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산부의 과숙임신에서 유도분만 시 제왕절개분만율이 증가와 관련된 위험인자

        지경석 ( Kyung Suk Chi ),김준수 ( Jun Su Kim ),장은정 ( Eun Jeong Jang ),심재철 ( Jae Chul Sim ),양회생 ( Hoi Saeng Yang ),이형종 ( Hyung Jong Lee ),하준영 ( Jun Young Ha ),황지영 ( Jee Young Hwang ),김도균 ( Do Gyun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1

        목적 : 본 연구는 미산부에서 과숙임신으로 인한 선택적 유도분만 시 분만 방법 결과와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임신 41 완전주수 이후에 선택적 유도분만을 위해 입원한 미산부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련된 인자들로 연령, 체질량지수, 임신주수, Bishop 점수, 출생체중, 태아 두위, 태아 성별을 조사하였다. 결과 : 산모의 평균연령은 제왕절개분만군에서 27.59±2.57세이고, 질식분만군에서 26.99±2.61세였으며, 임신주수는 제왕절개분만군에서 평균 290±3일(41+3주), 질식분만군에서 289±2일(41+2주)이었다. 임신 전 평균 BMI는 제왕절개분만군에서 20.42±2.36 m2/kg, 임신 후 26.70±2.82 m2/kg로 증가하였으며, 질식분만군은 19.92±2.05 m2/kg에서 25.75±2.67 m2/kg로 증가하였다. 분만 후 태아 몸무게는 제왕절개분만군에서 3460.31±358.22 g이였으며, 질식분만군에서 3363.95±361.22 g이였다. 태아 두위는 제왕절개군에서 34.59±1.18 cm이고, 질식분만군에서 34.03±1.33 cm였다. 제왕절개군 127명 중 38명(29.9%)의 분만된 신생아에서 합병증(들)으로 출생 후 바로 입원치료 했으며, 질식분만군 204명 중 24명(11.8%)에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산모의 체중이 증가할수록, 태아의 몸무게 및 두위가 클수록 선택적 유도분만 후 제왕절개분만의 빈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태아의 유병율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러므로 선택적 유도분만 전 산과의사는 적절한 방법과 충분한 경험을 토대로 제왕절개분만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평가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sk of cesarean section in nulliparous women who undergone induction at postterm pregnancy. Methods : The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1997 to March, 2005 by reviewing 331 nulliparous patients more than 41 weeks` gestation delivered after induction at our Hospital. The evaluated variables to assess the risk of cesarean section were maternal age, body mass index (BMI), gestational age (GA), Bishop scores (BS), fetal body weight (FBW), fetal head circumference (FHC) and fetal sex. t-test and x2-test were used to compare these categorical variables. Results: The study included 331 nulliparous singleton pregnant women undergoing elective induction for postterm pregnancy: 127 (38.4%) delivered babies by cesarean section due to induction failure, progression failure and fetal distress, whereas 204 (61.6%) delivered vaginally. The mean maternal ages were 27.59±2.57 in cesarean delivery group and 26.99±2.61 in vaginal delivery group. The average values of BMI at postterm in cesarean and vaginal delivery groups were 26.70±2.82 and 25.75±2.67 kg/m2. GA was 41.36±0.27 weeks in cesarean delivery group, whereas 41.20±0.19 weeks in vaginal delivery group. The average FBW and FHC were 3460.31±358.22 g and 34.59±1.18 cm in cesarean delivery group, compared to 3363.95±361.22 g and 34.03±1.34 cm in vaginal delivery group. Conclusion : The BMI, FBW and FHC have linked to the risk of cesarean delivery in nulliparous women who underwent elective induction. Thus, these information would provide the useful tools to assess the risk of cesarean section in postterm nulliparous patients for planning an in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