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농무』의 문체 연구

        오수연(Oh Su-Youn) 한국비평문학회 2007 批評文學 Vol.- No.2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tyle on Nong-moo of Shin kyung-lim. I think the style is the unique language and sentence that a poet expresses his aesthetic ideal and individuality. So the style of a poetry shows both the language system and the meaning system. The style on Nong-moo is classified by Three features. These are the irregularity of line of verse(hangali), the complex of speech and the various meaning of a poetic language. First, the poetry on Nong-moo expresses the long rhythm by the method of starting a new line irregularly. Also it deepens the meaning of the poetry focusing on the plain language or paragraph. Second, Nong-moo reveals narration and dictation through the proper balance of prosaic expression and dialogue. Especially this method is the useful poetic function of accomplishment of realism. Third, the language 'Liquor (sool)' expresses the diverse meanings in Nong-moo. 'Liquor (sool)' is the medium for representing the poetic speaker's emotion or conveying his voice vividly. Even though liquor is common language, it shows not only the poetic speaker's desire and hope but also the revealing on a special circumstance. Except this paper, I am sure the features of the style on Nong-moo can be studied more minutely and systematically. It has passed 30 years since Nong-moo wrote. But fortunately it still gives us aesthetic study area.

      • KCI등재

        국어국문학 전공 교과의 온라인 수업 전환 사례 : <현대시명작읽기>를 중심으로

        오수연(Oh Su-youn)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6 No.-

        이 논문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된 국어국문학 전공 교과의 온라인 수업 사례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현대시명작읽기> 교과의 수업 설계와 운영을 통해 온라인에서의 문학 교육적 지향과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기존의 대면 수업 구조를 온라인 수업의 구조로 재설계해야 하는 과정에서 대학의 인문학 전공 교과 교육은 인문학 콘텐츠화 가능성을 전제로 구체화된다. 이는 우리 사회의 인문학 열풍, 대학의 학습 환경 변화와 관련이 있다. 본 수업에서는 플립러닝 방식을 활용하여 이러닝 학습(사이버캠퍼스)과 실시간 화상 강의(ZOOM)를 병행하였다. 변화한 수업 환경에서 학습자의 몰입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이러닝 학습 시 동기유발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에 중점을 두었다. 실시간 강의에서는 수시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시 읽기’의 대상과 방법을 확장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의 재설계와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문학 수업의 경우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에 밀접한 소통과 피드백이 요구되는 현장성 중심의 학습 영역이다. 따라서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 확대될 경우를 대비하여 비대면 수업에 적절한 상호작용의 새로운 방식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수업에서 적용하지 못한, 몰입과 집중을 제고할 효율적인 교수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도 절실하다. 이를 위해 이번 학기 국어국문학 전공 교과 수업에서 시도된 다양한 온라인 교수 경험들의 지속적이고 생산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교육적 성찰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ases of online learning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courses converted to untact classes due to COVID-19 pandemic. This study explores orientation and methods of online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ding in Modern Poetry Classic> course.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existing in-person instruction structure into online instruction structure, education of the college humanities major courses becomes materialized on the premise that contents of the humanities could be constructed. It is related to a craze for the humanities in our society and changed college learning environment. This course combined e-learning(cyber campus) by us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with real-time video teaching(ZOOM). It w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motivation in e-learning in order to increase immersion in this changed class environment. Real-time video teaching suggested plans for restructuring and operation of online classes that can help to expand the objects and methods of ‘reading poetry’ through the feedback to frequent student assignments. In case of literature course, it deals with the learning area focused on the quality of presence that requires the close communication and feedback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or learners and learners. Thus, in preparation for the possibility that this kind of situation continues or becomes intensified, there is a need to seek for new methods of interaction appropriate for untact learning. Besides,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the follow-up study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enhance immersion and concentration, which could not be applied to this course. For this, educational reflection on the continuous and productive utilization of various online teaching experience attemp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courses this semester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최승호 초기시의 알레고리 양상과 기능

        오수연(Oh Su youn)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6 No.-

        이 논문은 최승호 초기시에 나타난 사회적 상상력의 형상화 방식으로서 알레고리의 양상과 기능을 분석한 연구이다. 최승호는 부조리한 정치사와 타락한 후기 산업사회의 병폐를 인식한 시인으로서 그의 시세계는 1970, 80년대 시대사적 모순의 중심에 놓여있다. 그는 현상에 대한 즉자적인 대응보다는 존재에 대한 실존적 고뇌와 언어에 대한 진지한 탐색에 더 몰두했고, 여기에 활용된 알레고리는 기법의 차원뿐 아니라 사유의 과정에서도 의식화되어 나타났다. 알레고리는 개별 부분의 자립성을 보존하면서 현실과 이상, 현상과 본질의 불일치를 그대로 노출시켜 파편적이고 현실적인 역사성을 추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특정한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데 용이한 시적 전략이 된다. 또한 생경한 소재와 낯선 서술 방식, 이율배반적인 요소들의 착종이 불러오는 불쾌함이 만들어내는 추의 미학을 포섭하기에 모순과 역설이 난무하는 현대사회의 비정상적인 면에 대한 풍부한 논의가 가능하다. 최승호 초기시에 나타나는 알레고리 유형은 첫째, 정치권력의 횡포와 무기력한 소시민적 삶에 대한 문제를 우회적이지만 분명하게 환원되는 시적 장치들로 제시하여 진실에 접근해가는 방식이다. 둘째, 도시화ㆍ산업화의 격변 속에서 겪는 문명의 야만성과 욕망의 비극을 그들이 지니고 있는 이율배반적 요소의 착종을 통해 충격적으로 제시하고, 각성의 계기라는 새로운 의미망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알레고리의 역사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은 당대의 문제의식을 내세운 최승호의 시가 현재적 관점에서도 유효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는 데 전제가 된다. 따라서 당대와 현재의 삶의 방식과 요구 조건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점을 염두에 두었을 때, 최승호의 시를 알레고리로 읽어내는 것은 오늘날의 문학과 사회의 관계망 속에서 문학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에 대한 답을 찾는 중요한 작업이 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aspect and function of allegory in Choi Seung-ho's early poems as a way of symbolizing social imagination. Choi Seung-ho is a poet who is aware of the absurd political history and the disease of depraved post-industrial society and so his poetic world lies in the middle of the contradiction of the history of the 1970s and 1980s. He was more engaged in existential agony about being and serious search for language rather than response in terms of being-in-itself to phenomena and the allegory used in this process was shown conscientized even in the process of speculation as well as at the technical level. Allegory is the way of pursuing fragmentary and realistic historicity by revealing the disagreement between reality and the ideal or between phenomena and the essence as they are while preserving the individual independence, thus it becomes an easy poetic strategy in verifying specific historic facts. Besides, it is possible to have abundant discussions on the abnormal aspect of modern society full of contradiction and paradox since it embraces the aesthetics of ugliness created by disagreeableness that is caused by the entangling of crude material, the unfamiliar method of narration and antinomic elements. The following are the types of allegory shown in Choi Seung-ho's early poems: First, it is the method of approaching the truth by suggesting the problems of high-handedness of political authority and enervated life of the petit bourgeois with indirectly but clearly returned poetic devices. Second, it is the method of shockingly proposing the savagery of civilization and the tragedy of desire they experience in the turbulence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tangling of antinomic elements they possess and forming a new semantic network, an opportunity of awakening. The historical and practical aspect of allegory is required to confirm that Choi Seung-ho's poems with awareness of the issue of the time has a valid meaning and value even in the contemporary respect. Therefore, having it in mind that the ways of life and requirements of the time and the present are not largely changed, reading Choi Seung-ho's poems with allegory is meaningful in becoming a page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raising an ongoing issue 'here right now.'

      • KCI등재

        정현종 초기시에 나타난 시 쓰기 방식 연구

        오수연(Su-youn, Oh)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4 No.-

        정현종은 1960년대 우리 시단의 한 특성인 미적 모더니티를 구현한 시인이다. 본고에서는 정현종 시세계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초기작인 『사물의 꿈』에 나타난 모더니티의 정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모더니즘이 표방하는 부정의식과 새로움의 지향이 정현종 시에 드러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정현종 시 쓰기에 나타난 고유한 형식적 특성과 의장(意匠)을 확인할 수 있다. 정현종의 시 쓰기 방식은 크게 인식 차원과 언술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사물의 꿈』의 시편들은 이미지 구현에 있어서 형태가 아닌 질료적 속성에 기인하고 있다. 이는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에 의한 것으로 사물의 제 속성에 대한 구체적인 표현일 뿐만 아니라 시적 주체의 의식을 명료히 하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다. 또한 언술 차원에서의 환유적 구성은 시에 내재한 미적 저항의 방식으로서 새로운 구문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언어관을 지지하는 세계관에 대한 재확인이 필요한 부분이다. 정현종이 초기 시편을 통해 성취하고자 했던 것은 사물의 친연성과 개별성을 강조하면서 언어적 자의식 문제를 들춰내는 일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낯설고 새로운 시적 경험으로서 줄곧 영향을 발휘해왔다. 문학이 추구하는 미적 자율성은 결국 진보를 향해 있다. 부정을 향한 저항과 비판적 시선을 유지하면서 혁신을 거듭하는 것이 문학의 소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정현종의 『사물의 꿈』을 통해 그의 시 쓰기 방식을 이해하는 일은 우리 시의 ‘다시 새로워짐’에 대한 일련의 기대라 할 수 있다. Jeong Hyeon-jong is the poet who realized the esthetic modernit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ld of Korean poetry in the 1960s. In this article, I tried to comprehend the identity of modernity shown in The Dream of Things, an early work of Jeong, as the first step to take the whole view of the world of Jeong Hyeon-jong’s poetry. We can confirm the unique formal traits and design shown in his poetry composition by examining the way that the negative awareness and the pursuit of novelty which modernism expresses are revealed through Jeong’s poetry. The method of Jeong’s poetry writing can be divided into two perspectives: awareness and explanation. The poems of The Dream of Things are attributed not to the formal properties but to the material properties in realization of images. It is caused by the material imagination of Bachelard. This not only means concrete expression of things’ own qualities but also contributes to confirm the consciousness of the poetic subject. In addition, the metonymic compos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xplanation forms the new sentence structure system as the esthetically resistant method intrinsic in his poetry. That is the essential part needing reconfirmation on the world view supporting the language view. What Jeong Hyeon-jong tried to achieve through his early poems was that he emphasized the affinity and individuality of things and exposed the matter of linguistic self-consciousness as well. And it has exercised an effect as a new and unfamiliar poetic experience so far. The esthetic autonomy literature pursues is towards progress in the end. The duty of literature is that they keep their critical and resistant eyes on corruption and innovate over and over. From this perspective, to understand his method of writing poetry through The Dream of Things can be said to be a kind of expectation about the ‘renewal’ of Korean poetry.

      • KCI등재

        현대시의 대중적 소통에 관한 고찰

        오수연(Su-youn, Oh)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Although the comment on the crisis of literature is not fresh any more, literature has been advancing as the product of the times, taking the power of renewal as its essence. However, not only the ripple effect of modern poetry has weaken in Korean literature but also the number of pure poetry readers apart from poetry researchers or reviewers has dropped sharply practically. This means it is time to study communication issues in modern poetry. In this research, I confirmed the real communication problem of poetry from the different views among poets, readers and researchers. Furthermore, I tried to find the clues of improvement through general and popular proposals about poetry reading. The phenomenon that poetry is ignored by readers is because poetry isolates itself as the product of the absolute aesthetic values rather than appealing to readers’ senses and emotions. So are uncomfortable awareness of poets toward the popular poems read by readers or researchers’ wait-and-see attitude toward the world of poetry in the leaders’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oems trying to communicate with readers, Ahn Do-hyun, Jeong Ho-seung, Ham Min-bok’s poems apply. In their poems everyday life or concreteness arousing readers’ sympathy are revealed and so are implication and musicality as moderate rhetor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easons of poetry readers today, who want to reflect on their life and be consoled and touched. Also, as the mediators alleviating the misunderstanding between poetry and readers and bridging the gap, researchers including critics should actively search the methodology about ‘kind communication’ not as leaders but as ‘guides’. To find the meaning of popular communication between readers and poetry is not the matter to chase readers’ tastes or their levels but the matter to understand poetry readers’ desire today. Thus, when there is an opportunity for readers to communicate with poetry, we could find out readers reading and enjoying poems voluntarily and the value and meaning of poetry could be placed there. 문학의 위기에 대한 지적은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문학은 갱신의 힘을 본질로 삼아 시대의 산물로서 발전해오고 있다. 그러나 한국 문학에 있어서 현대시가 갖는 파급력은 약화됐을 뿐만 아니라, 연구나 비평의 목적을 제외한 순수한 시 독자의 수가 급감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현대시가 소통의 문제에 관한 연구를 필요로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는 의미이다. 본고는 시의 소통 부재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시인과 연구자 그리고 독자와의 서로 다른 입장을 통해 확인하고, 시 읽기에 대한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제안을 통해 개선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시가 독자들로부터 외면당하는 현상은 시가 독자들의 감각과 감정에 ‘호소(呼訴)’하기보다 절대적인 미적 가치의 산물로서 스스로를 고립시키기 때문이다. 독자들에게 많이 읽히는 시에 대해 갖는 시인들의 불편한 인식이나 지도자의 위치에서 시단을 관망하는 연구자의 태도 등이 그러하다. 한편 독자들과의 소통을 시도하고 있는 시편들도 있는데, 안도현, 정호승, 함민복의 시들이 해당된다. 이들의 시에는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일상성이나 구체성이 드러나며, 과도하지 않은 수사로서의 함축성, 음악성 등이 잘 드러난다. 따라서 오늘날의 독자들이 시를 읽는 이유는 삶을 성찰하고 사유하며, 위로 받고 감동하기 위한 것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평가를 비롯한 연구자들은 시와 독자 사이의 오해와 간극을 해소해주는 역할자로서, 그리고 지도자가 아닌 ‘안내자’로서 ‘친절한 소통’에 관한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독자와 시의 대중적 소통의 의미를 찾는 것은 독자의 취향이나 수준을 좇는 문제가 아니라 시를 읽는 이 시대의 독자의 욕망을 파악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독자가 시와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때 자발적으로 시를 읽고 즐기는 독자를 발견하게 되고, 거기에 시의 의미와 가치가 새겨질 수 있다.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쓰기과제물 제목구성지도교수법 제안- 리포트,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고영진 ( Young Jin Go ),오수연 ( Su Youn Oh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1 No.1

        본고는 대학 신입생들의 쓰기과제물(리포트와 포트폴리오)의 작성법 중 제목구성에 대한 교수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실제 학습자가 자신의 사고와 의견 또는 학습결과를 드러내는 언어구성물에 적절한 제목을 붙이고 창의적인 구성을 고안하는 훈련은 쓰기과제물의 결과와 평가에 많은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연구한 대상에 대하여 요약하는 기술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는 더불어 조직적 구성력과 표현력을 향상시켜주고, 동시에 창의적인 발상을 하는 훈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습이 좋은 학습습관으로 자리 잡는다면, 전공에 대한 학습이 심화된 고학년으로 올라가서도 교과목의 전문성과 더불어, 독자를 고려한 감성설득의 융합을 시도하는 전제로 작용할 수 있다. 마지막, 결정적으로 스스로 “이름 붙이기”한 쓰기과제물은 학습자로 하여금 애정과 책임감을 갖도록 하며 이는 자연스럽게 작성목적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기과제물의 제목과 구성에 관한 이름붙이기와 스토리텔링에 대한 안내는 대학 신입생 학습자들로 하여금 쓰기과제물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자신의 표현능력을 신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교수자는 이를 위하여 과제물의 목적과 평가기준은 물론, 기본전제로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의미를 안내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대학에서의 쓰기과제물이 일방적인 평가를 위한 절차가 아니라, 그 본래의 목적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현대 대학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원활한 의사소통의 가능성을 쓰기과제물이 담당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teaching methods of the significance of entitling writing assignments of college freshmen. The subjects of discussion are limited to the report, which is a form of writing assignment that college freshmen face the earliest and the most frequently from their freshman year, and the portfolio, which is the form that becomes substantially effective only if the foundation is set up from their freshman year. It does not only influence on the result and assessment of writing assignments that learners get trained to design the title and composition of their own writing assignments for themselves. It also helps them to acquire the description methods of summarizing the objective once acquired that learners give appropriate titles and design creative organization to the compositions that reveal their own thoughts and opinions or study result. This can be the training to enhance the ability of systematic organization and ex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to have an imaginative idea. Besides, if this practice develops good work habits, it could work as the requirement in trying merging emotion and persuasion considering the expertise of their degree subjects and readers when they enter their senior year. Finally, the writing assignment titled by a learner himself definitely lets the learner have affection and responsibility and it can lead to the result that he understands the goal of his composition and accept it. The guidance of entitling writing assignments and storytelling helps a college freshman reduce the pressure of writing assignments and enhance his expressiv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 lecturer to guide the detailed meaning of composition as a requirement as well as the goal and valuation criteria of the assignments. Through this college writing assignment is not merely the unilateral evaluation element but it achieves its original purpose,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take charg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lecturer and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