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의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정책 연구 - 조선학교 정책에 관한 지도자의 입장을 중심으로 -

        에비나 아야코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23

        North Korea has gained an advantage over South Korea in its policy toward Korean residents in Japan since the postwar period by focusing on ethnic education through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Chongryon). Through ethnic education, which is mainly conducted in North Korean schools in Japan, North Korea has been able to educate them as its citizens and trained them to become candidates for Chongryon's leadership positions and other capable persons useful for its policies. Moreover, by continuing to focus on ethnic education, which was originally of high interest among them, North Korea and Chongryon have gained the support of their and formed Chongryon community around the schools, uniting not only students but also compatriots from all walks of life into the Chongryon organization. The existence of the schools in various parts of Japan, which does not have formal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Korea, is a major factor in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organization. Therefore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successive leaders have emphasized ethnic education as the core of the Chongryon's policy. This study takes a historical approach to North Korea's ethnic education policy for Korean residents in Japan, focusing on the directives of Kim Il-sung and other leaders, and analyzes them from two perspectives. First, the positions on the policy varied from leader to leader. North Korea's involvement in ethnic education began in earnest after the formation of Chongryon in 1955. Under the direction of Kim Il Sung, Chongryon systematized ethnic education while maintaining its legality, and set up a format to be implemented mainly in North Korean schools in various regions throughout Japan. It was under Kim Il Sung's guidance that the framework for the education program was formed, which continues to this day. Kim Jong-il and Kim Jong-un inherited basically Kim Il-sung's policy. Compared to Kim Il-sung, not much of Kim Jong-il's guidance on Chongryon is publicly available, but by examining of its relationship to North Korean policy, it turned out that the school functioned as a human resource training institution for Kim Jong Il to promote his projects, especially in the cultural field. In addition, although the Kim Jong-un era is ongoing, in terms of ethnic education, he is strengthening the guidance based on codifying the policies. Next, in carrying out the Chongryon's policy, North Korea imposes three roles to North Korean Schools, which are the main places of ethnic education in Japan. First, as an "overseas civic education institution", the schools educate the children of Korean residents not as Japanese citizens, but as North Korean citizens. However, it was initially intended to provide the same education as in North Korea, but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has changed to suit the realities of Japanese society. Secondly, the schools are "Chongryon's talent training institution" and produces talented people who will contribute to the activities of them. Originally, the people who wanted to foster through ethnic education were so-called "ethnic cadres", such as Chongryon cadres and teachers. However, as the times changed, North Korea and Chongryon needed capable persons in linguistic, cultural, and economical field that would be useful for foreign projects, as well as those who could contribute to the compatriot community, were needed, and the human resources trained there became more diverse. Third, the schools, which were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aspirations and interests of the Korean diaspora in Japan, are "bases for the expansion of Chongryon's power" and are centers for rallying compatriots to the organization. North Korean leaders have instructed Chongryon and its affiliated organizations to carry out activities related to the schools. Even today, there are indications that the organization is still active around the schools. 북한은 재일조선인 정책에 있어 전후 시기부터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을 통해 민족교육 사업에 주력함으로써 한국보다 우위를 점해왔다. 북한은 주로 조선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민족교육에 의해 재일동포를 북한 공민으로 교양하고 총련 간부 후보나 외교 등의 정책에 이바지할 인재를 양성해 왔다. 또 북한과 총련이 재일동포들 사이에서 관심이 높았던 민족교육에 주력하는 모습을 계속 보여줌으로써 재일동포들의 지지를 확보하며, 조선학교를 중심으로 총련 커뮤니티를 형성함에 따라 학생들뿐만 아니라 각계각층의 동포들을 총련 조직으로 결집시켰다. 일본 각지에 존재하는 조선학교는 북한과 정식적으로 수교를 맺지 않은 일본에서 총련이 지금까지 존속할 수 있었던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 당국, 그리고 역대 지도자들은 민족교육 사업을 총련 정책의 핵심으로 중시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총련 민족교육 정책에 관해 교시를 비롯한 역대 지도자의 지시 내용을 중심으로 역사적으로 접근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했다. 먼저 총련 민족교육 정책에 관한 입장이 지도자별로 다른 것이다. 북한은 1955년 총련 결성 이후, 민족교육 사업에 본격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김일성의 지시에 따라 총련은 합법성을 유지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각지 조선학교에서 주로 진행되는 형식으로 민족교육을 체계화해 나갔다. 그리고 김일성의 지도 아래 현재까지 이어지는 총련 민족교육 사업의 틀이 형성되었다. 김일성이 내세운 민족교육 정책의 틀을 김정일, 김정은도 기본적으로 계승했다. 김일성에 비해 총련에 대한 김정일의 지도 내용은 많이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김정일이 북한에서 추진한 정책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김정일이 특히 문화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조선학교가 인재 양성기관으로 기능했음을 볼 수 있다. 또 김정은 시대는 현재 진행형이지만, 민족교육에 있어 김일성 시대로 돌아가 명문화에 의한 지도를 강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북한은 총련 정책을 진행함에 있어 민족교육의 주요한 무대인 조선학교에 세 가지 역할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첫째, 조선학교는‘해외 공민 교양기관’으로 재일동포 자녀들을 일본인 아니라 어디까지나 북한 해외 공민으로 교양한다. 다만, 처음에는 조선학교에서도 북한과 똑같은 교육을 하고자 했지만, 일본사회의 실정에 맞게 교육 내용이 변화해 왔다. 둘째, 조선학교는‘총련 인재 육성기관’으로 북한이나 총련이 활동하는 데 이바지할 인재를 배출한다. 민족교육 사업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인재는 원래 총련간부나 조선학교 교원 같은 이른바‘민족간부’였지만, 시대적 상황에 맞게 북한과 총련의 활동에 이바지할 언어, 문화, 경제적 인재, 동포사회에서 현실적으로 이바지할 인재 등, 차츰 다양해졌다. 셋째, 재일동포들의 열망과 관심을 받아 발전된 조선학교는‘총련 세력 확대 거점’으로 총련 조직에 동포들을 집결시킬 중심지이다. 북한 지도자들은 조선학교에 관한 활동을 총련 및 산하 조직에 대해 지시해오며 현재도 조선학교를 중심으로 총련 조직들이 활동하여 재일동포들이 단결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