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전문 학술지에 의한 위암 외과의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오정아,김대훈,오승종,조현진,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Oh, Cheong-Ah,Kim, Dae-Hoon,Oh, Seung-Jong,Cho, Hyun-Jin,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Bae, Jae-Moon,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위암 외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그간의 국내 외과 영역에서의 위암 연구들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점을 논의하고 미흡한 연구 부분에 대한 연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와 창간 이후 대한위암학회지의 질적 양적인 향상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석 대상은 2001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8년간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투고된 위암 연구에 관한 논문들로 하였다. 결과: 대한위암학회지와 대한외과학회지의 투고 논문의 경향을 보면, 전자의 경우에는 종설은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에 증가하였다. 후자는 8년간 총 6편만 발표되었고 전반적으로 종설에 대한 발표 편수가 적었다. 증례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매년 1~3편 전후로 전반적으로 낮은 추세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독특하게도 보고서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만 2004~2005년도에 활발하였다. 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초기에 많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초기에 잠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점차 증가하다가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계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위암의 생물학적 연구, 암표지자 연구, 유전자 연구는 두 학회지 모두 게재 비율이 낮았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은 후향적 연구에서 전향적 연구로 이행되어 가고, 임상적 연구보다는 기초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이행성 연구가 중시될 것이며, 단일 기관 또는 연구자 단독 연구보다는 다기관 또는 다학제간의 협력 연구가 더 높이 평가되고 지원되고 장려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literature report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in order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on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between 2001 and 2008 were compared and summariz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retrospective study, prospective study, case report, biomolecular study, genetic study, tumor marker study, review article, and report. Results: For recent 8 years, while the number of review articles in JKSS had initially increased, gradually fallen down and recently increased again, only a few (only 6 publications) in JKGCA have been published. The number of case reports in JKS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fallen down. On the other hand, a few of case reports (1~3 publications) has been annually published in JKSS. Uniquely, reports were published only in JKGCA with the noticeable increase during the period from 2004 to 2005. For retrospective studies, in JKGCA the number started off very high and decreased, and finally increased again (U-shaped), whereas it had a bell-shaped trend in JKSS. The number of prospective studies in JKGCA had a bell-shaped trend, but the one in JKSS continued to decrease. Few papers of molecular biologic study, tumor marker study and genetic study had been published in both journal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transition from retrospective studies to prospective studies as well as a comprehensive multi-disciplinary team management of a clinical research would represent a desirable strategy in gastric cancer research.

      •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영양지표의 변화와 수술 후 단기간 합병증과의 연관성

        오정아,김대훈,오승종,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배재문,Oh, Cheong-Ah,Kim, Dae-Hoon,Oh, Seung-Jong,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Kim, Sung,Bae, Jae-Moon 대한위암학회 2010 대한위암학회지 Vol.10 No.1

        목적: 위 절제술을 받은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영양상태를 손쉽게 시행할 수 있는 간단한 임상적 자료로 변화를 살펴 보고 이들과 수술 후 단기간의 합병증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위암으로 위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66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환자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수술 전과 수술 5일 후, 수술 6개월 후의 총 림프구수(TLC, cells/$mm^3$), 혈중 알부민(g/dl), 체중(kg), 체질량 지수(BMI, kg/$m^2$)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 인자들과 단기간 합병증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TLC와 혈중 알부민은 수술 전에 비해, 수술 5일 후에는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가 수술 6개월 후에는 다시 회복하는 추세를 보였다. 6개월 후 환자의 영향 상태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진행성 위암에서 수술 6개월 후 TLC, 혈중 알부민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위전절제술 후에 6개월 후의 혈중 알부민과 BMI가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보조적 치료를 한 군의 6개월 뒤의 TLC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체중 감소 비율도 더 컸다. 단기간 합병증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갖는 영양 인자는 수술 후 5일째 혈중 알부민과 수술 전과 수술 후 5일째의 혈중 알부민 변화량이었다. 결론: TLC와 혈중 알부민은 수술 5후에는 유의하게 감소 되었다가 수술 6개월 후에는 회복 추세를 보였다. 수술 후 5일째의 혈중 알부민 저하가 합병증과 관련 있는 요소로서, 이환율에 대한 좋은 예측도를 나타내는 지표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nutritional statuses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factors that are correlated with perioperativ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8 to Jun 2008, 669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gastrectomy were enrolled in a ret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changes of their nutritional status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we measured the total lymphocyte count, the serum albumin, the body weight change and the BMI. The nutritional factors correlated with short-term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total lymphocyte count and serum albumin decreased from the first preoperative day to the $5^{th}$ day after operation, but they tended to increase and approach the normal range 6 months after operation. The only factor correlated with the short-term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efined as the ones that occurred for 30 days) was the serum albumin checked on the $5^{th}$ day after operation. Conclusion: Low serum albumin on the $5^{th}$ day after operation was correlated with postoperative short-term complications. Serum albumin can be the preoperative statistical parameter that can predict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KCI등재

        수술 전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위 주위 조직 침윤을 보이는 진행성 위암에서 PET-CT의 의의

        오정아 ( Cheong Ah Oh ),김대훈 ( Dae Hoon Kim ),오승종 ( Seung Jong Oh ),배영식 ( Young Sik Bae ),최민규 ( Min Gew Choi ),노재형 ( Jae Hyung Noh ),손태성 ( Tae Sung Sohn ),배재문 ( Jae Moon Bae ),김성 ( Sung Kim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2

        목적: 복부CT에서 위 주위 조직 침윤이 의심되는 진행성 위암 환자에게 PET-CT를 시행함으로써 림프절 전이, 다른 부위로의 원격전이 예측에 있어 수술 전 PET-CT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9월에서 2007년 8월까지 위암으로 수술 예정인 환자 중 수술 전 복부CT 검사에서 위 주위 지방조직 침윤을 보이는 환자 101명을 대상으로 림프절 전이, 복막 파종, 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에 대한 PET-CT의 진단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환자에서 원발 병소와 영역 림프절의18F-FDG 섭취 정도와 조직 병리학적 지표들과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림프절 전이, 복막 파종과 원격 전이를 발견 하는 능력에서는 PET-CT는 낮은 민감도와 높은 특이도를 보였다. 원발 병소와 영역림프절의18F-FDG 섭취 정도를 조직병리학적 지표들과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시행한 다변 량 분석에서, Borrmann type과 종양의 크기가 원발 병소와 영역 림프절의 18F-FDG 섭취와 연관성을 보였다. 복막 파종 등으로 고식적 수술을 받은 군에서 원발 병소의 18F-FDG 섭취가 적은 미만형, Borrmann type III형과 IV형의 분포 비율이 더 높았다. 결론: PET-CT는 진행된 위암의 수술 전 림프절 전이 평가와 복막 파종을 발견 하는데 있어서 낮은 민감도로 인해 큰 의의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복막 파종과 원격 전이에 있어 이런 제한된 민감도의 여러 원인 중에는 원발 종양에서 복막으로 파종된 세포와 원격 전이 세포들의 FDG 섭취 정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18F-FDG PET for detecting nodal metastasis, distant metastasis and peritoneal metastasis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ith perigastric fat infiltration and to identify histopathologic parameters that may affect FDG uptake of primary tumor and regional LN among the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06 to August 2007, 101 patients diagnosed with gastric cancer by gastrofiberscopic biopsy and shown as having findings of perigastric fat infiltration on CT were enrolled. The sensitivities, specificities,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PET-CT were evaluated in the detection of nodal metastasis and peritoneal metastasis. In cases with perceptible FDG uptake in primary tumor and regional lymph node, the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was calculated. The clinicopathologic results such as depth of invasion (T stage), tumor size, lymph node metastasis, tumor histological type, Lauren classification were reviewed. Results: PET-CT had a lower sensitivity in detecting of nodal metastasis and peritoneal metastasis. Borrmann type and tumor diameter was related to the degree of FDG uptake in primary tumor and regional lymph node. Conclusions: It might be concluded that PET-CT has little role in the detection of nodal metastasis and peritoneal metastasis due to its low sensitiv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Epstein-Barr 바이러스 양성 위암의 임상양상

        김지영 ( Ji Young Kim ),오승종 ( Seung Jong Oh ),오정아 ( Cheong Ah Oh ),김대훈 ( Dae Hoon Kim ),배영식 ( Young Sik Bae ),최민규 ( Min Gew Choi ),김경미 ( Kyoung Mee Kim ),노재형 ( Jae Hyung Noh ),손태성 ( Tae Sung Sohn ),배재문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2

        목적: 위 악성 종양으로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Epstein-Barr 바이러스 감염 여부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9월부터 2010년 1월까지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640명을 대상으로 in situ hydridization 방식으로 EBV를 검출하고 EBV 양성군과 음성군간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대상자 640명 중 남자는 408명, 여자는 232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5.3(26-82)세였다. EBV 양성위암환자에서 남자가 39명 (90.7%)으로 여자 4명 (9.3%)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으며 (p<0.001), 종양이 위의 상부 1/3에 위치한 경우와 (p<0.001) Lauren 분류에서 혼합형이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빈도가 높았다. (P=0.010). 그러나, 연령, 종양의 침윤 정도, 종양의 크기와 모양, 분화도, 림프절 전이 여부 등의 인자들과 EBV 감염여부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EBV 양성 위암은 남자, Lauren 분류에서 혼합형, 상부에 발생한 위암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EBV 와 관련된 위암이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examine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Epstein-Barr virus (EBV) infectio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gastric resection. Subject and Method: Six hundred and fort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underwent gastric resection at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from September 2009 to January 2010. EBV was detected through in situ hydridization in these patients. Subsequent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EBV infection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the EBV-positive group and EBV-negative group. Results: Of the 640 patients, 408 patients were male and 232 patients were female. The average age was 55.3 years of age (range 26-82). In the EBV-positive group, 39 patients were male (90.7%) and 4 patients were female (9.3%) (p<0.001). Tumors were located in the upper one-third of the stomach (p<0.001) and had a mixed Lauren classification (p=0.010). Age, depth of tumor, size and shape of the tumor, degree of cancer differentiat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EBV-positive gastric cancer may be more prevalent in males with a predominance of a mixed intestinal and diffuse carcinomas of the Lauren classification (a mixed Lauren classification) that are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However, additional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overall survival should be investigated in this specific group of patient popula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