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이니지를 활용한 제조업 작업환경 개선

        오경진(Kyungjin Oh),이나영(Nayoung Lee),정대권(Daekwon Chung),우진호(Jinho Woo),신혜연(Haeyeon Shin),김훈섭(Hunseop Kim),이호성(Ho Seong Lee),김산(San Kim),문상준(SangJun Moon),추원식(Won-Shik Chu) 적정기술학회 2022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8 No.3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다양한 발전과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기술의 적용과 안전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작업환경개선은 중요한 역할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니지를 활용하여 개발된 작업환경개선 모델을 제조업(뿌리산업 중심)적용하고, 그 사용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평가를 위한 지표는 ‘가시화(숫자, 색상, 구획)’, ‘5S(정리, 정돈, 청소, 청결, 습관화)’, ‘안전(화재, 유해/위험물질, 보건 및 설비, 전기, 안전(교육))’, ‘관리체계(생산, 품질, 물류, 안전/환경(인지))’, ‘리더십&전략(경영자의 의지, 전략)’의 다섯가지로 구성하였다. 4가지 뿌리산업분야의 6개 기업을 대상으로 작업환경개선 모델을 적용하여 적용 전/후의 만족도를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모든 지표에서 만족도는 증가하여 작업환경개선 모델의 필요성과 사용성은 긍정적이었으나, 적용에 있어 일부 한계점도 있었다.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Korea are faced with developments and improvements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dopting new technologies into the enterprise and improving safety in the factory were the main issues for all SMEs in Korea. For that working environment would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industry. In this study, the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model’ based on signage was applied to SMEs (root enterprises), and its usability was evaluated. The evaluation index consisted of five categories: ‘Visualization (number, color, compartment),’ ‘5S (sort, set in order, shine, standardize, sustain),’ ‘Safety (fire, hazard/hazardous substance, health and facility, electricity, safety (education)),’ ‘Management system (production, quality, logistics, safety/environment (cognition)),’ and ‘Leadership & Strategy (management's will and strategy).’ Six enterprises in four different root industrie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evaluation index by applying the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model. They assessed the satisfaction of the model (before and after). Satisfaction increased across all indicators, and the need and usability of the workplace improvement model were positive, but there were also some limitations in its application.

      • KCI등재

        저개발국, 개발도상국과 공여국간 NGO 파트너십에 관한 비교 연구

        오경진(Kyungjin Oh) 국제개발협력학회 2013 국제개발협력연구 Vol.5 No.2

        국제 개발 협력 분야에서 ‘파트너십’ 이라는 용어는 최근 들어 학계에서 큰 화두가 되고 있다. 이 논문은 흔히 남쪽(Global North) 국가들이라고 불리는 저개발 국가들과, 북쪽 국가들(Global South) 들이라고 불리는 선진국들에 위치한 NGO들 간의 파트너십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문헌 자료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파트너십의 효과성(Partnership Effectiveness)을 결정하는 주요 원칙들을 가려내고, 이러한 원칙들에 근거하여 개발협력 분야에서 NGO 간에 어떠한 협력 관계가 이상적인 파트너십으로 판단될 수 있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데이터 분석 결과, 남쪽과 북쪽 국가들의 ngo간 파트너십의 특성을 규정하는 요인들은 조직적 요인, 관계적 요인, 보유 자원과 관련한 요인, 맥락적 요인, 이렇게 크게 네 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또한, 이 네 개의 범주에 속하는 파트너십의 세부 결정 요인들은 평등(equality), 상호 관계(mutuality), 신뢰성(credibility), 투명성 (transparency), 연대(solidarity), 유사성(similarity), 역량(capacity), 명료성(clarity), 개방성(openness), 다양화(diversification), 장기적인 헌신 (long-term commitment), 민주적 참여(democratic participation), 지구적 안목(global perspective), 그리고 유연성(flexibility)이다. 이러한 원칙들은 서로 독립되어 있지 않고, 긴밀하고 복합적으로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트너십 결정 요인의 포괄적 체계에 대한 분석 결과, 앞서 말한 네 가지 범주 중에서도 파트너십의 특성에 가장 근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적 요인이다. 그리고 조직적인 요인 가운데서도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개별 NGO의 역량이 파트너십의 효과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저개발 국가와 공여국의 NGO간 파트너십의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저개발국의 NGO에 대한 역량 강화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을 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또한, 공여국의 NGO도 파트너 NGO와 함께 상호 학습(mutual learning) 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조직의 자체 역량 강화에 힘써야 할 것이 다. This research explores partnerships between NGOs of the global North and South (N-S NGOs), focusing on the issue of whether or not ideal partnership modes can be identified in terms of core principles for partnership effectiveness.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nature of partnership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organizational, relational, resource-related, and contextual. An analysis of the sampled literature demonstrates that the core principles extracted from these categories are equality, mutuality, credibility, transparency, solidarity, similarity, capacity, clarity, openness, diversification, long-term commitment, democratic participation, global perspective, and flexibility. These core principles are not independent of each other but are rather loosely interconnected. Moreove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framework surrounding the determinants of partnership effectiveness concludes that organizational factors may be the key elements forming the nature of partnerships between N-S NGOs. Therefore, the capacity of each NGO may serve as a starting point to achieve core principles for partnership effectiveness. Ultimate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apacity building of SNGOs should be the first priority among a variety of action pla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N-S NGO partnerships; additionally, NNGOs should apply this same principle to their own organizations through mutual learning.

      • KCI등재

        직업훈련 분야 ODA 사업 역량 강화 방안* 사후관리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김철희(Cheol Hee Kim),오경진(Kyungjin Oh) 국제개발협력학회 2014 국제개발협력연구 Vol.6 No.1

        This study explores the post-management of Korean ODA projects for developing countries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particular, it focuses on evaluating the management of Korean vocational training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about the post-management of the projects; and presenting plans for improvement, thereby aiming to suggest effective measures to strengthen capacity of the Korean ODA in the vocational training sector. Post-management of vocational training projects is ultimately needed to be considered within the whole framework of projects. In this process, the linkage between 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cies and other Korean institutions/Ministries in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ctor should be more tightened so that the speciality and experience of each institution or Ministr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post-management of projects. In order to make the post-management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ODA project of Korea more effective, 1) improving the quality of hardware-type projects that focus on training center construction; 2) gradually transforming those hardware-type projects to program-based, technical cooperation projects; 3) increasing customer-tailored support that meets the local situations; 4) developing specialized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of partner countries and regions; and 5)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nd utilizing speciality of experts more effectively are recommended to be taken into account. 최근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과 국가개발에 우리나라의 성장 경험을 전수받아 적용하려는 수요는 최근 들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직업훈련 분야에 대한 지원과 협력수요는 더욱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발전에 직업훈 련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지금 까지 수행된 우리나라의 ODA 분야 직업훈련 지원 사업들이 성공 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사후관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즉, 이 연구는 인적자원개발 분야에서 개발협력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직업훈련 분야 ODA 지원 사업을 사후관리 현황,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개발협력 역량강화를 위한 중장기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궁극적으로 사후관리는 지원 사업 전체 과정을 고려한 맥락 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직업훈련 관련 부처및 사업수행 기관 등과의 효과적인 연계를 통해 각 기관의 전문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직업훈련 사후관리 개선을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1) 기존 하드웨어형 지원사업의 내실화하고, 2) 사업을 프로그램형/소프트웨어형 중심으로 전환하며, 3) 수원국 수요 및 상황에 부합하는 맞춤형 지원과 4) 차별화, 특성화, 전문화 전략이 필요하다. 그리고 5) 직업훈련 교사 처우를 개선하고 전문가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