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大漢和辞典』의 邦訓 고찰

        오미영(吳美寧),우추(于秋) 한국일본어학회 2016 日本語學硏究 Vol.0 No.47

        This study deals with Hōkun (Japanese usage) in 10 radicals of Chinese characters, To-bu, San-bu, Shin-bu, Sui-bu, Gyoku-bu, Seki-bu, Shi-bu, I-bu, Soku-bu, Gen-bu of Daikanwajiten (大漢和辞典). Daikanwajiten contains 144 Hōkuns in 110 characters of 10 kinds of radicals. At first, we compared these instances with those of Kokanwajiten (広漢和辞典) and Kanjikai (漢辞海). As a result, it appears that 82 Hōkuns in 74 characters are dealt with as Hōkun in these three dictionaries. However, there are some cases where although the Hōkuns are the same, the meaning is different, and only 80 Hōkuns in 73 characters have the same meaning in all three dictionaries. Likewise, the range of recognized Hōkuns differ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edition or references used for edition. Second, we investigated the 144 Hōkuns in Kanchiinbon Ruijumyōgisyō (観智院本類聚名義抄) which was compiled in the 1200s. As a result, only 43 Hōkuns in 41 characters (about 30%) were fou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se 43 instances were already used as Japanese usage when Kanchiinbon was compiled. However, we cannot confirm whether or not they had the same meaning as those of Daikanwajiten, because Kanchiinbon did not contain the meanings of words. Further, 95 Hōkuns in 64 characters are contained in the index of Kanchiinbon, but these instances are not contained in Daikanwajiten. These instances may have been used as Japanese usage after the 13th century. However, 5 characters (惘, 沁, 没, 泌, 礑 ) are not contained in the index of Kanchiinbon. Finally, we investigated Kangxizidian, a Chinese old dictionary,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144 Hōkuns were used only in Japan. There are 274 meanings in the 144 Hōkuns, and 15 meanings are also confirmed in Kangxizidian. Therefore these meanings were not admitted as Japanese usage because they were used in the Chinese language alread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名古屋蓬左文庫所藏 元應二年論語集解本의 訓讀

        오미영(吳美寧) 구결학회 2003 구결연구 Vol.11 No.-

        본고는 名古屋蓬左文庫所藏 元應二年(1320년) 論語集解本(이하, 元應本)에 나타난 訓讀의 특징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元應本은 注釋書와 관련이 있는 189예 중 11예에 新注에 의한 訓을 기입하고 있는데 이는 博士家 訓点本의 신주수용이 1~4예에 그쳤던 것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많은 수이다. 또한 주석서와 관련이 없으나 論語集解本과 論語集注本 사이에 다른 훈이 기입되어 있는 71개의 용례에서는 집해본임에도 불구하고 10예에서 室町時代, 江戶時代 초기의 집주본에 나타나는 훈과 동일한 훈이 기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판단해 볼 때 元應本은 博士家의 훈독과는 명백히 구별되며 博士家의 훈독보다 선도적으로 신주를 수용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나아가 16세기 말에 시작되는 집주본의 훈독은 이미 그 단초가 元應本 당시 혹은 그 이전에 마련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졸고(2002다)를 통해 일본 중세 經學 연구의 흐름을 明經博士家와 五山禪僧이라는 두 개의 흐름으로 나눌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오산선승의 논어훈독은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을 博士家의 논어훈독과 비교 고찰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현재로서는 오산선승의 논어 훈점본을 대표할 만한 것이 발견되고 있지 않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元應本의 가점자인 敎圓에 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필자는 元應本이 선승가의 훈독을 보여주는 자료가 아닐까 생각하고 있다.

      • KCI등재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의 한글 훈(訓)과 문맥 의미

        오미영(吳美寧) ( Oh Mi-young ),김문정(金紋廷) ( Kim Mun-je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1

        본고는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의 범례에 기술된 바와 같이 천자문 각 한자의 첫 번째 훈에 문맥 의미가 반영되었는지를 조사하여 주해천자문의 국어학 자료로서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고찰을 위해 먼저 주해천자문에 실린 漢文注(한문주)를 기본으로 하고 설명이 부족한 것은 千字文釋義(천자문석의)의 注釋(주석)을 참조하여 문맥의 의미를 확정하였다. 고찰 결과, 첫 번째 훈에 문맥의 의미가 반영된 것은 837자로 전체의 약 84%이다. 문맥의 의미가 반영되지 않은 예도 151자로 약 15%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고유명사와 二字語句(이자어구)에서는 문맥의 의미가 반영되지 않은 예가 약 58%나 확인되었다. 그러나 그 외 한자에 대해서는 약 95%에서 문맥의 의미가 반영되어 나타났다. 주해천자문은 18세기 당시에 천자문을 내용적 측면에서 바라보고자 한 시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근대적인 사전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면서도 해당 내용에 대한 漢文注(한문주)를 달고 그와 더불어 문맥의 의미를 반영한 한글 훈을 우선적으로 기재하고자 하여 천자문 주석서(注釋書)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The legend of Juhae Cheonjamun declared that in case of polysemy, the contextually appropriate meaning was placed as the first sense in which the character was used in the phrase/sentence of Cheonjamun. This paper aims at verifying this proposition and, on this basis, investigating its nature as a material of the Korean languag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need to ascertain the contextual meaning of each character in Chenjamun at first. We decided on it on the basis of annotation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 Juhae Cheonjamun, and when these are not enough, also consulted those in Cheonjamun Seok'ui. We examined 56 one-syllable proper nouns, 70 two-syllable proper nouns and 72 two-syllable compounds first, and then the remaining 802 characters. By this investigation, it is found that in 84 percent of the characters in Juhae Chenjamun, the contextual meaning is included as the first sense, which means that in the case of 151 characters, i.e. 15%, the contextual meaning is not reflected as the first sense. Especially in the case of proper nouns and two-syllable compounds, the percentage in which the contextual meaning is not the first sense amounts to 58%. In the rest, in 95% of characters, the principle declared at the legend was observed. Juhae Cheonjamun was an attempt to examine Cheonjamun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s. It also shows an air of mondernity in terms of micro- structure, and tried to show contextual meanings first. This means that it was a modern dictionary and, at the same time, an annotation of Cheonjamun.

      • KCI등재

        人間指稱漢字接尾辭에 관한 日·韓·中 대조연구

        오미영(吳美寧),박옥화(朴玉花)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1

        본고는 현대 일본어, 한국어, 중국어에 나타나는 인간지칭한자접미사에 대해 대조?고찰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문어문을 대상으로 하여 일본어 21종류, 한국어 22종류, 중국어 30종류의 인간지칭한자접미사를 추출하였다. 이 중 세 언어에서 모두에서 사용되는 것은 「師 ·士·家·者·客」을 포함한 17종류인데, 이를 통해 세 언어에는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인간지칭한자접미사가 많으며, 특히 일본어와 한국어에서 함께 사용되는 것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 중 「師·士」의 경우 일본어와 한국어는 두 접미사 사이의 의미 차이가 거의 없지만, 중국어에서는 「師」 쪽이 전문적 지식 및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에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어 및 한국어와 중국어 사이에는 동일한 의미의 단어에 대해 「師·士」가 반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家·者」는 세 언어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나, 「家」의 경우는 중국어에서만 확인되는 용법도 있다. 「客」은 중국어에서 새로운 인터넷 용어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용례가 다수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세 언어에서 모두 사용되는 접미사라도 언어적 유사성이 높은 일본어와 한국어는 의미나 용법면에서 유사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비해, 중국어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두 언어에서 사용되는 접미사 중, 일본어와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것은 「狂·婦」의 2종류이며, 의미면에서도 두 언어에서 동일하다. 일본어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것은 「匠」 1종류이다. 한국어에서는 「匠」이 아니라 「匠+이」의 형태로 사용되어 왔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것은 「哥·盲」 2종류가 있었다. 「盲」은 두 언어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哥」는 어떤 성씨를 가진 사람이라는 의미 외에, 중국어에서는 어떤 특징을 지닌 젊은 남성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것 중, 일본어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役」 1종류, 한국어는 「癡」 1종류인데 비해, 중국어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弟·嫂·姐·妹」를 포함하여 10종류가 있으며, 친족호칭어에서 발달한 것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이것 역시 중국어가 일본어나 한국어와는 접미사 운용에 있어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