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상급식에 대한 부산지역 고등학생의 인식 및 급식만족도

        양희선 ( Heesun Yang ),박영일 ( Young Il Park ),주나미 ( Nami Joo ) 대한영양사협회 2021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perception of the free school meal program, satisfaction of school meal, and eating habits of free and paid school meal program students in the Busan area. Between 20 to May 2020, a total of 350 students were researched, of which 177 belonged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free school meal program), and 173 were from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paid school meal program). 96.0% free school meal program students and 89.0% paid school meal program students responded to the necessity of a free school meal program,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05). All question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free school meal program, which were responded to by more than 3 points, were considered positive. ‘Decline of the school meal’s quality’ had the maximum response, from 64.4% and 76.4% free and paid school meal program students, respectively,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P<0.05). Paid school meal program students wasted significantly more school food than the free school meal program students (P<0.001). ‘Not delicious’ was responded by 56.0% free school meal program students and 50.0% paid school meal program students. Evaluating satisfaction of the food quality and service categories was determined to be higher amongst free school meal program students than the paid school meal program students (P<0.05). Considering our study data, we propose that with the gradual expension of free school meal programs, inclusion as part of the education system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proper eating habits, and compulsory education will help improve studen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 KCI등재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양희선(Heesun Yang),강성주(Seong-Joo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의 과학적 공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인 ‘과학 수업에서의 공감 요인’ (EfSC; Chun et al., 2018)가 초기 및 후기 청소년에서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타인과의 과학적 공감 및 문제 상황에 대한 과학적 공감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검사 도구를 초기 청소년인 215명의 중학생과 후기 청소년인 473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검사도구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 및 다중 그룹 분석이 사용되었다. 또한 EfSC의 공감적 특성측면은 대인반응지수 (IRI; Davis, 1980)로 과학적 특성 특면은 과학 과정 기술 시험 (TSPS: Kwon & Kim, 1994)과의 상관 관계를 통해 탐색되었다. 결과 EfSC의 대부분의 요인이 IRI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여 타당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TSPS와의 상관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아 EfSC의 과학적 특성에 대한 한계를 나타냈습니다. 연령 및 성별에 기반한 집단 특성 분석에서는 타인과의 공감과 관련된 요인들이 연령 및 성별에 영향을 받았으며, 문제 상황에 대한 공감과 관련된 요인들은 연령과 성별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받았다. 추가로 여성 및 고등학생들이 다른 사람과의 공감 능력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였으며, 특이점으로 고등학생 중 남성들은 문제 상황에 대한 공감 능력이 더 뛰어났으며 이를 분산 분석 (ANOVA) 결과가 뒷받침했다. 결론 본 연구는 EfSC가 청소년기 동안 과학적 공감을 평가하는 데 적합한 도구인지에 대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으며 연령 및 성에 따른 공감 요인의 미묘한 차이는 과학적 공감 평가에서 발달 및 성 관련 변동 사항을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Chun et al., 2018) as a measure for scientific empathy in early and late adolescents. Methods The instrument consists of scientific empathy with others and empathy with the problem situ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on 215 middle school students (early adolescents) and 473 high school students (late adolesc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employed to validate the instrument. Additionally, domain-general aspects of EfSC were explored by correlating empathetic factors with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Davis, 1980)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with the Test of Science Process Skills (TSPS: Kwon & Kim, 1994).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most factors of EfSC and IRI, indicating convergent validity. However, a relatively low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TSPS, suggesting a domain-specific nature of EfSC. Analysis of group features based on age and gender showed that factors related to empathy with others were influenced by age and gender, while factors related to empathy with problem situations wer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of age and gender. Further exploration indicated that females and high school students exhibited superior abilities in empathizing with others. In contrast, males, especially high school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abilities in empathy with problem situations. An analysis of variance (ANOVA) supported these findings.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ongoing discourse on whether EfSC is a suitable instrument for assessing scientific empathy across the adolescence span. The nuanced differences observed in empathy factors based on age and gender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developmental and gender-related variations in assessing scientific empathy.

      • KCI등재후보

        반도체 재료의 격자열전도도 분석

        임종찬,양희선,김현식,Lim, Jong-Chan,Yang, Heesun,Kim, Hyun-Sik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20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7 No.4

        열전소재의 격자열전도도 저감은 열전성능 증대를 위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전체 열전도도에서 다른 열전도도 기여분을 제외하는 방법으로만 격자열전도도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격자열전도도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을 간단한 작업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전자/홀에 의한 열전도도 기여분 (모든 소재 적용)과 쌍극 전도에 의한 기여분 (작은 밴드 갭 소재 적용)을 정확하게 계산해야만 격자열전도도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전자/홀에 의한 기여분을 계산하기 위해 필수적인 로렌츠 숫자 계산법 (싱글 파라볼릭 모델링 및 간단한 식 이용)과 쌍극 전도에 의한 기여분 계산법 (투 밴드 모델링) 또한 소개한다. 격자열전도도의 정확한 분석은 격자열전도도 저감을 위한 여러 결함 제어 전략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강력한 분석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Suppressing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of thermoelectric materials is one of the most popular approach to improve their thermoelectric performance. However, accurate characterization of suppressed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is challenging as it can only be acquired by subtracting other contributions to thermal conductivity from the total thermal conductivity. Here we explain that electronic thermal conductivity (for all materials) and bipolar thermal conductivity (for narrow band gap materials) need to be determined accurately first to characterize the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accurately. Methods to calculate Lorenz number for electronic thermal conductivity (via single parabolic model and using a simple equation) and bipolar thermal conductivity (via two-band model) are introduced. Accurate characterization of the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provides a powerful tool to accurately evaluate effect of different defect engineering strategies.

      • KCI등재

        거꾸로 학습의 교실수업을 위한 과학과 탐구 수업모형의 탐색적 연구

        김지선(Kim Jisun),양희선(Yang Heesun),강성주(Kang Seo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거꾸로 학습의 교실 적용을 위한 탐구 수업 절차를 개발하여, 거꾸로 수업을 설계하는 과학과 교사들에게 실질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본 틀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탐구의 목적과 추론방법을 기초 로 총 6개의 탐구 수업모형이 선정되었다. 각 수업모형의 거꾸로 교실 수업 절차 개발을 위해 각 수업모형의 수업 절차를 분석하고, 수업모형별 거꾸로 교실 수업 절차를 제시하였다. 각 수업모형의 거꾸로 교실 수업 절차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중학 교 1학년 과학의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 단원을 선정하여 개발한 절차를 기반으로 자료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수업모형에 따른 거꾸로 교실 수업 절차에 대해 현직 교사 10인을 대상으로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조사결과에서 도출된 개선점 을 참고로 하여 자료를 최종 수정·보완하였으며, 개발된 수업 절차가 과학 교과에서 거꾸로 교실 수업을 할 때,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이루어지기에 적절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lipped learning Inquiry instructional procedures for science class and to provide a basic framework to give practical help for science teachers who design flipped learn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total of six inquiry instruction mode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urpose of the inquiry and the scientific inference. In order to develop the flipped classroom lessons procedure of each instructional model, the instructional procedure of each inquiry instructional model is analyzed and the flipped learning Inquiry instructional procedure for each instructional model is presented. In order to help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each instructional model, we applied the topic of middle school sc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and volume of a gas’, to the procedure developed by our study. The validity of the flipped classroom procedure was examined through a survey of 10 teachers. The data were finally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improvement points derived from the survey. And it wa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improved procedures are appropriate for learner-centered classroom teaching in the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Exploring the Types and Processes of Prototype in Undergraduate Students’ Chemistry Laboratory

        윤지현(Yoon, Jihyun),박은애(Park, Eun-AE),양희선(Yang, Heesun),강성주(Kang, Seong-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위한 디자인 사고 전략에 대한 적용을 위하여, 디자인 사고의 여러 단계 중 프로토타입 단계에 대하여 그 세부 프로세스와 속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1월부터 12월까지 22명의 학부 학생들에게 화학실험 내용과 관련된 디자인 사고의 과정이 필요한 문제를 제공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 중 프로토타입 단계의 구체적인 특징과 세부적인 과정은 학생들이 작성한 보고서와 인터뷰 후 결과를 토대로 자료 수집 이후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spa prototype , make-over prototype , communication-sharing prototype 이 학생들의 활동에서 확인되었다. 아이디어 생성과 아이디어 개발단계에서의 프로토타입 완성도과 각 단계의 순환 속도에 따라 프로토타입의 고유한 속성 및 프로세스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탐색된 각 프로토타입에 대한 교육적 함의가 논의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detailed processes and attributes of the prototype phase among the phases of design thinking throughout the application of the design thinking strategy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22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design thinking-based inquiry related to the content of chemical laboratory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5.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processes in the prototype phase during this activity were analyzed after the data collection based on the reports written by students and post-interview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pa prototype , make-over prototype , and communication-sharing prototype were derived from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s. Distinctive attributions and processes in the prototype were confirmed according to the prototype fidelity in idea generation and development phases and the circulation speed of each phas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ach prototype explored as a result of this study need to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