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보보호 컨설턴트 양성을 위한 정보보호 컨설팅 직무의 이해와 PBL 교육방안 연구

        오창현(Oh Changhyun),박용석(Park Yongsuk) 한국IT서비스학회 2016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추계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 컨설턴트 직무를 표준화하고 해당 직무를 실무관점에서 학습하고 교육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정보보호 컨설팅 업무를 시나리오로 제시하여 스스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PBL(Problem-based learning) 교육방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일본 제국의 통치합리성으로서 학문지식의 진화 - 경성제대 도서관 장서(산업 및 수산업편)의 시계열적 분석

        오창현 ( Oh Changhyun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78 No.-

        이 연구의 목적은 식민지 조선의 최대 도서관이었던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 장서 중 산업편(청구번호 9000)과 수산업편(청구번호 9700)전권에 나타난 학문지식의 변화를 일본 제국의 통치합리성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여기서 학문지식의 진화란 근대 국가 통치술의 일환으로서 인간과 사물에 대한 지식이 점차 근대적인 재화나 용역으로 규정되어온 과정을 말한다. 이 연구는 경성제대 도서관 장서를 크게 3기로 나누어 분석한다. 우선, 제1기는 주로 일본의 관방학계가 축적한 학문지식으로서, 중앙집권국가로서 변모한 일본과 새롭게 편입한 식민지 내 사물과 인구를 `물산`으로 파악하고 제국내외 무역망 속에서 편입·구축하려는 권력을 반영한다. 제2기에는 각 지역의 사물과 인구에 대한 조사·보고를 넘어, 통계나 이론에 객관성을 부여해 그것들로부터 현실 자체를 재조직하려는 `진화한 지식권력`이 등장한다. 제3기에는 1929년 세계대공황을 계기로 `서구적 진보`라는 당위성을 의심받기 시작한 통치합리성이 1930년 대 만주사변과 전시체제기를 거치며 천황으로 표상되는 국체(國體)의 보존과 이를 위한 “고도국방국가”의 건설에서 스스로의 정당성을 구축하게 되는 과정이 나타난다. 이 연구는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의 산업·수산업편 장서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제국 통치합리성으로서 근대성의 연속적인 진화 과정을 포착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et out to trace the changes in the modern academic knowledge with regard to the evolving governmentality of Japan`s imperialism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1945 by diachronically analyzing the books of both industry (Call No. 9000) and fisheries (Call No. 9700) collected at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which was the biggest modern library in colonial Joseon. The academic discourse has largely been divided into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ran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1920s and was marked by governmental studies on objects and people in both Japan, which had just accomplished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ts national community, and its colonized countries. From the late 1910s to the early 1930s, the second phase was characterized by the emergence of power/knowledge to organize reality based on “statistics” and “science,” rather than on the informational and descriptive knowledge of reality. The third phase ran from the 1930s to 1945. The Great Depression raised doubts about what had once seemed entirely self-evident: the “Western Progress” on which the modern rationality and governmentality of Japanese imperialism had been established. Faced with the crisis of Western modernism, the Japanese governmentality lay its legitimacy on the preservation of the “National Polity,” called kokutai (國體), as an immutable entity represented by the emperor and his subjects, and the construction of a totalitarian advanced national defense state for victory in wars.

      • KCI등재

        한국 멸치 소비 문화에 관한 일상의 민속학: 한일 멸치 어업기술의 전파와 수용에 따른 식생활 변동을 중심으로

        오창현 ( Oh Changhyu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8 韓國文化人類學 Vol.5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멸치가 우리의 일상 속에 깊이 들어오게 된 역사적 과정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멸치 어업은 1900년대 근대 통계가 시작된 이후 한국 어업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한국에 살고 있는 이라면 멸치로 만든 요리를 하루도 빠짐없이 접하게 된다. 그러나 멸치와 일상을 연결시켜 논의한 바는 많지 않다. 이 논문은 한일 간의 인지 차이와 그 역사 문화적 배경에 주목하며, 문헌과 현지 연구를 통해 양국의 소비 문화적 차이를 규명한다. 그리고 한일 멸치 소비 문화, 한반도 내 멸치의 회유 경로, 지역별 기후 조건 등을 고려하며, 개항 이후 일본의 영향 및 한국 일상 변동 양상을 규명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봄철 남해안에 산란한 뒤 서해와 동해를 따라 북상하는 멸치의 생태적 특성이 지역 간 어업의 차이를 초래했고, 이점이 한국 내 지역별 기술 변화와 수용 양상을 설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한국인의 일상 속에 멸치가 들어오게 된 역사적 과정이 식민성 혹은 탈식민성만으로 일률적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자연지리, 생태와 기술 조건, 시장 통합 및 분리, 국가(정책)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영향을 미쳐온 매우 복잡한 현상이었음을 보여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anchovies have entered into the daily lives of Koreans. Although anchovy fishing is the largest part of the Korean fishing industry since modern statistics began in the 1900s, there has not been much discussion of anchovies dealing with changes of Korean daily live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anchovie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ts consumption in Korea and Japan, in this paper I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Japanese consumerism as indicated by my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rough my field research. In this study I also investigate Japan’s sphere of influence in initiating a series of changes in Korean daily life, with the opening of ports. The investigation of these changes require considering multiple factors such as the consumer culture of anchovy consumption in Korea and Japan, the migration of anchovi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egional climate conditions. Furthermore, I advance the idea that ecological traits of anchovies which migrate to the southern coast in the spring to spawn and move north up the east and west coasts after spawning influenced the regional development of different fishing practices, and this particular aspect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analyzing changes in fishing techniques during colonial period. Ultimately, I argue that the historical process through which anchovies entered into Korean daily life cannot be interpreted uniformly through the lens of coloniality or post-coloniality, but should be clarified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natural geography, ecological and technical requirements, market integration(or disintegration), national policy and other socio-ecological factors.

      • KCI등재

        연구논문 : 19~20세기 동해안 떼배의 기술문화사적 함의와 이중기술 구조; 동해안의 미역 채취기술과"복합생업"

        오창현 ( Changhyun Oh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3

        본 논문의 목적은 동해안 일대에서 미역 채취에 널리 사용되어 온 떼배의 기술문화사적 함의를 규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동해안에서 떼배를 이용한 미역 채취기술을 면밀히 살피되, 인간이 생계를 조직해 나가는 방식에 주목해 전체 생업체계 하에서 개별 기술의 의의를 설명하고, 나아가 이것의 물질문화사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먼저 떼배와 전마선(前馬船)을 각기 사용하고 있는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의 이웃한 두 마을인 등명마을(정동진 1리)과 심곡리의 채취기술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떼배에서 전마선으로의 기술 변형이 함의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본다. 또한 경제적·기술적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 떼배가 일본형 전마선에 비해 미역 채취에 훨씬 적합한 기술임을 보이고, 그럼에도 20세기 중반 들어 일본형 어선으로 급격히 교체된 것은 떼배의 경제적·기술적 효율성이 낮았기 때문이 아니라, 오랫동안 동해안에서 가장 큰 어업이던 명태 어업이 쇠퇴하고 연안어업이 발달하게 된 것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보인다. 여기서 더 나아가 본 논문은 강릉시, 울산시, 울릉군의 지역 문헌자료를 검토하여, 1인승의 소형 떼배와 6~7인승의 다소 큰 범선을 각기 이용해 미역과 명태를 어획하는 소위‘이중기술 구조(二重技術構造)’가 강릉시의 두 마을에만 국한된 특징이 아니라 동해안 전체에 적용될 수 있는 주요한 기술적 특징임을 논증한다. 강릉시, 삼척시, 울진군, 울산시의 어민들은 봄에는 떼배를 이용해 미역을 채취하고 나머지 계절에는‘목선’을 이용해 난바다어업에 종사했다. 또 전남 남해에서 울릉도까지 온통어자는 봄에는 울릉도에서 떼배를 만들어 미역을 채취하고 가을이 되면 범선을 타고상업 활동에 종사했다. 요컨대 미역 채취에 사용되어 온떼배의 기술문화사적 의미는, 명태·청어·미역 어업이 동해 어민의 주요 생업이 된 적어도 18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연안 가까이 서조업하는 떼배와 난바다에서 (주로 명태·청어 어업 혹은 장거리 상선) 조업하는 중형 범선이라는 이중기술 구조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동해안에서 떼배가 오랫동안 사용된 것은 동해안 어업의 미발달이나 원시성 때문이 아니라, 어민들의 복합생업 속에서 떼배가 차지하는 위치 때문이었다. 하나의 기술과 도구는 인간의 생계를 구성하는 부분이기에, 그것의 의미는 생계를 조직해 나가는 인간의 활동 전체로부터 고찰되고 설명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chnographic implications of fishing rafts which were once widely used in the eastern coastline of the Korean peninsula until the middle of 20th century. First, this study compares the techniques used by two neighboring villages, one employing fishing rafts, the other with ‘modern Japanese-type’ boats [FRP boat] to cut and gather seaweed(Undaria pinnatifida). The purpose of the comparison is to clarify the cause of the substitution from rafts to boats that occurred all over the eastern coast from the mid-20th century, and then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coastal fishery of the Korean peninsula“, Dual Technique Structure.”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documents from several eastern coastal counties to demonstrate that the“ Dual Technique Structure”of using both seaweedgathering rafts and far off-sea fishing sailboats could be applied to the other eastern coastal fishing villages. Each fisherman cut and gathered seaweed with a personal small raft in the spring, and would be joined by six or seven co-workers to sailed as far as 5~20kmoffshore to catch the Alaska Pollack(Theragra chalcogramma) and herring(family Clupeidae) in summer and winter[after 20th century, adding cuttle fish (order Sepiida)]. Consequently, the reason why the widely-used small raft was used for a long time in the Korean east coast and its technographic meaning must be understood not in terms of technological underdevelopment or the extremely simple structure of rafts, but in terms of the Korean eastern fisherman`s whole livelihood and techno-cultural system.

      • KCI등재

        19~21세기 한국 사회의 변동과 남서 연안부의 지역 축제 : 근대 민족주의, 소비주의, 지역성을 중심으로

        오창현 ( Oh Changhyu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우선 전남의 한 지역축제인 단오제가 기반해 온 사회경제적 배경과 변화를 검토하는 것이다. 나아가 단오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변화를 분석해, 1990년대 이후 국민국가의 민족주의와 소비주의에 맞춰 단오제가 주민들에 의해 전유되어 가는 방식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먼저 2장에서 법성포단오제의 탄생·소멸·부흥 과정을 사회경제적 변화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단오제가 개최되기 시작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파악해, 단오제에 대한 “발명된 전통”를 해체할 것이다. 3장에서는 수집 자료의 분석과 참여관찰을 통해 세시행사의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고 변화상과 주요한 경향들을 추적한다. 4장에서는, 지난 30년 동안 지방화, 새로운 소비주의, 관광주의 등의 흐름에 맞춰 부활한 단오제의 변화를 분석한다. 이러한 변화가 문화재보호법으로 대표되는 국민국가의 민족주의와 상품이 가진 진 정성을 소비하고자 하는 소비주의 사이에서 상인들이 자신들의 문화유산들을 타협하고 전유하며 나타난 결과임을 보인다. 나아가, 한국 문화재보호법과 일본의 문화재보호법을 비교 분석해, 근대 민족주의를 실천하는 정책적 수단인 문화재보호법에서 지역성의 위치를 규명한다. 이 논문은 또한 단오제가 장기적인 과정을 거쳐 형성된, 내부자의 공동체를 향한 “사회적 열망”을 담는 표상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한다. To counteract the attribution of invented tra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and the socio-economical backgrounds behind the changes of the Danoje that occurred during the past two centuries; Danoje is a local festival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Korea that was designated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2012. Analyzing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Danoje and the Korea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in comparison with the Japanese law, I demonstrate how the local residents appropriate the intangible heritage to promote their commercial interests, with recourse to the nationalism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the late modern consumerism dating from 1980s onward. This study also underlines that the festival in the long term has evolved into the symbolic expression which coalesces the communal passion.

      • KCI등재

        20세기 전후 서해안 대형 어선어업의 존재양상과 전개과정

        오창현(Oh Changhyun)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0 島嶼文化 Vol.0 No.35

        본 연구는 우선 식민지시기 일본인들이 조선시대의 어구 어법 중에서 예외적으로 적극적이고 또 가장 발달하였다고 판단한 망선 어업을 역사적으로 실증하고 식민지시기 변화과정을 살폈다. 기존의 연구는 망선어업을 중국의 풍망 어업을 모방한 것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현지연구를 통해 망선 어업이 조류가 강한 곳에 설치되는 안강망이나 중선망과 달리 조류가 약한 곳을 중심으로 1920년대까지 서해안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음을 실증했다. 또 역사자료를 통해 망선망이 조선시대 후릿그물(揮羅綱)로 분류되었으며 늦어도 18세기 중반부터 한반도에서 널리 사용되었음을 논증했다. 중국과 일본자료를 통해 망선어업과 유사한 중국의 발해풍망어업이 1930년대 이후 쌍선어업에서 변화한 것임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망선어업이 조선의 고유한 어법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식민시기 이후 기존의 어업연구에서 망선 어업 등 이른바 선망 어업의 중요성을 간과하게 된 데에는 식민시기 일본인 연구자들이 일본과 다른 방식으로 발전한 조선의 어업을 이해하지 못했던 데 기인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는 망선망이 조선시대 揮羅綱[후리그물]로 범주화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그러나 식민지 초기 조선과는 상이한 환경과 사회문화 체계를 가진 일본 연구자들은 자신들의 어구 분류체계 속에 조선의 어구인 揮羅綱을 적확하게 분류할 수 없었다. 그들은 물고기를 후려서 잡는다는 넓은 의미의 후리그물을 육지에서 그물을 당겨 잡는 어로방식인 지예망이란 매우 좁은 범주로 이해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한국어업과 어촌에 대한 가장 이른 시기에 쓰인 체계적인 조사보고서로 평가되는 『韓國水産誌』역시 현지연구에 비추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20세기에 들어 망선어업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충남 서천군 서면 일대의 망선 어업자들도 점차 일본에서 개발된, 보다 깊은 바다에서도 조업이 가능한 안강망 어선으로 어업형태를 바꾸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변화에는 망선으로 조기잡이가 가능한 어장이 제한되어 있었고, 제한된 어장에서 조기 수가 감소했으며, 다수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망선망은 노동생산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조기와 함께 주요한 어획 대상이었던 청어가 더 이상 서해로 회유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요컨대, 본 연구는 어업사적 과제에 세 가지 시사점을 던져준다. 첫째, 20세기 초반까지 서해안에서 이루어진 대형 어선어업의 실체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 두 번째, 본 연구가 문헌연구를 통해 대형 어선어업이 늦어도 18세기 중반 이전부터 나타났다는 점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전제, 즉 조선시대 어업이 연안어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라고 하는 견해를 반박하고, 일본과 다른 방식으로 이미 이른 시기부터 근해어업, 洋中어업으로 발전되었다는 점을 주장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historical existence and process of Net-ship, that was evaluated as exceptionally positive and most advanced fishery by Japanese researchers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Although earlier studies in Korea underestimated it as no mote than imitated fishing gear from Chinese, this studies demonstrated that it had been used widely around western seas with the weak: tidal current at least from the mid 18th to the early 20th century.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Wind-net in Chinese Bo-Hai sea, very similar to Korean appeared after 1930s, Net-ship can be the unique fishing gear of Joseon Dynasty's own. Andn earlier severe underestimation of Net-ship resulted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Japanese researchers, They could not categorize Net-ship as purse seines because Joseon's people called it Round-up Net(揮羅網) that Japanese categorized only as Dragging-net(地曳網). Fundamentally they did not understand the Middle sea fishery(洋中漁業) that developed peculiarly in Joseon dynasty. Net-ship had declined after the early 20th century and was replaced by stow nets on anchor because of the low labor productivity and the decrease of available fish, especially the disappearance of Pacific herring migrating to western sea. This study has thre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 historical studies of fishery and fishing culture. First, it verified that a huge fishing ship had been operated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Second, it demonstrated that it began to be used widely at the least before the mid 18th century by historical records. Finally I objected the major premise that many scholars have shared, that the fisher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could not break away from inshore fishery because of its vulgar level of fishery technology. On the contrary, I insisted that it advanced to the offshore and the so called Middle sea fishery from very early stage.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전반 일본 안강망 기술의 전파와 조선 어민의 수용 과정

        오창현(Oh, Changhyun)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4 島嶼文化 Vol.0 No.43

        본 논문은 1900년경 일본 큐슈[九州] 지방에서 전파되어 최근까지 서남해안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강망 기술의 변화과정을, 1970년대까지 한국(과 조선) 서해 어민들의 주요 생업이었던 조기 어업 기술과 관행의 지속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먼저 안강망과 어망의 구조와 원리가 유사한, 재래식 조기잡이 어구인 중선망과 주목망의 기술적 특징들을 검토했다. 이어 이 글은 19세기 중후반 일본 큐슈 서북부의 작은 灣에서 개발된 안강망이 일본 通漁民에 의해 朝鮮海로 넘어와 조업되기 시작한 이후 조선에서 어떻게 변용되며 수용되어 갔는지를 검토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각종 유물자료와 함께 현장조사 자료를 검토해, 이러한 안강망과 안강망 어선의 변용 과정이, 본래 일본 큐슈 어민들의 필요에 따라 개발되었던 안강망이 조선으로 전파되어 점차 조선 어민의 조기 어업 관행에 맞게 변용되어 가는 문화적 변용과정이었음을 보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and improvement of stow nets technique introduced to Korea by Japanese fishers in perspective of the duration of Korean redlip croaker fishery, which had been one of major traditional fisheries in Korean peninsula. Since Stow nets was introduced from western Kyushu, Japan to Korean peninsula around 1900 in tandem with Japanese colonialism, it has still widely been used for redlip croaker fishery in Korean in contrast to Japan. This study, first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lip croaker fishing gea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such as set nets attached to boats and set nets in shallow waters. Secondly it analyzed how the stow net technique had been transformed and disseminated since it had been invented in a small gulf for catching the fish which Japanese had liked. Finall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stow net was the acculturated process for Japanese stow net to be gradually adjusted to Korean traditional redlip croaker fishery practices and to be accepted by Korean fishers.

      • KCI등재

        19~20세기 통영 · 거제 지방의 중소형 어선 어업과 그 특징

        오창현(Oh, Changhyun)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5 島嶼文化 Vol.0 No.46

        이 논문의 목적은 먼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사용되던 통영 · 거제 지방의 대표적인 중소형 어선인 통구민배 어업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나아가 통구민배 어업의 특성을 토대로 20세기 전반기 통영 · 거제 지방의 중소형 어선 어업의 특징과 관행을 규명하는 것이다. 통구민배는 한국의 어업 선진 지역이었던 통영 · 거제 지방을 대표하는 재래 어선이고, 이 지역의 어업과 어민생활을 이해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생업 도구이다. 먼저, 이 글은 통구민배 어업의 특질과 20세기에 일어난 어선 기술의 변화를 어민들의 생업 논리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것이다. 2장에서는 먼저 통구민배의 지역별 사용례를 조선 후기 사료를 통해 검토한다. “桶船”이라고 기재된 통구민배는 이미 18세기 『均役廳事目』에도 등장하고 19세기 말까지 경상도 수세대장에 널리 나타나고 있다. 이어 3장에서는 통구민배가 통영 · 거제 어민들의 구체적인 생업에서 사용되던 방식과 구조적 특성은 무엇인지 파악할 것이다. 이를 통해 통구민배의 효율성이 기술 자체의 효율성이 아니라 어민들의 구체적인 어로 활동 속에서 비로소 이해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규명한 통영 · 거제 어민들의 통구민배 조업 방식이 洋中 어업이라는 조선 후기의 제도적 기반 위에 형성된 것임을 밝힐 것이다. 또, 20세기 전환기 통영 · 거제 지방의 중소형 어선 어업의 특징과 변화상을 검토해, 19세기 말 육지 주민들의 섬으로의 이주, 일본 수출 시장의 확대에 따른 새로운 어업의 도입, 새로운 기술의 도입 등이 경남 남안의 어촌사회에 미친 영향을 규명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fishery using tonggumin-bae, which is a representative small to middle-sized fishing boat widely employ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mid-20th century in Tongyeong and Geoje regions in Korea. Furthermore, traits and customs of fishery with small and medium sized fishing vessels of Tongyeong and Geoje regions will be determined based on the typical features of tonggumin-bae fishery. Tongyeong and Geoje were the most advanced regions in fishery across the country, and tonggumin-bae vessels were a quintessential livelihood tool that enables u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fishery practices in these areas and the lives of the local fishermen. First, this paper will investigate both traits of tonggumin-bae fishery and technical changes that occurred in fishing boats during the 20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shermen"s livelihood. Next, the paper will review examples of the use of tonggumin-bae by region based on historical record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Noted as "桶船”, tonggumin-bae were already recorded in Gyunyeokcheongsamok (“Section for the Equalized Tax Agency”) in the 18th century and they were also recurrently mentioned in Susaedaejang(“the tax ledger”) of Gyeongsang province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Subsequently, the paper will explore bot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onggumin-bae and the ways in which the fishermen of Tongyeong and Geoje regions used this particular vessel in their actual livelihoods. Through this, the paper will show that the efficiency of tonggumin-bae can only be understood within the practical fishing activities of the fishermen rather than the technical efficiency itself. The fourth section will reveal that the fishery with tonggumin-bae in Tongyeong and Geoje regions was formed by the policy framework of the late Joseon and named offshore fishery. In addition to reviewing characteristics of and changes in small and middle-sized boat fishing in Tongyeong and Geoje regions in the 20th century transition period, the impacts of a series of social events will be examined, such as the immigration of inland inhabitants to island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introduction of new fisheries and techniques, and the expansion of Japan"s export market, on fishing villages along the south coast of Gyeongnam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