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산형 스마트시티 모델과 구축 방안

        오동하 부산연구원 2011 BDI 정책포커스 Vol.- No.91

        세계 도시들은 정보기술 발달, 도시문제의 다양화·복잡화, 녹색도시 전환 등 시대 변화에 맞춰 ‘스마트시티’라는 신개념 도시를 추구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하드와 소프트 인프라를 조화시켜 시민들이 지능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시를 말한다. 현재 스페인 마드리드, UAE 두바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천경제자유구역, 동탄신도시 등 전세계적으로 50여개 도시가 스마트시티를 추진하고 있다. 부산은 정보고속도로의 조기건설에 힘입어 스마트도시 기반시설에서는 타 도시를 앞선다. 하지만 시민들이 스마트도시화를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가 부족한 탓에 선도도시 이미지는 약하다. 부산이 스마트시티로 변신하려면 ▲부산형 스마트시티 모델 개발 ▲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와 민간자본 유치 ▲정보시스템 표준화와 통합시스템 가동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성공사례 창출이 필요하다. 〈그림 참조〉

      • 스마트시티 구축으로 IT융합 산업을 육성

        오동하,배현 부산연구원 2012 BDI 정책포커스 Vol.- No.175

        언제 어디서나 교통·안전·교육·의료?복지 등의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미래형 도시를 의미하는 스마트시티는 시민 생활에 영향을 미쳐 삶의 질을 제고한다. 네트워크 지능화에 따른 교통체증 해소,물류비용 절감, 실시간 시설물 점검을 통한 재해?재난 예방 등으로 도시 관리의 효율성도 높인다. 스마트시티의 세계시장 규모는 2008년 1,921억 달러에서 2018년에는 2,408억 달러로 증가할 전망이다. 국내생산액도 같은 기간 3,600억원에서 1조2,800억 원으로 4배 정도 증가가 예상된다. 이에 따른 신규 고용도 10만 여명으로 전망돼 고용창출형 융합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스마트시티 사업은 서비스의 다양성, 지속적 서비스 갱신, 지역기업의 영세성, 법적·제도적 제약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부산시가 이런 문제를 극복하고 스마트시티 구축을 통해 IT융합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도시발전전략에 필요한 u-서비스 중점 개발 ▲IT융합 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글로벌 기업 제휴·유치 ▲도시경영의 소프트 혁신 수단으로 활용 등이 필요하다.

      • 21세기의 원유, 부산시 공공데이터 관리방안

        오동하 부산연구원 2016 BDI 정책포커스 Vol.- No.305

        ◯ 21세기 새로운 자원인 공공데이터는 시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한 삶의 질 제고, 신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 행정을 가능케 해 행정의 생산성 제고에 기여 할 수 있음 ◯ 부산시 공공데이터 개방의 문제점으로 유용한 데이터 부족, 낮은 활용도, 미약한 데이터의 표준화 등이 거론 ◯ 부산시 공공데이터 관리 개선방안으로 ▲양질의 데이터 확보를 위한 데이터 생산체계의 개선 ▲데이터관리시스템 구축 ▲공공데이터 활용성 제고 ▲제도적 기반 강화 등이 필요 [그림본문참조]

      •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부산시 공공데이터 관리방안

        오동하,김진희,송교욱 부산연구원 2016 연구보고서 정책연구 Vol.2016 No.0

        This study is to suggest public data management by analyzing the status of the public open data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o establish an orientation to public open data for building a smart city and measures for facilitating its utilization. The law directly related to the public open data is the Act on Promotion of the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Laws that deal with a variety of information in which public organizations discuss include the Electronic Government Act,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Informatizatio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nd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Despite the significant level of government support systems for public open data, such as the Open Data Strategy Council and Officer in Charge of Providing Public Data, organizations and legal grounds for public open data in Busan are inadequate. To compensate for this insufficiency, Busan City has opened public data through the Busan public data portal (opendata.busan.go.kr) along with 1,320 datasets in 15 fields as of March, 2016. This shows that Busan City has already opened a sufficient quantity of data. In terms of the openness of public data, the current issues regarding public open data management in Busan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re is no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the openness, it is beyond the capacity of Busan City to collect public data, manage the quality, and promote the use in an efficient manner. Second, the public data portal has a limited number of open public data in such fields as social welfare (117), education (59), and disaster and safety (57). Thus, the amount of useful data fails to meet citizens’ needs and interests. Third, the total number of download counts, which indicate the level of utilization, is 32,014 - 26.1 per dataset. Lastly, different formats are provided, so the same data even provide different items depending on local governments. This shows the ne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data. In this context, measures for efficient public open data management are proposed as below: Data collection systems should be improved to secure data of good quality. Data management systems should also be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data and the analysis of future big data. Moreover, public data should be further utilized by inducing the engagement of developers and citizens in conjunction with the revitalization of startups. Also, data to be opened should be prioritized, centered on information systems in the fields of the environment, public healthcare, and disaster and safety that draw keen public attention. Lastly, Busan City has to found a Busan Metropolitan City data analysis center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social issues and increasing the effects of data openness by making good use of public data or big data. With respect to the policy proposals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pread public open data culture targeting residents and public officials. Next, a virtuous circle of ecosystems between Busan City and private sector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create new value. Lastly, institutional frameworks should be strengthened to invigorate the openness of public data and the degree of its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