptacle tomb for a single corpse. The second period was still mainly of the wood-receptacle tomb for a single corpse, but a grave style with a space or a container beside a coffin for grave goods newly appeared. In the third period, the wood-receptacle tomb with the head-container(頭箱) for grave goods and/or with grave goods above or beside the side-container(邊箱) or the coffin-container(棺箱) became popular. The tomb’s form and structure of the fourth period wa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period, but the burial style got changed to the burial of muti-corpses in a receptacle. In this period also appeared the brick-chamber tomb. It covered the late eastern Han period, approximately the 2nd century AD. In the fifth period, the wood-receptacle tomb disappeared, and the brick-chamber tomb either with a single chamber or with double chambers which consisted of front and back chambers became popular. The majority of the burial style was the burial of two or more corpses in a tomb. It covered from the late eastern Han to the early Wei period, approximately 190-240 AD. In the sixth period, the single oblong brick-chamber tomb became popular, and the burial style was the burial of two corpses together. It covers from Wei dynasty’s Zhengshi years(240-248 AD) to some time after Goguryeo’s capture of Nakranggun(Lelangjun, 樂浪郡) and Daebanggun(Daifangjun, 帶方郡), approximately from the mid-3rd century to the 4th century 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