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윗눈꺼풀에 국한하여 발생한 신경집종 1예

        양헌(Heon Yang),노주헌(Joo Heon Roh)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1

        목적: 눈꺼풀에 국한하여 발생하는 신경집종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콩다래끼와 유사한 형태로 발생한 증례가 있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요약: 54세 남자가 재발된 우안 윗눈꺼풀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환자는 2년 전 개인 안과에서 콩다래끼로 진단받고 절개술을 시행 받은 병력이 있으며, 종괴는 절개 후 재발하여 2년 동안 통증 없이 크기가 천천히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내원 당시 우안 윗눈꺼풀 가운데에 4 × 3 mm의 단단한 비색소성 눈꺼풀 종괴가 관찰되었으며, 신경섬유종증과 같은 전신질환은 없었다. 진단을 위해 국소마취하에 종괴를 절제 생검하였으며, 종괴는 경계가 분명하였고 주변과 잘 박리되었다. 절제된 종괴는 조직병리검사상 방추세포들이 울타리 배열의 베로케이 소체를 구성하는 모습을 보였고, 면역조직화학염색상 S-100 단백질에 대하여 미만성의 강한 양성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소견으로 눈꺼풀에 발생한 신경집종으로 진단하였다. 결론: 눈꺼풀에 발생하는 신경집종은 매우 드물지만 콩다래끼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어 간과하기 쉽다. 따라서 본 증례와 같이 불완전한 절제 후 다시 느리게 자라나거나 악성 변형이 의심되는 종괴는 감별진단 시 신경집종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o report a rare case of upper eyelid schwannoma presenting as a chalazion. Case summary: A 54-year-old male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a slowly growing, painless recurred mass located in the middle area of the right upper eyelid margin. Surgical incision had been performed on a similar mass two year previous, although no histological analysis had been performed. On examination, a 4 × 3-mm-sized, firm, nonpigmented mass was palpable in the right upper eyelid, and no signs of neurofibromatosis were present elsewhere. The lesion was initially thought to be an eyelid mass, so we performed an excisional biopsy under local anesthesia. The lesion was easily isolated from the surrounding tissue and was excised completely. Histopathologically, the excised mass showed a compact arrangement of spindle cells forming palisades with Verocay bodies (Antoni A patterns). Immunohistochemistry revealed diffuse and strong S-100 protein positivity. These findings resulted in the diagnosis of eyelid schwannoma. Conclusions: Because of its rarity and solitary feature, eyelid schwannoma can be confused with chalazion. Thus, ophthalmologists should consider schwannoma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 slowly growing, painless recurred mass or a lesion with malignant transformation after incomplete excision.

      • KCI등재
      • KCI등재

        첫 원시교정안경 착용 후 내사시가 교정되기까지 오래 걸린 굴절조절내사시의 임상양상

        전혜민(Hye Min Jeon),양헌(Heon Yang),김상원(Sang Won Kim),김선아(Sun Ah Kim)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5

        목적: 원시교정안경을 생애 처음으로 착용 후 내사시가 교정되기 시작한 기간에 따른 굴절조절내사시 환아들의 임상양상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굴절조절내사시 환자 75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고, 최소 2년 이상 관찰한 경우만 포함하였다. 굴절검사결과, 내사시각, 약시 유무, 안경착용 2개월 안에 8 PD 이내로 교정된 군과 오랜 경과관찰이 필요했던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첫 안경 착용 나이는 평균 4.74 ± 2.34세, 경과관찰 기간 50.17 ± 14.18개월, 안경교정 전 내사시는 원거리 25.42 ± 10.07 PD, 근거리 27.72 ± 11.45 PD였다. 조절마비굴절검사 우안 +4.86 ± 2.41D, 좌안 +5.05 ± 1.06D, 8명(10.67%)은 +2D 이하였다. 안경착용 후 8 PD 이내로 교정되기까지 2개월 이내 61명(81.3%), 2-6개월 6명(8%), 6-12개월 4명(5.3%), 12개월 이후 4명(5.3%)이었다. 2개월보다 더 오랜 경과관찰이 필요했던 14명(18.7%)에서 원시는 더 적었고(+4.02D vs. +5.17D), 내사시는 원거리, 근거리 모두 유의하게 심했으며(원거리 30.79 ± 10.79 PD vs. 24.17 ± 9.56 PD, p=0.03, 근거리 34.00 ± 14.20 PD vs. 26.25 ± 10.31 PD, p=0.02), 약시의 빈도가 더 높았다(71.4% vs. 47.5%). 결론: 2개월 이후에도 내사시가 8 PD 이내로 교정되지 않더라도, 환아의 사시각, 원시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긴 기간 동안 경과관찰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5;56(5):764-770> Purpose: To report clinical aspects of children diagnosed with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after wearing their first glasses to correct hyperopia accompanied with esodeviation. Methods: The present study included 75 children followed up for at least 24 months. Age,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 angle of deviation and presence of amblyopi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uration between first wearing glasses and control of esotropia within 8 PD (≤2 months vs. >2 months). Results: The mean age was 4.48 ± 2.08 years and mean follow-up was 50.17 months. Initial deviation angle without glasses was 25.43 ± 10.07 PD at far, 27.72 ± 11.45 PD at near, spherical equivalent was +4.86 ± 2.41 D in right eyes, +5.05 ± 1.06 D in left eyes and 8 of 75 patients (10.67%) had ≤2 D of hyperopia. Esotropia was controlled within 8 PD with hyperopic glasses in 61 of 75 children (81.3%) within 2 months, 6 (8%) within 3-6 months, 4 (5.3%) within 6-12 months and 4 (5.3%) after 12 months. In comparison, esotropia was controlled ≤2 months in 61 of 75 children (81.3%); 14 of 75 children (18.7%) requiring >2 months had less hyperopia (+4.02 D vs. 5.17 D), more severe esodeviation both at far (30.79 ± 10.79 PD vs. 24.17 ± 9.56 PD, p = 0.03) and at near distance (34.00 ± 14.20 PD vs. 26.25 ± 10.31 PD, p = 0.02) and higher initial amblyopia prevalence rates (71.5% vs. 47.5%). Conclusions: Several patients needed longer follow-up until esotropia was controlled within 8 PD after wearing hyperopic glasses considering the amount of hyperopia and angle of esodevi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5):764-770

      • KCI등재

        세 가지 유형의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 비교

        안소은(Soh Eun Ahn),안동섭(Dong Seob Ahn),양헌(Heon Yang),윤희성(Hee Seong Yoon)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7

        목적: 한 번도 치료 받지 않은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전형적삼출성나이관련황반변성(typical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AMD]), 결절맥락막혈관병증(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망막혈관종성증식(retinal angiomatous proliferation, RAP) 세 가지 하위분류에 따른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치료 기왕력이 없는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 153명 15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깊이증강모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진단 시점에서의 중심하 맥락막두께와 중심망막두께를 측정하고 망막내낭포액, 망막하액을 비롯한 구조적 특징들을 확인하였다. 전체 환자군을 전형적 nAMD, PCV, RAP 세 그룹으로 나누고 특징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153안 중에서 typical nAMD가 74안, PCV가 55안, RAP가 24안이었다. 연령과 최대교정시력은 그룹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심하 맥락막두께는 PCV가 가장 두껍고, typical nAMD, RAP 순서로 얇은 두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RAP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두꺼운 중심망막두께(p=0.004)와 높은 빈도의 망막내낭포액의 존재(p<0.001)를 보였다. 결론: 삼출성나이관련황반변성은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을 보였다. PCV는 가장 두꺼운 맥락막두께를 보였고, RAP는 가장 얇은 맥락막두께와 두꺼운 중심망막두께, 그리고 높은 빈도의 망막내낭포액을 보였다. 삼출성나이관련황반변성을 유형별로 감별진단하는 데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 분석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7):1093-1101> Purpos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eyes with treatment-naïve typical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ypical nAMD),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and retinal angiomatous proliferation (RAP). Methods: One hundred fifty-three eyes newly diagnosed with exudative AMD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All study ey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ubtypes: typical nAMD, PCV, and RAP.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SFCT) was measured using enhanced depth imag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EDI-OCT). Central macular thickness (CMT) and other OCT features including intraretinal cystoid fluid and subretinal fluid were also evaluated in all eyes. SFCT, CMT and other OCT features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subtypes of exudative AMD. Results: Seventy-four eyes with typical nAMD, 55 eyes with PCV, and 24 eyes with RAP were included. SFCT was significantly thickest in PCV and thinnest in RAP (p < 0.001). RAP showed the thickest CMT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intraretinal cystoid fluid (p = 0.004, p < 0.001, respectively).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exudative AM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OCT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three subtypes. Identification of OCT characteristics could help differentiate the subtypes of exudative AMD.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7):1093-11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