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침샘에서 Nitric Oxide Synthase의 면역조직화학 연구

        김원재(Won-Jae Kim),윤영수(Young-Su Yun),김민석(Min-Seok Kim),김선헌(Sun-Hun Kim),최홍란(Hong-Ran Choi),오원만(Won-Man Oh),이은주(Eun-Joo Lee),안규윤(Kyu-Yun An),유선열(Sun-Yeol Yu)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4

        산화질소는 침샘에서 침분비 및 샘혈류 조절에 관여함이 알려져 있다. 한편 nitric oxide synthase (NOS)로서 지금까지 endothelial NOS (eNOS), neuronal NOS (nNOS), inducible NOS (iNOS) 등 세 가지 동위효소가 알려져 있으나 침샘에서 이들의 분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저자는 침샘에서 이들 NOS 동위효소들의 분포를 구명하기 위하여 흰쥐에서 면역조직 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eNOS에 강한 양성 면역반응을 보인 부위는 혈관의 내피세포층이었으며, 침분비관들인 줄무늬관과 턱밑샘의 과립성 곡 세관에서는 증등도의 양성 면역반응을, 턱밑샘과 혀밑샘의 사이관 및 혀밑샘의 꽈리세포에서는 약한 양성 면역반응을 보 였다. 턱밑샘 신경절, 자율신경 신경절이후섬유, 턱밑샘과 귀밑샘의 꽈리세포, 각 침샘의 배출관과 귀밑샘 사이관은 eNOS 면역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nNOS에 강한 양성 면역반응을 보인 부위는 턱밑샘 신경절이었으며, 자율신경의 신경절이후섬유, 줄무늬관과 턱밑샘의 과립성 곡세관에서는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턱밑샘과 혀밑샘의 사이관에서는 약한 양성 면역반응을 보였다. 반면, 각 침샘의 꽈리세포, 배출관, 귀밑샘의 사이관 및 혈관내피층에서는 nNOS에 대한 면역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 iNOS에 대한 면역반응은 3대 침샘에서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침샘의 자율신경 신경절 및 신경절이후섬유, 과립성 곡세관, 사이관, 혈관내피세포에 eNOS 및 nNOS 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서 침샘의 혈관긴장 조절, 침분비관의 내강 크기 및 이온이동 조절에 산화질소 함유신경이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Endogenous nitric oxide (NO) has been known to regulate the salivary secretion and glandular blood flow. However, nitric oxide synthase (NOS) responsible for NO synthesis has not been well studied in salivary gland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soforms (endothelial, neuronal, and inducible NOS). Immunohistochemistry, using monoclonal mouse anti-endothelial NOS, anti-neuronal NOS, and anti-inducible NOS, was performed in 3 major salivary glands of the rat. Endothelial NOS (e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arterial endothelium, striated duct, granular convoluted duct of the submandibular gland, intercalated duct, and mucous acinar cells of the sublingual gland. e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most prominent in the arterial endothelial layer and that of the striated and granular convoluted duct was well concentrated in columnar epithelial layer. However, eNOS-positive immunoreactivity of the intercalated duct and mucous acinus was weak. Neural NOS (n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seen in submandibular ganglion, autonomic postganglionic fiber, striated duct, granular convoluted duct, and intercalated duct. nNOS-positive immunoreactivity of the submandibular ganglion and autonomic postganglionic fiber was most prominent and that of the ductal system was well concentrated in epithelial layer. eNOS or n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not detected either in excretory ducts or in serous acinar cell. Inducible 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not seen. There results reveal the presence of eNOS and nNOS in the salivary gland, which may be related with regulation of the glandular secretion and blood flow.

      • KCI등재

        ProFile<sup>®</sup>, ProTaper<sup>TM</sup> 및 K<sup>3TM</sup> Ni-Ti 파일의 과기구 조작이 치근단공 변위에 미치는 영향

        양현,양인석,황윤찬,황인남,윤숙자,김원재,오원만,Yang, Hyun,Yang, In-Seok,Hwang, Yun-Chann,Hwang, In-Man,Yoon, Suk-Ja,Kim, Won-Jae,Oh, Won-Mann 대한치과보존학회 200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2 No.2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ransportation of the apical foramen after 0.5 mm overinstrumentation by ProFile, ProTaper and $K^3$ in simulated resin root canal. Sixty simulated resin root canal with a curvature of J and S-shap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group consisted of three subgroups with 10 blocks according to the instruments used: $ProFile^{(R)},\;ProTaper^{TM},\;and\;K^{3TM}$. Simulated resin root canal was prepared by ProFile, ProTaper and $K^3$ with 300 rpm by the crown-down preparation technique. Pre- and post-instrumentation apical foramen images were overlapped and recorded with Image-analyzing microscope 100X (Camcope, Sometech Inc, Korea). The amounts of difference in width and dimension on overlapped images were measured after reference points were determined by Image Analysis program ($Image-Pro^{(R)}$ Express, Media Cybernetic, USA). Data were analyzed using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test. The results suggest that ProFile showed significantly less canal transportation and maintained original apical foramen shape better than $K^3$ and ProTaper. 본 연구는 ProFile, ProTaper 및 $K^3$를 이용하여 과잉 기구 조작에 의해 근관 성형 시 근관의 만곡형태와 Ni-Ti 파일의 종류에 따라 치근단공이 어떻게 변위 되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레진모형근관으로 J자와 S자의 근관 형태가 재현된 ENDO-TRAINING BLOC을 사용하였다 근관성형 기구로는 $ProFile^{(R)},\;ProTaper^{TM},\;K^{3TM}$를 사용하였다. 총 60개의 레진모형근관을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레진모형근관 및 Ni-Ti 파일의 종류에 따라 10개씩 6개의 군으로 나누어 근관성형을 시행하였다. 근관 성형 전 후 이미지를 Image-analyzing microscope 100X를 이용하여 얻고 Photoshop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첩하였다.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근관 성형 전 후 치근단공의 중심으로부터의 직경 변화량과 면적을 측정한 결과 만곡된 근관의 성형시 치근단공이 주로 만곡의 외측으로 변위됨을 나타내며 ProFile이 ProTaper나 $K^3$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게 작은 변화량을 나타내어 근관성형시 바람직한 기구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