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부설 초등 과학영재의 사회참여역량 분석

        여상인(Yeo, Sang-Ihn)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3

        이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의 사회참여역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27명의 과학영재에게 개인 시민성(4개 구성 요인), 공동체 시민성(3개 구성 요인), 세계 시민성(4개 구성 요인)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된 4단계 척도의 사회참여역량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부설 초등 과학영재의 사회참여역량은 일반학생보다 높아 사회 현상과 문제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많다는 영재의 특성을 잘 보여 주었다. 둘째, 과학영재의 개인 변인인 성별, 학년별 사회참여역량과 성별과 학년별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별과 학년별 상호작용효과는 보이지 않았고, 학년별 주효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사회참여역량이 높았다. 사회참여역량의 하위 영역인 개인 시민성, 공동체 시민성, 세계 시민성에서 모두 학년과 성별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없었고, 학년에 따른 주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개인 시민성과 세계 시민성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역량이 높은 성차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의 사회참여역량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와 추후 연구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 of university-affiliated science gifted students. To this purpose, a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 survey was administered to 127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nd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 scale consisted of sub-competencies of individual citizenship (4 components), community citizenship (3 components), and global citizenship (4 compon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who had a lot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in social phenomena and problem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 by gender and grade, which were personal variables of gifted students, and the interaction effect by gender and grade,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y gender and grad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in effect by grade. However, in terms of gender, gifted female studen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 than gifted male students. In all sub-domains of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 - individual citizenship, community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y grade level and gender, and no main effect according to grade level. However, only in individu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gifte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competency than gifted 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gifted students’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 SCOPUSKCI등재

        물에서의 폴리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입자 특성과 용액 거동

        여상인,우규환,Yeo, Sang Ihn,Woo, Kyu Whan 대한화학회 1998 대한화학회지 Vol.42 No.5

        정적 광산란, 동적 광산란, 점성도 실험을 통해 수용액에서 안정한 콜로이드를 형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입자의 질량평균분자량$(M_w)$, 관성회전반경$(R-g)$, 2차 비리얼계수$(A_2)$, 유체역학적 반경$(R-H)$, 크기 분포, 고유 점성도 등이 측정되었다. 측정값을 토대로 아이오노머 측기 조성에 따른 입자의 특성과 용액 거동을 조사하였다. 카르복시산염의 함량이 높은 아이오노머는 chain stiffness, $R-H$, $R-g$가 크고, 아마이드기 함량이 높은 아이오노머는 크기가 작고, 고분자 사슬이 조밀한 구조의 입자를 형성하였다. 또한 CMC 부근의 매우 묽은 농도 영역에서 확산계수와 점성도의 농도 의존성은 아마이드기가 도입된 아이오노머와 그렇지 않은 아이오노머에서 서로 상반되는 경향성을 보여, 수용액에서 형성된 아이오노머 입자간의 상호 작용이 아이오노머에 도입된 측기 조성에 따라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various thermodynamic and hydrodynamic parameters characterizing the solution properties of polyethylene ionomer particles in water were determined at $30^{\circ}C$ by means of light scattering and viscosity measurements.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we investigated the solution behavior of three kinds of polyethylene ionomers, which are different in composition of the pendant ionic groups of COOK, COOH and $CONH_{2}$, and characterized their particle properties. Ionomers containing 7.6 mol% potassium salt only behave as flexible coils in a relatively good solvent state. On the other hand, two ionomers containing 3.8 mol% amide group together with potassium salt form the compact particles.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dependence of the effective diffusion coefficient $(D_{eff})$ and the reduced viscosity of the latter ionomers showed the opposite trend from the former, indicating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endant ionic group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interparticle interaction of ionomers formed in water.

      • KCI등재

        교사변인에 따른 초등 영재담당교사의 영재수업에 대한 신념과 행동의지, 일관성 및 잠재적 행동실천 효과 차이 분석

        여상인(Sang-Ihn Yeo)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4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영재담당교사의 영재수업에 대한 신념과 행동의지, 신념과 행동의지의 일관성, 그리고 잠재적 행동실천 효과를 교사변인인 성별, 영재교육경력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위학교 영재학급에서 영재수업을 수업을 맡고 있는 영재담당교사 197명에 대하여 영재수업에 대한 신념과 행동의지를 측정하는 5단계 척도의 설문(5개 범주, 20문항)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변인별 영재수업에 대한 신념과 행동의지는 모든 범주와 그 하위문항에서 평균 점수는 높게 나타났으나, 신념보다 실제 행동으로 실행하려는 의지는 낮았다. 성별에서는 여교사가, 영재교육경력에서는 3~5년인 교사가 신념과 행동의지의 일관성에서 항목별로 큰 차이를 보여 신념과 행동의지 사이의 괴리가 높은 항목이 많았다. 교사변인에 따른 초등 영재담당교사의 영재수업에 대한 잠재적 행동실천 효과는 다른 특정 행동에 비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 영재담당교사의 영재수업에 대한 행동의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lief, willingness to act, consistency, and potential willingness to act on the gifted class of elementary gifted education teachers. For this study, a 5-scaled questionnaire (five categories, 20 items) was administered to 197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for elementary scienc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Belief and willingness to act for gifted and talented class by teacher variables showed higher average scores in all categories and sub-items, but the degrees of willingness to act were lower than corresponding beliefs. Generally,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3 to 5 years of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consistencies of belief and willingness to act, resulting in larger gaps between belief and behavior.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otential willingness to act for the gifted class according to the teacher’s variables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 specific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ways to increase the willingness of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to act in the gifted clas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초등영재 담당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영재교육 전문성 비교 분석

        여상인 ( Sang Ihn Yeo ),최남구 ( Nam Gu Choi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科學敎育硏究誌 Vol.3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를 담당하는 영재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영재교육 전문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교사의 개인변인은 성별, 근무지역, 교육경력, 영재교사경력, 최종학력, 영재교육 직무연수의 정도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지역에서 초등과학영재를 지도하는 영재교사 98명이며, 영재교육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최남구(2011)가 개발한 것을 토대로 사용하였다. 영재교육 전문성의 하위 영역은 ‘철학적 이해와 사명감’, ‘전문적 자질’, ‘인성적 자질’이며, 전문적 자질은 다시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개인변인에 따른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서는 전문적 자질에서 남교사의 평균이 여교사의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근무지역에 따른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서는 지역간에 차이가 있었지만, 하위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교육경력에 따른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재교육경력에서는 경력이 3년 이상은 되어야 전문성이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적 자질과 인성적 자질에서 유의하게 전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과 관련된 연수를 이수한 정도에 따른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연수를 경험한 횟수가 많을수록 평균은 높았다. 전체적으로 영재교육 전문성의 하위 영역인 ‘철학적 이해와 사명감’과 ‘인성적 자질’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교사의 개인변인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teachers in charge of teaching the science-gifted children, based on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al career in normal class and gifted class, training in gifted education, academic degree, etc.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by referring to Choi`s survey, and conducted to 98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gender, the average of male teach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female teachers in their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Regional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however, showed different aspects in the sub-domain.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accordance with the career in education was no difference. In gifted education career, professionalism increased as high career in gifted education, especially, more than three years. As better educated, teachers` professionalism in responsibility a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 for gifted educa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degree of training related to gifted educatio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responsibility a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humanities-oriented quality`` for gifted education were not greatly affected by teacher`s personal variables in this study. Based on conclusion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ir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구논문 : 코넬식 과학일지 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여상인 ( Sang Ihn Yeo ),이대한 ( Dae Han Lee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초등과학교육 Vol.33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nell typed science journal writing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by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study were 109 elementary students (5th grade).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Cornell typed science journal writing and the control group maintained traditional lectures for one semester. Science-related attitudes of this study are classified into scientific attitudes (7 sub-domains)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5 sub-domai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with SPS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Several sub-domain (voluntariness, cooperation, perception about science and scienti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positively changed in experimental group. Cornell typed science journal writing was especially effective on improving scientific attitude in male students, and attitude toward science in female students. Also, science journal writing was effective on improving science-related attitude (both scientific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in high-achieving group, but not effective in low-achieving group.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 교수방법에 대한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지식에 대한 사례연구

        여상인 ( Sang Ihn Yeo ),진현숙 ( Hyun Suk Ji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1

        이 연구는 세 명의 초등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전문성을 영재교육 교수방법의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한것이다. 세 명의 교사는 모두 영재교육연수를 이수하였으며, 주위로부터 영재교육 전문성이 높다고 추천을 받은 교사이다. 두 명의 교사는 영재교사 경력이 5년 이상이고, 한명의 교사는 영재교사 경력은 1년이나 교직경력은 11년이었다. 참여 교사의 수업지도안, 수업관찰, 교사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수업자료와 면담자료는 전사된 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보였다. 첫째, 교사들은 영재교육을 위한 여러 가지 교수-학습 모형은 인지하고 있었지만, 렌줄리의 3부 심화학습모형을 가장잘 알고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수업에 활용할수 있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원에 대하여 교사들은 주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교수-학습자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셋째, 교사들은 영재학생의 수준과 특성에 맞게 보급된 영재교육 프로그램들을 재구성하였지만, 실제 영재수업에서는 충분히 발현되지는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three elementary teachers for science-gifted students in teaching method. All teachers have received in-service program in gifted education, and have been recommended by their colleagues. Two teachers have instructed the gifted for more than five years, one teacher have instructed the gifted for one year and the general students for eleven years. For for this study, each teacher`s lesson plans were collected, videotapes were recorded during lessons, and in-depth interview for each participant were conducted. All recoded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Some uniqu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ethod for the gifted were identified from the class instruction of participants. They had knowledge of teaching model for the gifted, especially Renzulli`s three pod enrichment model. And they mainly used the materials developed by KEDI for the gifted. Also they had capability to be able to reconstruct them, but their lesson plans did not be realized well in their class. Some implications from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such as teaching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in the classes of the gifted in science.

      • KCI등재

        초등과학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교우관계 비교

        여상인(Sang-Ihn Yeo),박상희(Sang-Hee Park) 한국영재학회 2005 영재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일반학급에서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교우관계와 초등과학 영재 아동이 과학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 지각하는 교우관계를 각각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과학영재학급에 등록된 영재아동 147명과 일반학급의 일반아동 253명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만족도, 아동이 느끼는 외로움, 교우관계의 질, 사회성을 측 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학급에서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교 우관계에서는 ‘아동이 느끼는 외로움’, ‘교우관계의 질’에서 영재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 느끼는 영재아동의 교우관계에서 는 ‘교우관계의 만족도’와 ‘교우관계의 질’에서 일반학급보다 과학영재학급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일반아동에 비하여 영재아동의 상호적인 교우관계 빈도가 더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er relations of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ordinary students. To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to access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peer relations, students' feeling of loneliness,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was conducted to the subjects of 147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253 ordinary students in Korea. In the peer relations at the ordinary clas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was found in the students' feeling of loneliness, so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little lower feeling of loneliness than the ordinary students. Also,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In the perception of the gifted students' peer relations at the gifted and ordinary class, satisfaction with their peer relations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wer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as more mutual peer relations between the gifted than the ordinary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개인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의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 분석

        여상인 ( Sang Ihn Yeo ),성승민 ( Seung Min Su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3 초등과학교육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 performance about science teaching practic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For this study, professional performance test was modified based on Woo`s ‘framework for progression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practice`, which included 6 elements such as ‘lesson plans’, ‘creating the learning environment’, ‘inquiry’, ‘conceptual understanding’, ‘practical application’, and ‘assessment’. And then it conducted to 79 elementary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domains of profess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experience of training program, deciding method of exclusive subject. But there was almo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major, etc.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needs of further study about interaction effects of personal variables affecting teachers` professional performance of science teaching practice in detai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