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ᙚ)’ 해석의 발전과정과 기독교 윤리에 관한 고찰- 정약용의 추서(推恕)와 관련하여

        엄국화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5 No.-

        This article introduces some interpretations of ‘Seo(恕)’ that were not noticed in previous studies. The previous scholars were also interested in the concept of ‘Seo’; where as, “Seo” in Jeong Yak-yong(丁若鏞) is uniquely related to Christian ethics. Therefore,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rpretation of Jeong Yak-yong, it is necessary that major scholars’ interpretation of ‘Seo’ has to be examined firs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Seongho I-ik and Jeong Yak-yong should be examined in that a core concept of ‘Sosahak(昭事學)’ in Jeong Yak-yong’s interpretation of ‘Seo’ is directly influenced by Seongho I-ik(星湖 李瀷). Thus, this study delves into the Christian ethical implication in Jeong Yak-yong’s concept of “ChuSeo(推恕)” through the study of interpretation of “Seo.” 이 글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정약용 이전의 ‘서’에 대한 해석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정약용의 ‘서’ 개념은 기독교 윤리와 관련이 있다는 특이점이 있는 것이지, 이전의 학자들이 ‘서’에 대해 관심이 없던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약용의 ‘서’ 해석의 특징이 밝히기 위해서는 주요 학자들의 ‘서’ 해석을 먼저 살펴야 한다. 또한 정약용의 ‘서’가 ‘소사학’의 핵심 개념이 된 것은 성호 이익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이므로 그러한 관계를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서’에 관한 해석 발전과정을 통하여 정약용의 ‘추서’ 개념의 특징을 나타나는 기독교적 함의를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후보

        『맹자』의 공감 정치 – 정약용의 『맹자요의(孟子要義)』를 중심으로

        엄국화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2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17 No.-

        Mencius is the richest source of Eastern political philosophy. What Mencius emphasized is the politics of ‘humanity’. Before Mencius, Confucius emphasized ‘In(仁),’ and after Mencius, Xunzi emphasized ‘Ye(禮)’. In modern terms, Mencius dreamed of a just society and a fair world. However, when talking about Mencius’s political philosophy, we should not only talk about justice and fairness. Mencius was also seen as a major element of politics, as Confucius emphasized ‘In’. However, if ‘In’ is translated as ‘benevolence’ in modern language, the meaning is not conveyed well. So, in this article, we insist on moving to ‘empathy’ in modern terms. This was inspired by Jeong Yak-yong’s assertion that “The Four Books (四書) is a commentary on a single character of ‘Seo(恕)’” and translated ‘Seo’ to empathy. In other words, Mencius inherited Confucius’ politics of empathy, and here it can be seen that he considered ‘justice’ or ‘fairness’ as important as a double-edged sword. Focusing on these concepts, I try to understand Mencius’s empathy politics through Jeong Yak-yong’s commentary on Mencius, Maengjayoui (孟子要義). 『맹자』는 동양 정치철학에 관한 가장 풍부한 원전이다. 맹자가 강조한 것은 ‘인의(仁義)’의 정치이다. 맹자 이전에 공자는 ‘인(仁)’을 강조했고, 맹자 이후 순자는 ‘예(禮)’를 강조했는데, 맹자는 그 사이에서 ‘의(義)’를 강조했다. 현대식으로 풀이하면 맹자는 정의로운 사회와 공정한 세상을 꿈꾸었던 것이다. 그러나 맹자의 정치철학을 말할 때, 정의와 공정만을 말해서는 안 된다. 공자가 강조했던 ‘인’ 역시 맹자는 정치의 주요한 요소로 보았다. 그런데 ‘인’을 현대어로 ‘어짊’이라고 번역하면 그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현대적 용어로 ‘공감’으로 옮기는 것을 주장한다. 이것은 정약용이 “사서(四書)가 ‘서(恕)’ 한 글자에 대한 주석이다.”라는 주장에서 착안하여 ‘서’를 공감으로 옮긴 것이다. 그러니까 맹자는 공자의 공감 정치를 계승하면서, 여기에 ‘정의’ 또는 ‘공정’을 마치 양날의 검처럼 중요하게 여겼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개념들을 중심으로 『맹자』에 대한 정약용의 주석서 『맹자요의(孟子要義)』를 통해 맹자의 공감 정치를 이해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칠극(七克)』의 우정론(友情論)

        엄국화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2022 횡단인문학 Vol.10 No.1

        Pantoja's 『Chilgeuk(七克)』 is a very important text for discussing the theory of friendship among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ing theory of friendship and Seohak(西學) was centered on Matteo Ricci's 『Gyowooron(交友論)』. However, as 『Chilgeuk』 was written later, it developed a deeper and more advanced discussion than 『Gyowooron』. The friendship discussed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not simply about the narrow and intimate relationship created by sharing time and space during the life cycle. in their discussion. The relationships dealt with are broad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practice of friendship was seen as ‘harmony’ and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y’. That is, friendship is understood by transferring it from an emotional level to an ethical level. To do this, we need to expand self-love to form an equal relationship, and the basis for this is ‘empathy’. And this orientation of friendship theory suggests the modernity that was growing in the intellectuals at the time. The discussion on friendship in 『Chilgeuk』 can be said to be the basis for the study of friendship the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at it influenced the basis of this discourse on friendship in the late Joseon Dynasty. 판토하(Pantoja)의 『칠극(七克)』은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우정론을 논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기존의 우정론과 서학(西學)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교우론(交友論)』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칠극』은 후대에 저술되면서 『교우론』보다 더 깊고 발전된 논의를 펼쳤다. 조선 후기의 지식인들이 논한 우정은 단순히 생애 주기 중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면서 만들어진 좁고 친밀한 관계에 대한 것이 아니다. 그들이 논의에서 다루는 관계는 폭넓은 사회적 관계이며, 우정을 실천하는 것은 ‘화합’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 보았다. 즉 우정을 감정적 차원에서 윤리적 차원으로 전이하여 이해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기애를 확장하여 평등한 관계를 형성해 나가야 하는데 그 기반에는 ‘공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우정론의 지향성은 당시 지식인들에게 움트고 있던 근대성을 시사하고 있다. 『칠극』에 나타난 우정에 대한 논의는 이러한 조선 후기의 우정 담론의 근간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우정론 연구의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다산(茶山) 정약용의 우정론: ‘교우(交友)’를 중심으로

        엄국화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3 기독교사회윤리 Vol.57 No.-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서 ‘교우(交友)’라는 단어가 여섯 번 등장하는데, 『소학주관(小學珠串, 1810)』과 『논어고금주(論語古今注, 1813)』에서 2회씩 그리고『대학공의(大學公議, 1814)』와 『맹자요의(孟子要義, 1814)』에서 1회씩 나타난다. 『소학주관』을 제외하고는 『중용(中庸)』을 제외한 사서(四書)에서 다산은 ‘교우’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다산의 우정에 관한 관점을 실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죽란시사(竹欄詩社)』의 ‘사약(社約)’의 내용과 『교우론』을 ‘덕’과 ‘의리’의 측면에서 비교한 다음, 다산의 사서 해설 중에서 언급된 ‘교우’와 관련 있는 내용들을 분석한 결과, 다산은 교우론에서 제시했던 이익과 손해 또는 덕과 의리의 우정을 넘어 ‘성의(誠意)’의 우정을 지향한 것을 사서의 해설에 나타난 ‘교우’의 용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n Yeoyudangjeonseo (與猶堂全書), the term ‘Gyowoo (交友)’ appears six times. It is found twice in Sohakjugwan (小學珠串, 1810), twice in Noneogogeumju (論語古今注, 1813), and once each in Daehakgongui (大學公議, 1814) and Maengjayoi (孟子要義, 1814). Except for Sohakjugwan, Tasan (茶山) uses the term ‘Gyowoo’ only in his interpretations of the Four Books (四書), excluding Joongyong (中庸). In this writing, first,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rule (社約) from the Juklansisa (竹欄詩社) and Gyowooron (交友論) in terms of ‘virtue (德)’ and ‘righteousness (義理),’ we can practically verify Tasan’s perspective on friendship. Then,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ntent related to ‘Gyowo’ mentioned in Tasan’s interpretations of the Four Books, it is evident that Tasan, beyond presenting the benefits and drawbacks or the virtue and propriety of friendship as outlined in “Gyowooron”, advocates for the friendship of ‘sincerity (誠意).’ This is confirmed through examples of ‘Gyowoo’presented in Tasan’s interpretations of the Four Books.

      • KCI등재

        다산(茶山)의 ‘소사상제(昭事上帝)’와 기독교 윤리에 관한 고찰

        엄국화 ( Uhm Kookhwa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기독교사회윤리 Vol.42 No.-

        동아시아 사상에도 성경의 핵심 강령인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에 비견되는 ‘경천애인(敬天愛人)’이라는 한자성어가 있다. 이 글에서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라는 명제 중에서 ‘하나님 사랑’이라는 의미와 유사한 ‘소사상제(昭事上帝)’를 동아시아 경전을 해석하는 데 중요한 기둥으로 삼은 다산 정약용의 생각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다산에 관한 연구는 ‘소사(昭事)’보다는 ‘상제(上帝)’에 집중되어 있었고, 최근에야 ‘소사’에 관심이 모아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소사상제’에서 그 대상이 되는 ‘상제’보다는 행위가 되는 ‘소사’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다산이 말하는 소사지학은 군자지학이다. 즉 소사지학은 단순한 개인의 신앙적인 차원이 아니라, 지도자의 사친과 사천을 시종으로 다루는 학문이다. 지도자의 학문이기 때문에 수신이 사천과 함께 중요하게 언급되고, 또한 타인에 대한 것도 소사지학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In East Asian thought, there is a Chinese idiom called “Gyungchunaein(敬天愛人)” which is comparable to “Love of God and neighbor” which is the core doctrine of the Bible. This article analyzes the idea of Tasan(茶山) Jung Yak-yong(丁若鏞), who made Sosasangje(昭事上帝) which is similar to the meaning of 'love of God and neighbor'. Former researches on Tasan had been focusing on the idea of 'Sangje(上帝)' rather than 'Sosa(昭事).', However, scholars have recently emphasized on the idea of 'Sosa(昭事)'. Thus, this article focuses on 'Sosa' which is an act rather than 'Sangje' which is the object of 'Sosa'. Tasan says that Sosajihak(昭事之學) is Gunjajihak(君子之學). In other words, Sosajihak does not simply mean a religious dimension, but the discipline that deals with the leader's way of Sachin and Sacheon. Based on this ethical foundation, this research makes a connection between Tasan and Christian ethics.

      • KCI등재

        다산 역학(易學)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적 해석

        엄국화 ( Uhm Kook-hwa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8 No.-

        다산은 『주역』을 ‘회과지서(悔過之書)’ 즉, ‘회개의 책’으로 규정했다. 이 논문에서는 ‘회(悔)’라는 『주역』의 점사보다는 다산의 해설 가운데 드러나는 기독교 윤리적 해석들을 다룬다. 가급적 상수학적 해석 방법은 생략하고 기독교 윤리적 해석과 관련된 다산의 해설 위주로 소개할 것이다. 그 범위는 64괘의 첫 번째 건괘부터 30번째 리(離)괘까지 해당하고, 그중 여섯 개의 괘를 중심으로 살핀다. 2장에서는 기독교윤리의 정초가 되는 신(神) 의식과 관련하여 동인(同人)괘와 송(訟)괘의 해석에 나타난 다산의 ‘상제(上帝)’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다룬다. 3장에서는 겸(謙)괘와 림(臨)괘를 해석을 통해 기독교윤리의 전형으로 나타나는 그리스도의 겸손과 성육신을 다룬다. 4장에서는 비(比)괘와 몽(蒙)괘의 해석을 통해 제시된 그리스도인의 실천 윤리를 다룬다. Dasan defined 『Jooyoek』 as a ‘hoegwajiseo(悔過之書)’, that is, ‘Book of repentance’. This research focuses on Christian ethical interpretations revealed in the Dasan’s commentary, rather than dealing with the fortunes of the “Jooyeok” of “hoe” related to the Dasan’s explanation related to Christian ethical interpretation. The range is from the first Geon(乾) of 64 divinations to the 30th of Li(離), and six of them are examined. Chapter 2 deals with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Dasan’s “Sangje(上帝)” in the interpretation of Dongin(同人) and Song (訟), in terms of the deity-consciousness that is the foundation of Christian ethics. Chapter 3 deals with the humility and incarnation of Christ, which is the epitome of Christian ethics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Gyeom(謙) and Lim(臨). Chapter 4 deals with the Christian practical ethics present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Bi(比) and the Mong(蒙).

      • KCI등재후보

        관상(觀想)기도와 관물(觀物)

        엄국화 ( Uhm Kook-hwa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3 기독교철학 Vol.38 No.-

        In existing research on contemplation (觀想), diverse inquiries have been made ranging from Christianity to Buddhism and Western ancient philosophy.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exploration of contemplation in relation to Confucianism.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substantial meaning carried by the term ‘gwan (觀)’ in Confucian philosophy, it is adequately justifiable to conceptualize contemplation within the academic category of Confucian studies. Moreover, given that our society is still situated within the magnetic field of East Asian traditions, it becomes possible to further specify the meaning of the term ‘contemplation,’ commonly used today. The term in Confucian studies that is closest to ‘contemplation’ is ‘gwanmul (觀物),’ a key concept in the philosophy of Sogangjeol (邵康節), a Song Dynasty philosopher from China.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gwanmul’ focusing on the core texts of Confucian philosophy, the ‘Book of Changes’ (‘I-ching’ or 周易), and Sogangjeol’s “Gwanmul” section. In Chapter II, the discussion revolves around the prayerful elements of the twentieth hexagram ‘Gwan (觀)’ in the ‘Book of Changes.’ In Chapter III, examples from the most philosoph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Changes,’ the “Commentary on the Appended Statements” (‘Gyesajeon’ or 繫辭傳), are used to explore the meaning of ‘observation’ in the context of natural science. In the final Chapter IV, the paper seeks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hilosophy of ‘gwanmul’ in Sogangjeol and the practices of contemplation in Buddhism or the prayerful aspects in Christianity.

      • KCI등재

        ‘좀비사회’를 위한 기독교사회윤리적 제언 - 휴먼포비아를 넘어서 공감과 환대

        성신형,엄국화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2 No.-

        본 연구는 현대를 좀비 사회로 진단하면서, 그 특징을 바우만의 액체근대론에기초하여 분석하였고, 그 윤리적 대안을 찾기 위해서 한국의 대표적 좀비 콘텐츠인 <킹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레비나스의 존재론적 모험과정을 통해서, <킹덤>의 주인공 이창의 존재론적 모험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민중의 현실에 대한 이창의 ‘공감,’ 그리고 자신을 희생하면서 타자에게 다가가는희생에 대한 결단은 ‘환대’의 구체적인 실천이었다. 이러한 분석과 함께 본 연구는 좀비 사회에 만연한 휴먼포비아를 극복하기 위한 윤리적인 대안으로 공감과환대를 제시하였다. 공감에 대한 접근은 동아시아 문화의 서(恕) 개념을 살펴보았고, 환대에 대한 레비나스의 철학적 성찰과 그에 대한 데리다의 윤리적 의미를함께 고찰하였다. 끝으로 데리다가 주장한 무조건적 환대의 가능성을 찾기 위해서 리쾨르의 사랑과 정의의 변증법적인 의미를 고찰하면서, 이를 환대와 공감의변증법적 실천으로 해석하였다. While diagnosing the modern age as a zombie society, this study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based on Bauman’s liquid modernity. In order to find an ethical alternative, the narrative of <Kingdom>, a representative zombie content in Korea, was analyzed. This study looked at the ontological adventure of Lee Chang, the main character of <Kingdom>, through the ontological adventure process of Levinas. Lee Chang’s ‘sympathy’ for the reality of people and his determination to sacrifice himself to approach others was a concrete practice of ‘hospitality.’ Along with this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sympathy and hospitality as an ethical alternative to overcome human-phobia prevalent in zombie society. For the approach to sympathy, the concept of Seo(恕) in the Ease-Asian tradition was examined, and Levinas’ philosophical reflection and Derrida's ethical meaning on hospitality were also considered. Finally, to find the possibility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as claimed by Derrida, the dialectical meaning of Ricoeur‘s love and justice was examined, which was interpreted as a dialectical practice of hospitality and sympathy.

      • KCI등재

        곽시징 <오륜가>의 우정론- 마테오 리치 『교우론』과 비교하여

        장세희,엄국화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4 No.-

        ‘붕우유신(朋友有信)’은 ‘우정(友情)’ 또는 ‘우도(友道)’가 수평적 관계에서 윤리의식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우리의 삶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18세기를 지나면서 사색당파의 고착, 성리학적 개념 해석의 정밀화,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1552~1610) 『교우론(交友論)』의 유입 등을 계기로 우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는데, 17세기 말 ‘회니시비(懷尼是非)’는 “누가 진정한 벗이며, 벗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불러온다. 붕비(朋比)의 소용돌이에 놓여있던 곽시징(郭始徵, 1644~1713)은 <오륜가(五倫歌)>를 통하여 답을 모색하였다. 곽시징이 생각한 우정의 본질은 “책선(責善)을 통한 인의 보완[輔仁]”이었다. 그리고 <오륜가>의 내용은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과 상당 부분 일치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우정론이 ‘담론화’되기 시작한 지점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두 글에서는 모두 우정을 ‘윤리’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우정을 “좋은 사람 되기” 위한 과정이라는 점을 강조하는데, 이는 이후 전개된 우정론의 핵심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