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케크롭스와 아테네 왕가의 전통

        오흥식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3 서양고대사연구 Vol.68 No.-

        이 글은 청동기 시대 아테네 왕 케크롭스(Κέκροψ)가 힉소스의 침입으로 이집트의 제2 중간기가 시작하는 1650년 이전에, 에게해권에서는 힉소스의 동지중해 진출로 인한 변화를 반영하는 도기연대 MMII에서 MMIII(1700~ )로 변화하기 이전에 이집트의 사이스에서 아테네로 도래한 이집트인임을 밝히는 데에, 그리고 그가 아테네 왕가의 전통을 세웠음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펠라스고이’가 언급되고 있는 헤로도토스(8.44.2)―“펠라스고이인들이 오늘날 헬라스라고 불리는 곳을 차지하고 있었을 때 아테네인들은 펠라스고이족이었는데, 크라나오이라고 불리웠다. 케크롭스가 왕이었을 때 아테네인들은 케크로피다이인들이라고 불리웠다”―를 새롭게 해석하려 한다. 고대 그리스 저자들은 케크롭스가 아테나 여신을 수호신으로 삼았다고 기술하고 있다. 특히, 페르가몬의 카락스는 “이집트 사이스로부터 온 케크롭스가 아테네를 식민지로 삼았다. 사이스는 이집트인들에 따르면 아테나라고 불리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마틴 버날은 카락스의 글을 근거로 사이스의 종교적 명칭 Ḥt nṯr (nt) Nt(‘네이트의 신성한 집’)으로부터 Ἀθηνᾶ(아테나 여신)를 끌어내었는데,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집트 사이스 출신의 케크롭스는 사이스의 아테나 숭배를 아테네로 들여왔다. 케크롭스의 두 모습―하나는 이집트인 출신의 왕이라는 점과, 둘은 아테나 여신을 수호신으로 삼은 왕이라는 점―은 케크롭스 바로 다음에 이집트인들이 아닌 크라나오스와 암픽티온이 아테네 왕이 되면서 끊기었으나, 이집트인 에릭토니오스가 아테네 왕이 되면서 이어졌고 에렉테우스를 거쳐 도리스족의 침입 무렵까지 지속되면서 아테네 왕가의 전통이 되었다. The first aim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at it was before the beginning of the Aegean ceramic period MMIII (1700 B.C.-) when Cecrops(Κέκροψ), who came from the town of Sais in Egypt became the Athenian king.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Herodotus (8.44.2) will be analyzed: “The Athenians, while the Pelasgians (Πελασγοί) ruled what is now called Hellas, were Pelasgians, bearing the name of Cranai. When Cecrops was their king they were called Cecropidae.” The second aim is to suggest that he established the tradition of the royal house of Athens. Ancient Greek authors state that Cecrops had the goddess Athena as his patron deity. Especially, Kharax of Pergamum states that “Cecrops, coming from the town of Sais in Egypt colonized Athens. Sais according to the Egyptians, is said Athena(Σάϊς δὲ κατʼ Αἰγυπτίους ἡ Ἀθηνᾶ λέγεται).” On the basis of Kharax, Martin Bernal derived Ἀθηνᾶ(Goddess Athena) from Ḥt nṯr (nt) Nt (‘sacred city (of) (the goddess) Neit’), the religious name of Sais (Egyptian divinities were frequently referred to by their dwellings). The two features of Cecrops, one as a king of Egyptian origin and the other as a king with the goddess Athena as his patron deity, ended when Cranaus and Amphictyon, who were not Egyptians, became kings of Athens immediately after Cecrops. However, the features continued when Erechthonius, an Egyptian, became the king of Athens, and continued through Erechtheus until the time of the Dorian invasion, becoming a tradition of the royal family of Athens.

      • KCI등재

        인간이 겪는 고통의 의미: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교서 Salvifici Doloris(구원에 이르는 고통)

        오흥식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9 서양고대사연구 Vol.56 No.-

        이 논문의 목표는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에서 오이디푸스가 겪게 되는 기구한 팔자들과 그 기구한 팔자를 겪었음을 깨달으면서 오이디푸스가 겪게 되는 고통의 의미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교서, 「구원에 이르는 고통(Salvifici Doloris)」(1984)을 통해 이해해보려는 것이다. 오이디푸스는 스핑크스 수수께끼에 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 수수께끼로 말하면 아무나 풀 수 있는 것이 아니었고 거기에는 예언술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나 새들도 신의 계시도 그대(=테이레시아스)를 돕지 않았다. 그때 내가 나타났던 것이다, 이 무식한 오이디푸스가 (ὁ μηδὲν εἰδὼς Οἰδίπους). 그리하여 새들의 가르침이 아니라 내 자신의 지식으로 (그노메로, γνώμῃ) 그녀(=스핑크스)를 침묵시켰던 것이다(393-8행).” 스핑스크의 수수께끼를 풀 정도로 출중한 지혜를 지닌 오이디푸스를 소포클레스는 소피스트적 지식(gnōmē)의 화신으로 그려내고 있다. 소포클레스는, 오이디푸스가 신이 인간에게 선물로 준 지혜가 아니라 인간적 지식에, 다른 말로는 소피스트적 지식에 지나친 자부심을 가졌기에 아폴론 신이 보낸 역병과 티케들에 의해 말할 수 없을 정도의 심적 고통을 겪었던 것으로 그려내고 있다. 오이디푸스가 겪은 고통은 어떤 의미를 지닌 것일까? 교서는 인간이 겪는 고통의 의미에 관해, 또는 하느님이 인간에게 가하는 벌(罰)의 의미에 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벌이 의미가 있는 까닭은 단순히 그것이 범죄라는 객관적인 악을 다른 또 하나의 악으로 응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특히 그것이 고통 받고 있는 주체 안에 선(善)을 재건할 수 있는 가능성(facultatem... restaurandi bonum)을 조성해주기 때문입니다.”(Salvifici Doloris 3장 12절) 이어서 교서는 고통받는 자—아래 인용문의 ‘주체’―에게 선이 어떻게 재건되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고 있다. “고통은 주체 안에서 회개에, 즉 선의 재건에 기여해야 하며(Dolor conducere debet conversioni, id est restitutioni boni in homine), 그 주체는 이 회개하라는 부르심 속에서 하느님의 자비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qui potest divinam misericordiam agnoscere in hac ad paenitentiam hortatione).” 고통은 오이디푸스 안에 다음과 같은 회개를 일으킨다. “그러나 나는 역병이나 그밖에 일로는 죽지 않으리라는 것을 알고 있다(οδα). 몸서리처지는 고통이 아니었더라면(μὴ ʼπί τῳ δεινῷ κακῷ), 나는 결코 구원받지 못한 채로 죽어갔을 테지(ουʼ γὰρ ἄν ποτε θνῄσκων ἐσώθην). (1455-1457행)” 교서는 고통이 존재하는 궁극적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러나 “왜 고통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진정한 해답을 얻으려면, 우리는 존재하는 모든 것의 의미가 흘러나오는 궁극 원천인 하느님의 사랑이라는 계시에 주목해야 합니다. 사랑은 또한 언제나 하나의 신비로 머물러있게 마련인 고통의 의미가 흘러나오는 가장 풍부한 원천입니다(Amor est etiam copiosissimus fons significationis doloris, qui semper mysterium manet). (Salvifici Doloris 3장 13절)” 아폴론도 오이디푸스를 파멸시키려고 고통을 가한 것이 아니라 구원하기 위해서였다. 그 신은 그를 참 지혜로 이끌기 위해 그에게 고통을 가한 것이었다. 결국 아폴론은 오이디푸스를 아꼈던 것이다. This article shows that in Sophocles’ Rex Oedipus, Apollo suffered Oedipus in order to save Oedipus from sophistic wisdom(γνώμη), as demonstrated in the light of Pope John Paul II’s Apostolic letter, Salvifici Doloris (Salvific Suffering) (1984). Oedipus says about the riddle of the Sphinx as follows(393-398): “Yet the riddle, at least, was not for the first comer to read: there was need of a seer’s help, and you were discovered not to have this art, either from birds, or known from some god. But rather I, Oedipus the ignorant, stopped her, having attained the answer through my wit(γνώμη) alone, untaught by birds.” Sophocles describes Oedipus, who answered the riddle of the Sphinx, as the incarnation of sophistic wisdom(γνώμη)(Oedipus means ‘one who knows the foot’ or ‘who knew the riddle about the foot, i.e. the riddle of the Sphinx). Sophocles describes how Oedipus suffered agony in his successive encounters with τύχη, chance sent by Apollo, especially after the breakout of the plague in Thebes. He came to know that without his knowledge he had killed his father Laius and had married his mother Iocaste some decades ago. Salvifici Doloris (3.12) tells about the meaning of the punishment which God inflicts upon human beings. “Punishment has a meaning not only because it serves to repay the objective evil of the transgression with another evil, but first and foremost because it creates the possibility of rebuilding goodness(facultatem... restaurandi bonum) in the subject who suffers.” Subsequently Salvifici Doloris (3.12) says how goodness could be rebuilt in the sufferer (or, in the subject). “Suffering must serve for conversion, that is, for the rebuilding of goodness in the subject, who can recognize the divine mercy in this call to repentance(qui potest divinam misericordiam agnoscere in hac ad paenitentiam hortatione).” The suffering makes Oedipus repent(lines 1455-1457). “And yet I know this much, that neither disease nor anything else can destroy me. I would be dying without [possibility of] being saved unless I had suffered dreadful sufferings(ουʼ γὰρ ἄν ποτε θνῄσκων ἐσώθην, μὴ ʼπί τῳ δεινῷ κακῷ).” Salvifici Doloris (3.13) explains why the suffering exists: “But in order to perceive the true answer to the "why" of suffering, we must look to the revelation of divine love, the ultimate source of the meaning of everything that exists. Love is also the richest source of the meaning of suffering, which always remains a mystery(Amor est etiam copiosissimus fons significationis doloris, qui semper mysterium manet).” Apollo also made Oedipus suffer not to destroy him but to save him. The god suffered him in order to lead him to true wisdom. After all, the god thought much of h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