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관계와 부부관계가 자녀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은경 ( Eun Kyoung Yeon ),김영희 ( Yeong Hee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al and marital relationships on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30 fathers who live in Chungbuk province. The test of the model was conducted with path analysis using the AMO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his son and daughter was only affected by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is own father where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his own father had a direct effect only on a rejecting relationship with his son. Second, the father`s affectionate or rejecting relationship with his son and daughter was only affected by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his own mother where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is own mother had no direct effect on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Third, the father`s marital relationship was affected by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is own parents. Fourth, the marital relationship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father`s affectionate or rejecting relationship as a result of his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 with his own par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ther`s positive relationship with his own parents and marital relationship are strong predictors on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 KCI등재

        절차적 시뮬레이션 설계원리에 관한 형성적 연구

        임철일 ( Cheol Il Lim ),연은경 ( Eun Kyoung Ye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절차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형성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제안된 원리의 개선 방향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하여 확인된 설계 원리 및 실제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도출된 상세 설계 원리를 반영하여 요구분석 절차를 학습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0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형성 연구를 통하여 설계 원리의 강점, 약점, 개선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점으로는 사례를 통한 학습, 실제성을 반영한 학습자 입력, 자연적 피드백의 제공 등이 확인되었으며, 피드백의 구체성 및 제시 방식, 학습자 반응의 저장, 학습자 통제 요소, 프로그램 안내, 상황 제시 방식은 개선이 필요한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이런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향후 절차적 시뮬레이션을 개발할 때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설계 원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et of design principles for procedural simulation and improve them by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Major principles were identifi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additional principles were recognized as a simulation program for this study was being designed and made. The simulation program for the needs analysis procedure was implemented and participants` responses regarding the strengths, weaknesses, and improvements of those princi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rengths include learning by case, authentic participation, and natural feedback, The areas for improvement relate to more concrete feedback, saving learners` input, learner control, program orientation, and ways of presenting a situation. Finally, the study proposed a set of comprehensive and detailed principles that can help to design a procedural simulation.

      • KCI등재

        구조화된 토론 안내의 제시가 온라인 토론 글에 미치는 영향

        임철일 ( Cheol Il Lim ),연은경 ( Eun Kyoung Yeon ),김선희 ( Sun He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3

        온라인 토론은 학습자의 학습 참여기회 확대 및 비판적,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글쓰기 능력이나 지원방법 등과 같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미흡한 준비로 인해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토론 환경에서 논증의 과정을 구조화하여 예시를 통해 토론을 안내하는 것이 학습자의 토론 글쓰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0년 A 사이버대학 ``원격교육활용론`` 강좌에서 두 번의 토론을 통해 구조화된 형태로 토론 글쓰기를 안내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토론 게시 글의 질이 얼마나 달라지는 지를 적절성, 논리성, 논거의 제시 차원에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화된 토론 안내를 받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토론 평가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의 하위 항목별로는 적절성 항목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논리성이나 논거의 제시 부분에서는 구조화된 토론 안내를 받은 집단의 토론 평가 점수가 더 높았다. 즉, 논증의 요소를 적용하여 토론을 안내하는 것은 주제와 연관된 토론 글을 쓰는 데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글의 논리성을 확보하거나 논거를 제시하는 데 있어서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구조화된 토론 안내가 온라인 토론에 어떠한 도움을 주었는지 알아보고자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논증의 요소가 반영된 토론 예시 글을 보고 미완성 예제를 통해 연습을 한 것이 토론 글의 구조나 형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글쓰기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토론에서 예를 통한 구조화된 토론 글쓰기 안내 및 연습이 토론 글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온라인 토론에서 교수적 역할을 지원하는 토론 도구로 활용 가능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uiding the discussion by providing working examples of argumentation in the online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of an online course of university were introduced the samples of structured discussion and were compared with the others who did not have any instruction. The quality of their discussion was analyzed from three aspects: relevance, logic, and evide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better. The two aspects of logic and evidence were especially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reflected that the provision of working examples for structured discussion can effect on the increase of logic and evidence-based argumentation. The study also analyzed the participants` ideas on why they felt the guidance helpful for them. They indicated that the examples were effective because they can guide the format and methods for writing, and they were helpful for systematic and concrete writing. These results explain that the structured discussion examples can be effective to increase the quality of online discussion, and imply that it can be used as a discussion tool for supporting the teaching role of an online instructor.

      • 통사처리과정에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의 뇌 활성화

        이승복,연은경,이다미,정관진 한국뇌학회 2002 한국뇌학회지 Vol.2 No.2

        영어 유창성이 높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후기 습득자들이 관계절 문장의 문법성 판단검사로 통사처리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을 측정하였다. 10명의 영어유창성이 높은 참여자들이 두 언어로 제시되는 문법성 판단검사를 수행하였다. 두 언어의 통사처리수행에서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통제과제, 응시과제와의 감산으로 산출하고, 두 언어 조건에서의 활성화 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언어의 처리 영역은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한국어(Ll) 문장의 처리에 비해 영어(L2) 문장을 처리할 때 전두엽의 양쪽 반구에서 더 많은 활성화를 보였다. 전두엽의 양쪽 반구에서 더 많은 활성화를 보였다. 한국어 처리의 경우에는 오른쪽 전두엽의 활성화가 보이지 않는 반면, 측두엽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활성화 양상에 관해 이중언어와 통사처리의 특성이라는 면에서 논의하였다. To examine whether the bilinguals' two languages are represented in distinct or overlapping areas of the brain, we appli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Ten proficient Korean-English (K-E) bilingual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 conducted a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in which subjects were asked to judge grammaticality of various kinds of relative clause constru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locations of activation were similar for both languages, the intensity of activation in these areas were much greater in I.2 English than I.1 Korean.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greater activation in left frontal regions during I.2 English processing than during I.1 Korean processing. As for the right frontal regions, the activation was observed only in I.2 English processing. However, Middle temporal gyrus was found to be activated during I.1 processing, not I.2 processing. We discussed the results as to the bilingualism and syntactic proc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