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nstruction of Historical Profile of Time-Range Period Integrate for Travel Time Forcasting in Interrupted Traffic Flow : 시·공간 자료합성의 Historical Profile 구축을 통한 단속류 통행시간 예측모형

        여태동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국내에서는 지역간 교통의 이동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도를 대상으로 ITS사업을 추진중에 있으며, 이러한 ITS 사업을 통해 교통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기존의 교통시설의 이용을 극대화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때, 운전자에게 보다 정확한 통행시간정보를 제공해 주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시데이터의 이상치 제거를 실시한 후, 결측처리 방법별 정확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통행시간 예측의 기본이 되는 원시데이터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기존에 통행시간 예측을 위해 단속류 도로의 성격을 보다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Historical Profile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실제 교통흐름을 반영하기 위해 이를 보정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기 개발된 Historical Profile 모형을 통해 통행시간을 예측한 후 신경망 모형, 칼만필터 모형과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칼만필터 모형과 비슷한 예측력을 보였으나, 첨두시나 유고상황에서는 Historical Profile 개발모형이 실제 교통흐름을 비교적 정확히 반영하여 예측을 실시할 수 있었다.

      • 法頂의 시대정신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 : <大韓佛敎>(현 <불교신문>) 발표 원고를 중심으로

        여태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iew how the thought of Ven. Beop-jeong(1932~2010) was formed and developed in our times. In general, Ven. Beop-jeong has been regarded as a Buddhist ecologist who has lived in communion with nature and also as an upright ascetic who delivered a ‘clear and fragrant message’ to the public through the collections of his beautiful essays, Non-possession. However, when evaluating Ven. Beop-jeong, we should notice that he thoroughly learned the teachings of the Buddha, conducted self-inspection through asceticism, and agonized over the social problems. Also, we should remember that he suggested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he Korean Buddhist order to proceed. In 2009, one year before his passing away, working for “The Buddhist Newspape”, I found Ven. Beop-jeong’s more than 100 writings in the joint edition of the 1960s Newspaper. At that time he worked for “Daehan Bulgyo,” the predecessor of “The Buddhist Newspaper” In some writings, he would use the Dharma name, Beop-jeong while in others he would use pen name or the name he called himself: Cheongan(청안) and Sososanin(소소산인). Among about his 70 writings he showed vigorous youthful spirit well. Ven. Beop-jeong’s manuscripts included poems, columns and editorials, etc. The manuscripts of Ven. Beop-jeong from 1963 to 1977 showed a serious attitude of ascetic based on frosty precepts and they also suggested how the Buddhist community should proceed in accordance with the Buddha’s teachings. Ven. Beop-jeong’s 68 manuscripts were published in November, 2019 under the title of Take off your old Clothes. When this book was published, a new task on his assessment began to emerge. That’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another aspect of him. He is not just a static ‘Essayist’ who was immersed in naturalism beyond civilization. His proceedings of various traces of anguish in the course of life were well express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times in Take off your old Clothes. Take off your old Clothes showed a marked difference from his previous works. That is, most of his previous books were mainly scripture translations or columns. In addition, after moving to Bulilam(불일암) in Songgwangsa Temple (송광사), his tendency to write was nature-friendly. However, in Take off your old Clothes, was projected the image of vigorous youth Beop-jeong and of Buddhist Reformist Beop-jeong who criticized the world without hesitation. In particular, the hwadu(화두) of Beop-jeong as a Democratic Protector for Democracy was completely reflected in the Book.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search and analyze Ven. Beop-jeong’s about 100 manuscripts comprehensively published in “Daehan Bulgyo” Newspaper, and then to look into the process of his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his periodic thought from the renunciation to his passing away. Moreover, I tried to prove that he broke away from an essayist whose works are filled with nature-friendly and ‘clean and fragrant’ writings, and that he, as a novice ascetic, tried to learn and practice the Buddha’s teachings thoroughly and tried to expand and project the teachings of the Buddha throughout the Buddhist sect as a pioneer of his times. Furthermore, I noticed that as a thorough ascetic, Beop-jeong resisted the injustice of the world and tried to establish justice with his whole body, and that he proudly stood in the ranks for the democratization of society. Ven. Beop-jeong was born at a seashore port of Woosooyoung, Haenam, Jeollanam-do where the sound of waves is heard from close by and there he spent his childhood. Unfortunately, he lost his father when he was four years old, and he was raised by her grandmother. Even though his family wasn’t well off, they was so highly enthusiastic about education that he moved to Mokpo, where he attended to middle and high school and university. At that time, Beop-jeong who suffered the devastation of the Korean War took a leave of absence in the third year of university due to existential concerns, and he finally renounced the world and became a disciple of Hyobong, a great Seon master of the times. After his renunciation, he read and mastered the Buddhist scriptures, Tripitaka Koreana (Haeinsa Tripitaka Koreana) and tried to spread the Buddha’s teachings to the world. While participating in the compilation project of The Buddhist Dictionary, Beop-jeong vowed to translate the great volume of Tripitaka Koreana into Korean. He came to Seoul and started to translate the Buddhist scriptures at Dongguk Institute of Buddhist Scriptures Translation. At that time, he would publish manuscripts in “Daehan Bulgyo” newspaper and worked as an editor in chief and commentator. Also, while publishing various writings such as a folktale, poems and critics, etc. in “Daehan Bulgyo” newspaper, Beop-jeong started activities to democratize the society and the inside of the Buddhist sect. In the 1970s, he served as a member of the editorial board of the “Sound of the SSial”, (The Voice of the People), a symbol of the pro-democracy movement. Besides, he became a representative social democratization figure of the Buddhist community working for the National Council for Democracy and Protection while interacting with Jang Jun-ha and Ham Seok-heon, etc. However, he witnessed the death of innocent persons through the Second Inhyeokdang Incident, and as a person who has spearheaded social democratization, he keenly felt the responsibility for not preventing their death. That’s why he started to live a simple life in Bulilam Hermitage for self-inspection as an ascetic. Through this process, he wanted to see the world in his own way and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his own writing. With the determination of initial commitment, he chose to go back to the mountains with the mind of re-renunciation. In addition, Beop-jeong had time for self-contemplation through many oversea trips. For him, traveling was not just an outing, but a time of self-contemplation through practicing asceticism like wanderings. That is, he wanted to cast away something old and redundant, and to refresh and purify the frame of thought by looking around the new world. Ven. Beop-jeong consistently tried to look at the world with clear and innocent eyes like a little prince throughout his life on the basis of the Buddha's teachings. Hence, he renounced the world in order to realize this end, and he also attempted to looked at the world as it is. That’s why he devoted his whole life to practicing his renunciation-vow as he well expressed in his writings. Because there was such an endless and upright practice, his many writings gained sympathy from the whole nation and became a best seller as well. Then, Beop-jeong was not just an essayist who looked at nature and sang about its the beauty. Rather, he was a practicing ascetic who tried to see the world with clear and transparent eyes of a little prince and who intended to express such an idea succinctly. Sometimes he tried to embrace the pain of the world, and he was a Samantabhadra(보현보살) in our times in which he constantly delivered a message, Take off your old clothes towards the Buddhist order. Considering the above facts, I attempted to look into Ven. Beop-jeong’s various aspects by trac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his perception of the times. As a result, I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Beop-jeong renounced the world in 1954, and afterwards he learned sincerely the teachings of the Buddha while researching the Koreana Tripitaka and translating it into Korean at Haeinsa temple. Second, in 1960, he began a full-scale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by compiling The Buddhist Dictionary at Tongdosa Temple. Third, he worked as a translator at Dongguk Institute for scripture Translating,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Haeinsa Temple and Seoul, and he published writings that present a right faith in Buddhism and clarify society in “Daehan Bulgyo” and daily newspapers, etc. Fourth, from the late 1960s to the mid-1970s, he actively engaged in social democratization activities, representing the Buddhist community. Fifth, in 1975, he returned to a reclusive life at Bulilam, and there he set up a way of thinking, naturalism, based on interdependent origination. Sixth, even in a life of unity with nature, he launched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and also developed a civil society movement under a catch-phrase ‘Clean and Fragrant.’ Finally, he was a pioneer who communicated with neighboring religions and delivered a message of peace to our society. Ven. Beop-jeong was a true ascetic who was not bound by anything and was absolutely a free man. Also, he was a great saint in our times who was responsible for what he had said and put it into practice: a man of consistent speech and conduct. As an upright ascetic who never lost his original intention of renunciation through a thorough self-inspection, Ven. Beop-jeong would present a right path for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with clear logic. Especially, through various media outlets, he demonstrated the image of a journalist and democratic figure who wanted to improve the Buddhist world and society, on the basis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Ven. Beop-jeong was also a pacifist who opposed all wars, awakening peace on the basis of ‘not taking life’ of Buddhism. In particular, in his youth, he keenly cherished peace because the experience of the devastation of the Korean War was imprinted in his mind. That’s why he would write writings fiercely opposing the dispatch of government troops to Vietnam. He have never taken position of head monk at any temple in his whole life, but he was no less respected than patriarch. Even though he built a clean and large temple, he did not stay there for a single night. Like this, Ven. Beop-jeong was a genuine master of this times who had lived a honest poverty keeping his original intention of renunciation. Above all, Beop-jeong delivered the Buddha’s teachings to the public as well as Buddhists in more succinct and common-sense dictions. Also, he always kept a humble attitude without puting forth authority and on the other hand, he flatly rejected the title ‘great master’ and always insisted on calling himself ‘Bhikkhu Beop-jeong’, which impressed modern people. Like this, he moved the hearts of the whole nation through writing in his own unique diction. Above all, it is the most important that Beop-jeong’s critical attitude in the manuscripts of “Daehan Bulgyo” is still influential in Korean Buddhism. In particular, w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s that he is an ascetic and journalist who wrote straightforwardly. That is, for the purpose of Buddhism development, he continually wrote advice and criticism in “Daehan Bulgyo” in the 1960s when Buddhist Order, especially the Jogye Order, was in a state of confusion. In addition, Ven. Beop-jeong presented a message of peace to the Jogye Order marked by internal conflict and struggle and suggested concrete solutions to problems through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The article ‘Silent Crime - Bongeunsa Sold’ was the opposite of the executive branch of the Jogye Order at that time, his direct claim showed a figure as an opinion leader who criticized the leakage of the precious property of Buddhism. Sixty years later, Ven. Beop-jeong’s argument turned out to be right one to prevent the loss of a tremendous amount of Buddhist assets. Unfortunately, the Jogye Order’s assets had been lost due to continual conflict and struggle, but it makes us realize how valuable the right insight of Ven. Beop-jeong’s was. Ten years have passed since Ven. Beop-jeong passed away, but in-depth research papers on his thought seem to be rare. As a result of the examining more than 50 books including his own writings and translations, I could confirm that his each letter and sentences contained profound teachings of the Buddha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and practical methods. Consequently, I hope that this dissertation will be an opportunity to study Ven. Beop-jeong’s thought more deeply, and that the ‘Institute for Ven. Beop-jeong Thought’ and ‘Beop-jeong’s Studies’ will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in the Buddhist community. If these events are carried out smoothly, they will be a good alternative that will make the world more clean and fragrant, I am sure. 본 논문은 우리 시대를 살다가 원적에 든 법정(法頂/1932~2010)스님(이하 법정으로 호칭)의 시대정신 형성과 전개과정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법정을 평할 때 자연에 귀의한 불교생태주의자로 『무소유』라는 아름다운 수필을 세상에 발표한 ‘맑고 향기로운 말씀’을 전한 인물로 평가한다. 하지만, 법정을 평가함에 있어 불교의 가르침을 철저히 공부하고, 수행을 통한 자기 점검과 사회 전반에 걸쳐 고민한 흔적은 물론, 불교교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불어 교단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행로를 제시한 시기가 있었음에 주목해야 한다. 법정이 원적에 들기 1년 전인 2009년 불교신문사에 근무하고 있었던 본 연구자는 1960년대 신문 합본호에서 법정이 <불교신문>의 전신인 <大韓佛敎>에 재직하며 쓴 100여 편의 글들을 발굴했다. 어떤 글은 ‘법정(法頂)’이라는 법명을 기명(記名)해 놓았고, 어떤 글은 필명이나 혹은 자호(自號)처럼 여기며 사용했던 ‘청안(淸眼)’, 소소산인(笑笑山人)’ 등의 이름을 달고 있었다. 법정의 혈기왕성한 청년 기백이 살아 있는 원고 70여 편이었다. 법정의 원고는 시와 칼럼과 논단이었다. 1963년부터 1977년까지 쓴 그의 원고에는 서릿발 같은 계율에 입각한 진지한 자세도 보였고, 부처님의 가르침에 입각해 불교교단이 어떻게 서야 하는지에 대한 스스럼없는 직필의 경향이 뚜렷했다. 법정의 원고 68편은 2019년 11월에 『낡은 옷을 벗어라』라는 제목으로 처음 세상에 나왔다. 이 책이 출간되자 새로운 과제가 부각되기 시작했다. 법정이 문명 저편의 자연주의에 심취한 단순한 정적(靜的) ‘에세이스트’가 아닌 생(生)을 관통하며 고뇌한 다양한 법정의 행보가 시대별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법정의 책 『낡은 옷을 벗어라』는 기존에 나온 저서들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한때, 법정의 저서 대부분이 경전번역서나 칼럼들이었고, 송광사 불일암으로 처소를 옮긴 이후, 자연친화적인 글들이 법정을 대변하는 글이었다면, 『낡은 옷을 벗어라』에서는 거침없이 세상을 향해 비판의 잣대를 들이대는 ‘청년 법정’, ‘불교개혁주의자 법정’의 모습이 투영돼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민주화를 위해 던지는 ‘민주주의 수호자 법정’의 화두도 고스란히 배어 있었다. 본 논문은 법정이 <大韓佛敎>에 남긴 글과 여타 원고 100여 편을 종합적으로 연구, 분석해 출가에서부터 원적에 들기까지의 시대정신 형성과 전개과정을 살피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연 친화적인 ‘맑고 향기로운 글’로 충만한 ‘에세이스트 법정’에서 탈피해 초발심자로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철저하게 익히고 실천했으며 그 가르침을 불교교단 전반에 확장시키고 투영시키려 매진한 ‘선각자(先覺者)’ 법정에 주목했다. 나아가 법정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랐던 철저한 수행자로서 세상의 불의에 항거하고 온몸으로 부딪치며 정의를 바로 세우려 노력했고, 사회의 민주화를 위한 대열에 당당히 나섰다는 사실을 분석했다. 법정은 파도소리가 지척에서 들려오는 전라남도 해남 우수영의 바닷가 포구에서 태어나 남해바다의 품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 4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할머니 품에서 자란 법정은 넉넉하지는 않았지만 교육열이 강한 집안 가풍으로 중학교 시절 목포로 전학해 중·고등학교를 거쳐 대학교까지 모범생의 삶을 살았다. 한국전쟁의 참화를 겪은 법정은 존재론적 고민에 싸여 대학교 3학년 때 휴학을 하고 출가해 수행자의 길에 접어든다. 당대의 선지식이었던 효봉스님을 스승으로 출가한 법정은 고려대장경(해인사 팔만대장경)에 파묻혀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몸소 익힌 뒤 그 가르침을 세상에 구현하려 하였다. 법정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사전으로 만드는 『불교사전』 편찬사업에 참여하는 한편, 방대한 고려대장경을 한글로 번역하려는 원을 세우고 상경해 동국대학교 동국역경원과 인연을 맺으면서 본격적인 경전번역에 나선다. 비슷한 시기에 <大韓佛敎>와도 인연을 맺으며 원고를 게재하고 주필과 논설위원으로 적(籍)을 두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 또한 법정은 <大韓佛敎>에 설화와 시 논단 등 다양한 글을 게재하면서 불교교단 내부와 사회 민주화를 위한 활동에도 나섰다. 1970년대에 법정은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었던 『씨ᄋᆞᆯ의 소리』 편집위원을 맡는다. 장준하, 함석헌과 교류하며 민주수호국민협의회에 활동하는 불교계를 대표하는 사회민주화 인사로 자리매김하였다. 하지만 법정은 ‘제2 인혁당 사건’을 겪으며 무고한 사람의 죽음을 목도하며 사회민주화에 앞장서 온 사람으로서 죽음을 막지 못한 책임감과 출가수행자로서의 자기점검을 위해 송광사 불일암으로 은거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겪으면서도 법정은 자신만의 방법으로 세상을 보고자 했으며 그만의 글쓰기로 세상과 소통했다. 초발심의 각오로 재출가의 마음으로 다시 산중(山中)을 택했다. 뿐만 아니라 법정은 많은 해외여행을 통한 자기 관조의 시간을 가진다. 법정에게 여행이란 단순한 나들이가 아니라 만행을 통한 자기 점검이자 관조의 시간이기도 했다. 여행을 통해 묵은 것들을 씻어내고 새 것을 담아내어 생각의 그릇을 정화시키기도 했다. 법정은 일생을 일관되게 어린왕자와 같은 맑은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려 했으며 그 매개체는 부처님의 가르침이었다. 이를 위해 출가수행자의 길을 걸었고, 불교의 가르침에 입각해 세상을 가감 없이 바라보고 그가 쓴 글처럼 실천하기 위해 평생 정진했다. 이러한 끝없고 올곧은 실천행이 있었기에 법정의 글은 전 국민들에게 공감을 얻어 어느 가정의 서재에도 꽂혀 있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법정은 많은 대중들이 외면적으로 알고 있는 자연을 바라보고 아름다움만을 노래하는 단순한 에세이스트가 아니었다. 그는 맑고 투명한 불성을 갖춘 어린왕자의 명경(明鏡)같은 심성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오랜 침묵으로 그 시선을 언어로 만들어 세상에 내놓았고, 그렇게 실천하며 살아가려고 한 실천수행자였다. 때로는 세상의 아픔을 온몸으로 껴안으려 했고, 자신이 몸담았던 불교교단을 향해서는 부단한 노력으로 ‘낡은 옷을 벗어라’는 화두를 부단 없이 던진 ‘우리시대의 보현보살’이었다. 연구자는 법정스님의 다양한 면모를 살피면서 그의 시대정신 형성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법정은 ➀1954년 출가 후 해인사에서 고려대장경을 공부하고 번역하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체득했고, ➁1960년 통도사에서 『불교사전』을 편찬하며 본격적인 경전번역에 나섰고, ➂해인사와 서울을 오가며 동국역경원 역경위원으로 활동하며 <大韓佛敎>와 일간 언론에 불교에 대한 바른 믿음과 사회를 맑히는 글을 게재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 ➃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는 불교계를 대표해 사회민주화 활동에 적극 나섰고 ➄1975년에는 송광사 불일암으로 은거에 들어가 연기적 자연주의 사유를 구축했다. 또한 ➅자연과 합일하는 삶 속에서도 세상과 소통하며 ‘맑고 향기롭게’라는 시민사회 운동도 전개했고 ➆이웃종교와도 소통하며 우리 사회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한 선각자였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법정은 그 어디에도 속박되지 않은 참수행자였으며 절대 ‘자유인’이었다. 스스로 한 말을 서릿발처럼 여기고 실행해 옮기며 우리시대에 왔다 간 큰 성자였다. 철저한 자기점검으로 초심을 잃지 않았던 수행자로서 불교교단에도 명쾌한 논리로 올바른 길을 제시해준 선각자였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방편설로 삼아 다양한 매체에 정론을 펼치며 불교계와 사회를 밝히려는 언론인의 모습과 민주화 인사의 면모를 함께 보여주었다. 법정은 불교의 불살생계를 통한 평화를 일깨우며 모든 전쟁에 반대한 평화주의자이기도 했다. 젊은 시절 한국전쟁의 참화를 겪었던 경험이 각인된 탓에 평화를 뼛속깊이 새겼던 인물이었다. 베트남 전쟁에 대한 정부 파병을 온몸으로 반대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 평생 사찰 주지 한 번 하지 않고도 온 국민으로부터 종정 이상의 존경을 받았던 비구였고, 대궐 같은 도량을 일구어 냈음에도 그곳에서 단 하룻밤도 머물지 않고 스스로 청빈한 마음의 초발심을 견지하고 살다간 이 시대의 진정한 선지식이 ‘비구 법정’이었다. 법정의 가르침이 현재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감명 깊게 다가오는 이유는 가장 현대의 언어로, 불자가 아닌 일반인들에게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상식의 언어로 전했기 때문이다.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가장 낮은 하심의 자세로 몸을 현현(顯現)했지만 그 진정성이 가장 존경을 받은 성자로서의 자격을 갖춘 셈이다. 법정은 글이라는 ‘언어 사리(舍利)’로 온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게 했다. 그는 평소의 삶에서 ‘큰스님’이란 호칭을 단호히 거부했으며 자신을 칭하는 수식어에 ‘비구’라는 호칭만을 고집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법정이 <大韓佛敎>에 원고를 게재하며 주장했던 비판의식은 지금의 한국불교에도 통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법정이 수행자이면서도 정론직필을 했던 언론인의 모습이다. 법정은 1960년대 불교교단의 혼란한 틈바구니 속에서도 부단 없는 글로 불교교단, 특히 조계종단의 발전을 위해 고민한 흔적을 <大韓佛敎>에 남겨 놓았기 때문이다. 또한 법정은 갈등과 투쟁이 만연하던 조계종단에 평화의 메시지를 던지고 대화와 소통을 통한 문제해결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침묵은 범죄다-봉은사가 팔린다」라는 글은 당시 조계종단 집행부의 입장과 정반대의 행보였지만, 법정의 정론직필 주장은 삼보정재 유출을 비판하는 오피니언 리더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불교교단에 던지는 법정의 논지는 60년이 지난 지금 판단해 볼 때 천문학적 금액에 이르는 불교재산 유출을 막는 올바른 주장이었음이 증명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조계종 재산이 망실되는 결과가 초래되고 말았지만 법정의 올바른 통찰력이 얼마나 소중한 가르침이었는가를 깊이 깨닫게 해주는 대목이다. 법정이 원적에 든 지 10년이 지났지만 그의 사상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미미해 보인다. 법정의 저서와 번역서 등 50여 권을 살펴 본 연구자는 한 글자, 한 문장 속에 심오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담아내고 있음을 확인했다. 철저하게 준비된 가장으로 한 문장의 글 속에는 반드시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방법이 들어 있다. 이에 연구자는 이 논문을 시발점으로 법정의 사상을 다양하게 연구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나아가 불교계에서 ‘법정사상연구소’가 하루 속히 설립되어 그의 새로운 사상의 면모를 살필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길 기대한다. 아울러 법정의 다양한 가르침이 ‘법정학(法頂學)’으로 정립되어 후세에 또 다른 영역으로 설파되어 세상을 맑고 향기롭게 만드는 자양분이 되길 희망한다.

      • 주5일 근무제에 對備한 佛敎界 布敎方案 硏究 : 대한불교조계종을 중심으로

        여태동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claimed that it would invest 9720billion won for 5 years in order to stimulate living exercise in response to 5 workdays. In addition, it noted that, in doing so, government is to construct one park for living exercise for every county for 232 residential area until 2005, extend the center for national exercise, which is in place, to 85. Moreover, cultural center for exercise in terms of country will be added from 43 to 73. It is primary measure for the introduction of 5working days a week. In view of buddhist society, if 5 workdays would be put into place, buddhism would be in a better position to attract people into buddhism. This is effective as long as buddhist society make a good preparation. It is said that Chogye order is the biggest organisation except the governmen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most of real estate and buddhist belongs to Chogye ord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re is a famous buddhist temple in a famous mountain and that the tradition of Korean culture have be hand in hand with that of buddhism. In response to fast changing environment, buddhism should lie in material and spiritual way of life so that it would be of great use for mankind. As a consequence, in response to the introduction of 5 workdays, buddhist society should prepare for new type of living buddhism beyond Mahayanist Buddhism which have been of great use up to now. On response to social environment for 5 workdays, it is great opportunity for buddhism to implement buddhist welfare and buddhism mission as long as buddhist society has systematic framework. In doing so, one temple should participate in the campaign to own one welfare entity and branch temple mission should manage, on its own, such program as training service, temple stay, theme tour. This should make a contribution to improving service of buddhist welfare and cutural mission. In addition, on response to the 5 workdays, buddhist society should play a crucial role in high level of cultural mission through opening of portal site which include a variety of information which is open to people with 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