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내장 수술 시 첫 번째 안의 실제굴절오차의 반영률에 따른 두 번째 안의 실제굴절오차

        어두리(Doo Ri Eo),임동희(Dong Hui Lim),현주(Joo Hyun),최재환(Jae Hwan Choi),이민규(Min Gyu Lee),정의상(Eui Sang Chung),정태영(Tae Young Chun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양안 초음파 수정체유화술 및 후방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실제굴절오차를 분석하여 첫 번째 수술 후의 실제 굴절오차를 두 번째 수술 시에 어느 정도 반영하여야 실제굴절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양안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24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수술 전에 산출된 예상굴절력의 구면렌즈 대응치와 술 후의 실제굴절력의 구면렌즈 대응치를 비교하였고, 첫 번째 수술 시의 실제굴절오차의 반영률을 계산하여 반영률에 따른 두 번째 수술 시의 실제굴절오차의 범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 번째 수술 시의 IOL Master?潁? 이용하여 Sanders-Retzlaff-Kraff (SRK)-T, SRK II 공식으로 계산된 예상굴절력과 실제굴절력의 차이가 0.5D보다 큰 경우에 그 차이의 50-60%, 40-50%를 반영하는 것이 두 번째 수술 시의 실제굴절오차를 0.5D 이내로 줄일 수 있는 확률이 제일 높았다(75%, 100%). 결론: 양안 백내장 수술 시, 첫 번째 수술 시의 실제굴절오차를 40-60% 반영하는 것이 두 번째 수술 시의 실제굴절오차를 더 줄일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flection rate of the first eye in order to minimize the real refractive error in the second eye in bilateral consecutive cataract surgerie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248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sequential uncomplicated phacoemulsification and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Predicted spherical equivalent was compared with post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and the range of real refractive error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reflection rate of the first eye. Result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predicted spherical equivalent and post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was greater than 0.5 D as calculated with the formula of Sanders-Retzlaff-Kraff Theoretical (SRK)-T and SRK II, application of 50-60%, 40-50% of the difference of the first eye was high probability to reduce the second-eye real refractive error (75%, 100%). Conclusions: Application of 40-60% of the real refractive error in the first-eye can minimize the real refractive error in the second-eye in bilateral sequential cataract surgeries.

      • KCI등재

        백내장 수술에서 수정체낭원형절개와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및 경사가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

        어두리(Doo Ri Eo),임동희(Dong Hui Lim),현주(Joo Hyun),이주연(Ju Yeon Lee),임한웅(Han Woong Lim),오재응(Jae Eung Oh),정의상(Eui Sang Chung),정태영(Tae Young Chun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4

        목적: 백내장 수술 후 수정체낭원형절개와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및 경사도가 술 후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 52명 62안을 대상으로 술 전과 술 후 3개월의 나안 및 교정시력, 현성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술 후 3개월에 전안부 사진을 촬영하여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정도를 분석하고, 전안부단층촬영을 하여 인공수정체의 경사도를 분석하여, 술 후 나안시력, 교정시력 및 고위수차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술 중 수정체낭원형절개의 크기 및 중심이탈을 측정하여 술 후 인공수정체의 위치 변화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술 중 평균 수정체낭원형절개의 크기는 5.40 ± 0.51 mm (4.12-6.24 mm), 중심이탈은 0.30 ± 0.19 mm (0.09-1.21 mm)였으며, 술 후 평균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은 0.23 ± 0.15 mm (0.00-0.71 mm), 경사도는 1.43 ± 0.73° (0.00-4.22°)로 측정되었다. 술 중 수정체낭원형절개의 크기 및 중심이탈 정도는 술 후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과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나(p=0.01, p<0.001), 술 후 인공수정체의 경사도와는 관련이 없었다(p=0.69, p=0.52). 술 후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및 경사도는 술 후 시력, 난시 및 고위수차와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술 중 수정체낭원형절개의 크기 및 중심이탈은 술 후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에 영향을 미치지만,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과 경사도는 술 후 임상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hexis, intraocular lens (IOL) decentration and tilt on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We reviewed 62 eyes of 52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and measured the uncorrected visual acuity,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manifest refraction preoperatively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IOL decentration on anterior segment photography and IOL tilt on anterior optical coherent tomography were analyzed and correlations of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y,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higher order aberrations were evaluated. In addition, we inspected the relationship of size and decentration of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hexis (CCC) intraoperatively with the change in IOL position postoperatively. Results: The average size of CCC was 5.40 ± 0.51 mm (4.12-6.24 mm) and the average decentration of CCC was 0.30 ± 0.19 mm (0.09-1.21 mm) intraoperatively. The average decentration of IOL was 0.23 ± 0.15 mm (0.00-0.71 mm) and the average IOL tilt was 1.43 ± 0.73° (0.00-4.22°) postoperatively. Intraoperative CCC size and decentration were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IOL decentration (p = 0.01, p < 0.001), but not with IOL tilt (p = 0.69, p = 0.5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OL decentration and tilt with postoperative visual outcomes and higher order aberrations. Conclusions: The CCC size and decentration can affect the IOL decentration, but IOL decentration and tilt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linical outcomes after cataract surgery.

      • KCI등재

        이식편대숙주반응으로 장기간 전신스테로이드 투여 후 발생한 소아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1예

        어두리(Doo Ri Eo),한종철(Jong Chul Han),기창원(Chang Won Kee)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이식편대숙주반응으로 장기간 전신 스테로이드를 투여 받은 소아에서 발생한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0세 남자 환아가 지속적인 두통, 구역감으로 뇌압 상승에 의한 시신경 유두부종 유무 검사를 위해 안과에 내원하였다. 환아는 8년 전 재생불량성빈혈을 진단 받고 같은 해에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한 폐의 이식편대숙주반응으로 2007년 4월부터 2015년 4월까지 8년 동안 총 4,000 mg 정도의 전신스테로이드(oral prednisolone)를 투여 받았다. 내원 당시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0.8, 좌안 0.5, 안압은 골드만 압평 안압계로 우안 42 mmHg, 좌안 43 mmHg로 측정되었다. 시신경 유두비는 우안이 0.8, 좌안은 0.7로 커져 있었고, 양안의 상하측 시신경유두테가 얇아지는 등 녹내장성 시신경 변화 소견이 관찰되었다. 안압하강제를 점안하였으나 안압이 정상범위로 조절되지 않아 양안의 미토마이신 C를 사용한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전신스테로이드 투여를 받는 소아환자에서도 그 투여기간이 길 경우에 안압이 상승되고, 녹내장 발생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정기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steroid-induced glaucoma in a child who was treated with systemic steroids for a long period due to graft-versus-host disease. Case summary: A 10-year-old male was referred to our ophthalmologic clinic for examination of papilledema due to persistent headache and nausea. He was diagnosed as aplastic anemia 8 years prior and took approximately 4,000 mg of oral prednisolone for 8 years from April 2007 to April 2015 for treatment of lung graft-versus-host disease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i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8 (decimal) in the right eye, 0.5 in the left eye and intraocular pressure (IOP) measured using a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was 42 mm Hg in the right eye and 43 mm Hg in the left eye. His cup-to-disc ratio was 0.8 in the right eye and 0.7 in the left eye. Additionally, superior and inferior neuroretinal rim thinning was present in both eyes. Despite using IOP-lowering agents, IOP was not controlled. However, after trabeculectomy with mitomycin C in both eyes, IOP became normalized. Conclusions: In cases of pediatric patients treated with systemic steroids for a long period of time, regular observation is necessary to prevent IOP elevation and steroid-induced glauc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