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莊子序」 眞僞 問題와 郭象의 『莊子』 編輯에 관한 고찰

        오일훈(Oh, Ilho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8 道敎文化硏究 Vol.49 No.-

        본 논문은 1978년 발표된 王利器의 논문에 의해 촉발된 「莊子序」 眞僞 問題의 논점과 한계 그리고 그 동안의 논의에 대해 살펴보고, 郭象의 원본 「장자서」로 지목된 高山寺 『莊子』 곽상 「後語」에 나타는 곽상의 『장자』 편집의 경위와 그 의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왕리기에 의해 제기된 통행본 「장자서」 僞作說은 역사적인 증거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으나, 「장자서」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적 논의를 불러 일으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왕리기의 논문 이후 「장자서」 진위문제에 대한 논의는 주로 「장자서」와 『장자주』 사이의 사상적 同異에 주목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학자들 간의 분명한 견해차가 상존해 있는 상황이다. 일본의 중국학자 古勝隆一은 기존의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魏晉時期의 注釋史的 傳統속에서 주석서 서문의 형식적인 측면에 주목하였으며, 곽상 「후어」에 보이는 위진 시기 주석서의 특징을 통해 진본 「장자서」임을 주장하고 있다. 아직까지 통행본 「장자서」 진위 문제와 곽상 「후어」의 성격과 지위에 대한 학자들 간의 일치된 견해는 없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곽상의 『장자주』 연구의 폭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곽상 「후어」의 학술적 가치는 곽상의 『장자』 편집의 기준과 경위 그리고 그 의도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곽상은 고본 『장자』의 오염을 지적하고 『장자』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편집하였다. 곽상의 『장자』 편집은 『장자』를 복원하는 데 있지 않았다. 곽상은 장자 ‘妄竄奇說’에 의해 왜곡되었다고 주장하였는데, 그가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비판의 대상을 『장자주』를 통해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그것은 莊子의 生死觀을 ‘樂死惡生’의 說로 이해하는 從來의 說, 隱者를 높이는 사회풍조 그리고 莊子를 ‘辯者之類’로 이해하는 경향이다. 물론 이러한 비판에는 『장자』를 ‘經國體致’의 서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곽상의 의도가 담겨 있으며, 당시의 사회적·정치적 모순에 대한 비판과 지배층에 대한 自省의 경고가 담겨져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troversy on the authenticity of Guo Xiang’s Zhuangzi Preface which was triggered by Wang Liqi in 1978, and analyze the details of revision and intention in Guo Xiang’s Postface to Zhuangzi manuscript at the Kōzanji in Kyoto, Japan which is regarded as the original Preface by Wang Liqi and Kogachi Ryuichi. The controversy on the authenticity of Guo Xiang’s Zhuangzi Preface is based on Song huiyao jigao 宋會要輯稿 edited by Xu Song 徐松 which records the episode of deleting Guo Xiang’s Zhuangzi Preface. However, historical records can not offer any decided evidence. Scholars tend to focu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ought between Guo Xiang’ Zhuangzi Preface and his commentary to Zhuangzi to prove the authenticity Guo Xiang’s Postface to Zhuangzi manuscript at the Kōzanji is worth researching by that we can investigate the account and intention of Guo Xaing’s Zhuangzi revision. Guo Xiang revised Zhuangzi intentionally and deleted some chapters and passages which were similar to Shan Hai Jing 山海經, Huai Nan Zi 淮南子, and Zhan Meng Shu 占夢書, and related with Form and Name(形名). By revising and annotating Zhuangzi Guo Xiang intended not to explain Zhuangzi literally but to code his political stance and critical thinking on society and the ruling class.

      • KCI등재후보

        화신 관념을 통해 본 郭象의 성인관

        오일훈(Oh, Il-Hoon)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7 No.1

        본 논문의 목적은 西晉 시기 『장자』주석가이자 관료였던 郭象의 성인관에 보이는 화신 관념의 흔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그의 성인관의 성격과 특징을 고찰해 보는 데에 있다. 초월적 존재가 중생구제를 위해서 肉化하여 지상에 강림한다는 의미의 화신은 여러 종교적 전통들 속에 상당히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관념으로 크게 두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나는 모든 존재와 현상의 원인으로서의 초월적 존재를 상정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초월적 존재의 지상강림은 중생구제라는 목적지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화신은 道敎와 佛敎 문헌을 제외하고 중국의 전통적 문헌에서는 살펴보기 힘든 관념이다. 하지만 ‘迹’과 ‘所以迹’의 개념을 통해 성인을 여행자(遊者)에 비유하고 역사적 흐름 속에서 변화하여 지상에 현신하는 존재로 상정하는 곽상의 성인관을 통해서 화신 관념과의 유사성을 확인하게 된다. 곽상의 성인은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여 나타난다는 점에서 화신 관념과 형식적인 동일성이 있으나, 그 성격과 특징에 있어서는 대조적이다. 우선, 곽상의 성인은 초월적 존재가 아니다. 곽상은 조물자의 존재를 거부하고 有爲의 영역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는데, 그의 사상 체계 속에서 만물은 그 생성과 존재에 있어서 자발적으로 작용하는 ‘自然之理’를 따르며, 모든 존재와 현상의 원인자는 物 그 자체이다. 둘째, 화신으로서의 성인은 목적지향성을 지니지 않는다. 다른 종교적 전통에서 초월자의 지상강림은 중생구제라는 목적을 지닌 반면, 곽상에게 있어 성인은 만물이 자신의 性에 맞게 자연성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 존재일 뿐이다. 곽상의 성인관은 기존의 유가와 도가의 성인관과는 분명 다른 것으로, 儒·道의 조화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고자 했던 의도에서 비롯되었는데, 이후 格義佛敎의 시대에 儒·佛의 조화를 기도하면서, 부처를 유가적 성인과 동일시했던 불교도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Guo Xiang’s view of the Sage through the notion of 化身. The notion of 化身 which means the descent of a deity to the earth in a flesh form is a common concept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Avatāra in Hindu tradition, incarnation in Christian tradition, and Nirmāṇakāya in Buddhist tradition are all terms that represent this notion. These terms have two main characteristics in a broad sense. One is to presume the God as the first Cause of all beings and phenomena. The other is that the descent of a deity through the embodiment is a purpose- oriented behavior of Gods, which means the Salvation or enlightment for all peopl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idea of 化身 in Chinese traditional texts except for Taoist and Buddhist Texts. But we are able to find out the similarity to the idea of 化身 which is seen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through Guo Xiang’s view of the Sage in his Zhuangzi-commentary, which tries to compare the Sage to a traveler and interpret it as a earthly existence in the course of history. Formally, Guo Xiang’ view of the Sage is identified with the idea of 化身 in other religious tradition. However, they differ in their characters and features. First, the Sage in the Zhuangzi-commentary of Guo Xiang is not a God of the first Cause for all beings and phenomena. In the Guo Xiang’s philosophical system, all beings follow the law of nature in a spontaneous manner and are content with their nature. Second, the Sage in the Zhuangzi-commentary of Guo Xiang is not purpose-oriented like Gods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While the descent of God to the earth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is aimed at the Salvation or enlightment for all people, the Sage of Guo Xiang rejects absolutely any artificial and unnatural behaviors. Meanwhile, by means of the study on Guo Xiang’s view of the Sage, we could assure that Guo Xiang tried to harmonize Confucianism and Daoism.

      • KCI등재

        곽상(郭象)의 정치사상(政治思想)에 관한 일고찰 : 군주론(君主論)을 중심으로

        오일훈(OH Il-Hoo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7 No.-

        본 논문은 곽상의 정치사상을 군주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漢) 왕조의 쇠퇴와 함께, 유교가 지녔던 지배이념이자 사회적 실천원리로서의 절대적 권위는 상실되었으며, 이것은 군주 관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후한 시기에는 이중적인 군신관념이 싹트기 시작했고, 위진 시기에는 완적(阮籍)에 의해서 군주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무군(無君)이라는 혁명적인 주장이 제출되기도 했다. 군주의 존재를 인정하는 혜강(嵇康)에게도 군주는 더 이상 절대적 권력을 소유한 지배자가 아니라, 저절로 그러한 자연(自然)의 법칙에 순응하면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성(性)에 맡기는 존재이다. 그러나 ‘무군’과 유군(有君)의 입장 모두 백성의 ‘성’을 편안히 하고 백성의 ‘성’에 대한 자득(自得)을 강조하며, 무사(無事) 즉 무위(無爲)의 정치를 역설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정치관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것은 곽상(郭象)의 군주론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먼저, 곽상의 군주는 ‘자연’과 ‘사회적 기능’이라는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군주는 무리를 지어 살아가는 인간 세계에서 필연적인 존재이여, 이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군주와 신하는 자신들의 현명함이 시대에 부합하는가라는 사회적인 기능의 관점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고정된 신분관계가 아니다. 둘째, 군주의 역할은 자신은 물론 백관과 백성들과 같은 사회의 구성요소들이 각각의 ‘성’에 자득할 수 있도록 돕는 존재이다. 셋째, 군주는 무심(無心)과 ‘무위’를 통해 백성들을 통치한다. ‘무심’은 일체의 의도적인 인위와 통제를 배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무위’는 예악을 통해 백관(百官)과 백성(百姓)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백관과 백성이 자신들의 사회적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전적으로 내어 맡기는 것으로 일종의 ‘무간섭주의’를 의미한다. 결국, 곽상의 군주관은 사회적 구성요소들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는 것으로, 백관과 백성들이 자신들의 ‘성’에 기초하여 각자의 역할에 충실할 경우 국가는 저절로 다스려질 수 있음[自治]을 강조한다. This paper examines Guo Xiang s political thoughts focusing on his idea of the monarch. With the decline of the Han dynasty, the absolute authority of Confucianism as a ruling ideology and social practice principle was lost, and this also affected the idea of the monarch. During the Later Han period, the dual concept of ‘junchen 君臣’ relationship began to sprout, and during the Wei-Jin period, a revolutionary claim which negated the necessity of the monarch was submitted by Ruan Ji(阮籍, 210-263). Even, for Xi Kang(嵇康, 223-262) who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the monarch, the monarch was no longer a ruler who possessed absolute power, but a ruler who obeyed the laws of ‘self-so(自然)’ and trusted ‘xing 性’ of human beings. However, both the positions of Ruan ji and Xi Kang show the same political view in that they approve people s ‘xing’, emphasize people s ‘self-sufficient(自得)’, and stress the politics of ‘wuwei 無爲’, which affects Guo Xiang(郭象, ?-312) s idea of the monarchy. First, Guo Xiang’ concept of ‘junzhu 君主’ could be explained in terms of ‘self-so’ and social function. A monarch is a necessary being in the world of humans living in groups, and it is considered a natural phenomenon by Guo Xiang. Also, the monarch and the subject are determ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ocial function of whether their abilities is in line with the times, and are not a fixed status relationship. Second, the role of the monarch is to help not only himself, but also the social components such as subjects and people to become self-sufficient in each ‘xing’. Third, the monarch governs people through ‘wuxin 無心’ and ‘wuwei’. ‘Wuxin’ means to exclude any intentional artificiality and control, and ‘wuwei’ is not to control officials and people through ‘liyue 禮樂’, and it means a kind of ‘laissez-faire’ which leaves people to faithfully perform their social roles. In the end, Guo Xiang s view of the monarchy positively affirms the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social elements, and it emphasizes that the state could be governed by itself(自治) if officials and people faithfully fulfill their roles based on their ‘xing’.

      • KCI등재

        郭象의 養⽣에 관한 일고찰 -養氣와 養性을 중심으로-

        오일훈(Ilhoon Oh) 한국도교문화학회 2022 道敎文化硏究 Vol.57 No.-

        본고는 適性에 기초한 郭象의 養⽣을 養氣와 養性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곽상은 사물의 ⾃⽣을 氣化論的 관점에서 설명하는데, 氣의 취산은 곧 사물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변화를 의미하며, 기의 차이에 의해 사물의 차별이 발생한다. 사물의 자생은 곧 기화의 형태로 드러나며, 모든 사물의 변화는 기와의 관계 속에 있다는 점에서 곽상의 양생은 양기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곽상의 양기는 性을 통해 양성으로 전환된다. 기에 의한 사물의 차별에도 불구하고, 곽상의 기화는 기보다는 사물의 성에 집중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양기는 곧 양성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곽상의 성은 사물의 본질적인 자질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본유적인 속성은 물론, 후천적으로 획득되는 모든 속성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인위적인 행위도 성의 발현을 위한 것이라면 긍정되며, 성은 사물의 의지와 상관없이 저절로 주어진다는 점에서 자연성을, 성의 변화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불가역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점에서 기화를 통해 생성·변화·소멸하는 사물의 속성이 곧 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곽상의 성은 사물의 실존적인 양태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다. 결국, 곽상의 양생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양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곽상의 양성은 性分에 대한 ⾃得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적성을 전제로 하는데, 사물이 자신의 성분을 넘어서 무언가를 추구하는 것은 삶을 해치는 것이다. 양성의 구체적인 방법은, 먼저 率性과 順性을 통한 節欲이다. 곽상은 사물과의 접촉을 통해 끊임없이 발생하는 ⼈欲을 절제하지 못한다면 양생할 수 없음을 말한다. 다음으로, 곽상은 習을 통한 성의 완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곽상이 성의 불가역성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모순적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곽상은 ‘性分之內’에서의 성의 향상을 부정하지 않으며, 성도 학습을 통해 완성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결국, 곽상의 양성은 절욕과 습을 통한 ‘성분지내’에서의 성의 개선과 발전을 의미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Guo Xiang’s view of nurturing life (養⽣, yangsheng) through his idea of fulfilling the nature (適性, shixing). First, Guo Xiang’s yangsheng can be divided into two aspects of nurturing qi (養氣, yangqi) and nurturing the nature (養性, yangxing). Guo Xiang explains his self-generation (⾃⽣, zisheng)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ing qi(氣化, qihua), which means that gathering and dispersing of qi is the creation, disappearance, and change of things, and emphasizes the differentiation of things by differences of qi. The self-generation of things is the result of changing qi. Given that all things are in a relationship with qi, Guo Xiang’s yangsheng can be said to be yangqi. On the other hand, Guo Xiang’s yangqi is converted to yangxing. Despite the discrimination of things by qi, Guo Xiang’s view of qi acts as a mechanism to focus on the nature (性, xing) of things rather than qi, and through this, yangqi developes into yangxing. Guo Xiang’s nature is a concept that refers to the essential qualities of things, and includes not only intrinsic properties but also all attributes acquired by heredity. Artificial behavior is also positive if it 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ure, and it is characterized by nature in that nature is given regardless of the will of things, and irreversibility in that it does not recognize changing the nature. The self-generation of things is the result of changing qi, and through this the property of things that are created, changed, and extinguished can be said to be xing, and in Guo Xiang’s view of the nature, it refers to the existential aspect of things itself.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it is yangxing for Guo Xiang’s yangsheng to positively pursue. Guo Xiang’s yangxing means self-fulfillment (⾃得, zide) of the nature. Pursuing something beyond own nature is threatening life. The specific way of yangxing is first to control own desire through following and obeying own nature. Guo Xiang insists that yangxing can not be completed unless one can not control own desire, which constantly occurs. This can be contradicted in that Guo Xiang presupposes the irreversibility of the nature, but Guo Xiang does not deny the improvement of the nature in the natural capacity (性分之內) of things, and argues that it can be completed through learning (習, xi). In the end, Guo Xiang’s yangsheng means the improvement and develepment of the nature in the natural capacity of things through controling desire and learning.

      • KCI등재

        聖人可學과 玄學의 聖人觀 -아즈마 쥬지(吾妻重二)의 성인가학 연구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오일훈(Ilhoon Oh) 한국도교문화학회 2021 道敎文化硏究 Vol.55 No.-

        본 논문의 목적은 아즈마 쥬지(吾妻重二)가 玄學과 道學의 성인관의 유사성으로 제시한 ‘의식의 부정’이라는 측면과 양자의 상이점으로 제시한 ‘초월적 성인’이라는 측면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현학의 성인관에도 이미 ‘聖人可學’의 관념이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는 데에 있다. 아즈마 쥬지가 강조하는 현학의 성인관과 도학의 성인관의 유사점은 ‘의식의 부정’이다. 즉, 현학자들과 도학자들에게 있어 성인은 어떠한 의식적인 노력 없이도 도와 합치될 수 있으나, 현인(혹은 보통사람들)은 선의 추구를 의식적으로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다음으로, 아즈마 쥬지는 성인과 보통사람의 간극에 있어서 현학자들은 성인을 근본적으로 보통사람과는 다른 ‘초월적인 존재’로 인식하는 반면, 도학자들은 성인을 보통사람과 동질성을 지닌 존재로 전환시키고 있다고 강조한다. 즉, 도학의 성인관이 배움을 통한 자기실현이라는 실천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것에 비해, 현학자들은 漢代 성인관과 동일하게 성인과 보통사람을 분명히 구분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하안의 ‘屢空’에 대한 해석은 의식을 부정한다기보다는 보통사람과 같이 의식이 있음에도 의식에 얽매이지 않고 천리와 조화될 수 있는 성인의 경지를 말하며, 왕필의 ‘聖人有情’의 언명에서 제시된 ‘神明’은 道 혹은 無를 체득하는 성인의 신비로운 작용이 아니라, 보통사람과 같이 ‘정’을 소유하고 있음에도 ‘정’의 절제를 가능케 하는 성인의 인식작용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하안과 왕필의 성인에 대한 인식이 이미 한대의 성인상에서 벗어나, 성인과 보통사람의 간극을 허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인간의 이성적인 작용을 긍정하는 현학의 인간관의 새로운 면모임을 의미한다. 특히, 곽상의 경우 ‘배움[學]’을 통한 ‘性’의 수양과 완성을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맹자 이래 ‘성인가학’의 전통은 위진 현학의 성인관에도 이어지고 있다고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consider both the aspect of ‘denial of consciousness’ and the aspect of ‘transcendental saint’ which are suggested as a similarity and a difference of the view on saint between Dark Learning and Neo-Confucianism by Azuma Juji(吾妻重二) and to identify the idea of ‘Learning leads to saint’ in Dark Learning. First, the similarity of the view on sage between Dark Learning and Neo-Confucianism emphasized by Azuma Juji is ‘denial of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a saint is able to come into harmony with the Way without any conscious effort, but a sage or an ordinary person can achieve the pursuit of good by conscious effort. Second, Azuma Juji insists that neo-confucianists identify a saint with an ordinary person through the idea of ‘Learning leads to saint’, while Dark learning-scholars identify a saint with transcendental being who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an ordinary person. According to Azuma Juji, this means a kind of self-realization or self-fulfillment through learning. However, He Yan’s interpretation of ‘屢空’ does not means ‘denial of consciousness’ but rather refers to the state of being a saint who can harmonize with heavenly principle without being bound by consciousness even though he is conscious like an ordinary person. The concept of ‘神明’ suggested by Wang Bi is understood not as the mystical action of a saint who acquires the Way or nothingness, but as a cognitive action of a saint that enables the restraint of ‘情’ even though he possesses affection like an ordinary person. This means that He Yan and Wang Bi’s perceptions of saints already broke away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saints, and overcame the gap between saints and ordinary people, and it means a new aspect of the view of humanity that affirms the rational action of human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uo Xiang, in that he positively affirms the cultivation and completion of ‘性’ through Learning, it could be said that the tradition of ‘Learning leads to saint’ since Mencius has been passed down to Dark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