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영재의 비유 만들기 과정에서 나타난 심상적 사고의 특성

        양찬호,박원,김유정,최길순,노태희,Yang, Chan-Ho,Park, Won,Kim, You-Jung,Choi, Gil-Soon,Noh, Tae-Hee 대한화학회 2011 대한화학회지 Vol.55 No.5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imagery thinking in the processes of generating analogy of seventh grade science-gifted students in terms of the information-processing of imagery.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science-gifted students' information-processing of imagery in the processes of generating analogy consisted of image generation, image operation, and image representation. The types of imagery used by science-gifted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perception imagery, memory imagery, and imagination imagery,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information-processing of imagery. In the bases of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information-processing model of imagery by the types of imagery used in generating ana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implication to develop effective methods for a strategy of generating analogy emphasizing the interaction between analogy thinking and imagery thinking which promotes imagery think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과학영재들의 비유 만들기의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심상적 사고의 특성을 심상적 정보처리 과정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들의 비유 만들기 과정에서 이미지 산출, 이미지 조작, 이미지 표현의 심상적 정보처리 과정이 나타났다. 또한, 과학영재들은 비유 만들기 과정에서 지각 심상, 기억 심상, 상상 심상의 세 가지 유형의 심상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용한 심상의 유형에 따라 심상적 정보처리 과정에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비유 만들기에서 활용한 심상의 유형에 따른 심상적 정보처리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비유적 사고와 심상적 사고의 상호 작용을 강조함으로써 과학영재의 심상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비유 만들기 전략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과학 수업에서 비유의 사용 방식이 학생들의 개념학습에 미치는 영향

        양찬호 ( Chan Ho Yang ),김경순 ( Kyung Sun Kim ),노태희 ( Tae 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0 No.8

        이 연구에서는 과학 개념학습에서 비유의 사용 방식이 학생들의 비유 추론 능력에 따라 개념 이해와 대응 관계의 이해 및 파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비유 사용 방식에 따른 대응 오류의 양상을 비교하였다. 또한, 역할놀이 비유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152명을 두 집단에 배치하여 처치 집단에서는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에 대한 체험 중심의 역할놀이 비유 수업을, 비교 집단에서는 교사 설명 중심의 비유 수업을 진행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비유 추론 능력에 관계없이 역할놀이 비유 활동을 사용한 수업이 교사 설명 중심의 비유 수업보다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효과적이었으며, 목표 개념과 비유물의 대응 관계를 오래 기억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유 사용 방식에 따라 학생들이 범하는 대응 오류의 양상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역할놀이 비유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대응 관계 이해도 파지 검사에서 대응 오류의 빈도가 더 낮았다. 학생들은 역할놀이 비유 활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었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활동에 대한 흥미도가 높았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the method of using analogy on concept understanding, mapping understanding, and mapping error by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level. We also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 of a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Seventh graders (N=152) at a middle school were assigned to the comparison and the experimental groups.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about `the relation between pressure and volume of gas` with experience-based role-playing analogy, while those of the comparison group were taught with explanation-centered analogy.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struction using role-playing analogy was more effective in concept understanding and retention of mapping understanding than explanation-centered analogy instruction, regardless of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had fewer mapping errors than those of the comparison group. Howe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ypes of mapping errors by the method of using analogy.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swered that they did not hav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and they actively engaged in the activity. They perceived that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was interesting.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과학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간언어의 유형 및 과학 언어에 대한 이해수준 변화에 따른 중간언어의 특징

        양찬호 ( Chan Ho Yang ),김지영 ( Ji Yeong Kim ),신필여 ( Pil Yeo Shin ),위햇님 ( Hat Nim We ),신명환 ( Myung Hwan Shin ),강도영 ( Do Young Kang ),김소요 ( So Yo Kim ),민현식 ( Hyun Sik Min ),김찬종 ( Chan Jong Kim ),노태희 ( Tae H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5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물리변화와 화학변화를 나타내는 현상을 구분하고 설명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중간언어를 집단토의 활동과 사후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사용한 언어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중간언어의 유형을 분류하고, 과학 언어에 대한 이해수준의 변화에 따른 중간언어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중간언어는 그 의미와 형태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중간언어 유형 1은 과학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과학 언어와 일상 언어를 함께 사용하는 언어 사용 방식으로, 과학 언어에 대한 이해수준 변화와 관련 없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언어 유형 2는 과학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일상 언어만을 사용하는 언어 사용 방식으로, 과학 언어에 대한 이해 가 높은 학생들에게서만 나타났다. 중간언어 유형 3은 언어를 다중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언어 사용 방식으로, 과학 언어에 대한 피상적 이해를 지닌 학생들에게서 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terlanguage of ninth graders that was used to classify and explain the phenomena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matters in a group discuss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patterns of the interlanguage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through the change of their understanding of science language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rlanguage of the students are classified into the three patterns according to its meaning and form. Pattern 1 is science language used in combination with everyday language to express scientific meaning. This was used by most studen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cience languages. Pattern 2 is everyday language used to show scientific meaning, which was used by students who had better understanding of science languages than the others. Pattern 3 is using languages with multiple meaning, which was mainly used by students who have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science language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19세기 Wilhelm Loehe의 사회봉사 연구: 그의 생애와 사상을 중심으로

        양찬호 ( Chan Ho Yang )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4 교회와 사회복지 Vol.27 No.-

        본 논문은 19세기 개신교 사회봉사의 내적선교 주창자중 한 명인 Wilhelm Loehe(1808-1872)를 연구하면서, 교회를 통한 사회봉사의 필요성을 언급하고자 한다. 오늘날 교회가 사회봉사 영역을 강조하는 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뢰헤의 삶과 사상을 통해 이미 19세기에 신학적, 실천적으로 정립된 것임을 알수 있다. 먼저, 교회가 사회문제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뢰헤의 생애와 사상을 통해 바라보았다. 뢰헤의 시대인 19세기와 오늘날 21세기는 시대적인 차이가 존재하지만, 변하지 않는 복음의 본질을 이해하고, 교회 사역 즉, 교회사회봉사를 행하는 것은 동일하며 중요하다. 여기서 사회봉사 영역이 교회 사역으로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국가적 차원에서 행하는 사회봉사는 체계적이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많은 재원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그래서 교회의 사회봉사 영역을 비전문적, 비효율적이라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가 세상에서 소금과 빛임을 진정으로 인식한다면, 사회봉사를 교회의 의사결정으로 판단해서 행하는 것이 아니라, 영적인 차원에서 사회봉사를 이끌어내는 것임을 교회를 통해 알고 행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우리는 기독교인으로서 교회를 통한 사회봉사를 강조한 뢰헤의 가르침을 숙고해 볼 필요가 있다. Hauptthema des Artikel vom Titel “Die Diakonische Forschung im 19 J.h bei Wilhelm Loehe: Mit seinem Leben und Gedanken” ist es, dass bei Loehe die Sozialarbeit in der Kirche verwurzelt und aufgebaut wurde. Wilhelm Loehe wird oft in einem Atemzug zusammen mit Johann Hinrich Wichern und Theodor Fliedner als einer der Begruender der inneren Mission im 19 J.h genannt. Doch Loehe war Wichern abhold und bemaengelt, dass dessen Plan zu Werkgerechtigkeit fuehren wuerde, da die Werke ueber den Glauben herrschen wuerden. Natuerlich war Loehe nicht dagegen, das Elend zu beheben, das ueberall bemerkbar war. Fuer Loehe aber sollte der Glaube in der Liebe taetig werden und nicht einfach Liebeswerke getaetig werden, ungeachtet aus welcher Motivation sie entstammten. Um dieser Gefahr zu entgehen, sollte diakonische Arbeit nicht primaer von Institutionen getragen werden, sondern musste in der Kirche verwurzelt sein und sich aus einem bestimmten kirchlichen Bekenntnis heraus ergeben.

      • KCI등재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 분석

        양찬호 ( Yang, Chan Ho ),배유진 ( Bae, Yu Jin ),노태희 ( Noh, Tae H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7

        이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해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을 조사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두 명의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수학습관에 대한 사전면담을 실시한 후, 교육실습 기간 동안 이루어진 각 예비교사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모든 교수학습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업 실행 전후에 반구 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예비교사들의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을 읽기, 평가, 응용의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두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과정 자료에 대한 읽기의 방식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두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부터 비롯되었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관점의 차이는 교육과정 자료의 응용 방식에도 영향을 미쳐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해 적극적인 관점을 지닌 경우 “구성요소 추가”가, 소극적인 관점을 지닌 경우”구성요소 변형”이 중요한 응용 방식이었다. 또한, 예비교사의 교수학습관에 따라 교육과정 자료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를 고려하는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평가에서의 이러한 차이는 “교사중심활동의 증가”와 “학생중심활동의 증가”응용에서의 질적인 차이로 연결되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in curriculum design through a case study. Tw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them about their beliefs on teaching and learning prior to their teaching students. We then observed their teaching and collected all of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s. Their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in the aspects of reading, evaluating and adapting curriculum material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ir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urriculum desig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of reading curriculum materials that deriv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perspective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lso affected the way of adapting curriculum materials. While the “adding” was an important adaptation in curriculum design with active perspectives, the “changing” was an important one with passive perspectives. In addition, the degrees of evaluating curriculum materials from the learners` views depended on their beliefs on teaching and learning. It was also connected to qualitative differences of adaptation in “increasing student control over an activity” and “increasing teacher control over an activit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양찬호 ( Chan Ho Yang ),이지현 ( Ji Hyeon Lee ),노태희 ( Tae 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2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수업 계획의 특징과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13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활동지 등의 교수학습 자료, 수업 계획 일지를 수집하였으며, 수업 계획의 요소별로 예비교사들의 수업 계획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차시 계획에만 초점을 맞추어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고려하지 않았다. 수업 목표는 수업 계획에서 부차적인 요소로 간주되었으며, 주로 인지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어 기술되었다. 교수학습 전략을 구체화하는 것은 수업 계획의 출발점이 되었는데,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중등학교에서의 학습 경험을 반성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학습한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이론을 수용하여 수업 계획에 활용하였다. 교수학습 활동으로 실험 활동을 계획한 경우에는 교과서에 수록된 실험 활동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향이 높았으나, 실험 외의 활동은 자신의 개인적 경험에 의존하여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교수학습 평가를 수업 계획의 요소로 인식하지 못하여 이를 계획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 예비과학교사 교육에서 수업 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lesson planning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in their lesson planning. Thirteen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aching-learning materials such as lesson plans and handouts, and lesson planning journals written by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colle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ir lesson planning activitie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did not systematically consider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focused on planning one lesson only. Instructional objectives were not only considered as minor element in lesson planning, but also limited to cognitive domain. Devising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as foun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lesson planning. They accommodated constructivistic teaching-learning theory presented in their method courses through reflective evaluation of the experiences of learning in their secondary schools. The experiment activities that we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were used themselves when they planned experiments as student activities, but other activities were planned depending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Most pre-service teachers did not plan assessment because they could not recognize it as an element of lesson planning. These results may offer some implications in educating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on lesson planning.

      • KCI등재

        중학생의 상상하는 글쓰기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양찬호 ( Chan Ho Yang ),이재원 ( Jae Won Lee ),노태희 ( Tae 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5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상상하는 글쓰기 과정을 탐색적으로 조사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생 1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신이 어떤 원자가 되었다고 가정하고 원자의 일상생활을 자유롭게 상상하여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학생들의 글쓰기 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발성 사고법을 사용하였고, 모든 글쓰기 과정을 녹화하였으며, 이를 통해서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글쓰기 과정에 대한 자료는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상상하는 글쓰기의 과정 요소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상상하는 글쓰기 과정의 유형은 정보인출과 내용생성 과정 요소가 나타나는 양상에 따라 정보인출-내용생성 과정 통합 유형, 정보인출 과정 중심 유형, 내용생성 과정 중심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정보인출-내용생성 과정 통합 유형에 속하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야기를 떠올리고 그 속에 과학 개념을 적절히 도입하여 자신의 이해를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나, 과학 학습에 적절한 상상하는 글쓰기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상상하는 글쓰기의 과정은 글쓰기 구상 단계가 충분히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학습에서 효과적인 상상하는 글쓰기를 위한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the imaginative writing proce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welve 8th graders were asked to imagine and write about the daily life of atoms, assuming that they became specific atoms for themselves. The think-aloud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students’ writing processes. We recorded students’ writing processes, and also collected the data through interviews to clarify ambiguities in their writing processe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ir imaginative writing process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three types by the two aspects of writing process components (retrieving information and generating ideas). That is, the integration of retrieving information and generating ideas, the predominant retrieving information, and the predominant generating ideas. The students who were classified into the type of the integration of retrieving information and generating ideas came up with a story and properly introduced science concepts into it. These suggested that this type of students expressed their own understanding more effectively, and that this type was most appropriate for imaginative writing in learning scienc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imaginative writing process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whether the planning step was adequately considered or not. On the bases of the results, we suggest the teaching strategies for effective imaginative writing in learning science.

      • KCI등재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 관련 활동에 대한 조사

        양찬호 ( Chan Ho Yang ),배유진 ( Yu Jin Bae ),김찬종 ( Chan Jong Kim ),최승언 ( Seung Urn Choe ),김희백 ( Heui Baik Kim ),유준희 ( June Hee Yoo ),이경우 ( Kyung Woo Yi ),계영희 ( Young Hee Kye ),노태희 ( Tea Hee Noh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3 초등과학교육 Vol.32 No.4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cience-related activities in everyday lif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We also analyzed the differences by student`s gender and interest in science.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f what activit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daily experiences and how they perceived the connections of the activities with science. The questionnaire that was asked to rate the degrees of science-relatedness,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of 35 activities was administered to fifth grader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y perceived various everyday activities in their home and community as well as school were related to science. They generally preferred and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Boys perceived some activities, such as building things with magnets, Legos, or other toy and tools, more closely related to science, and the degrees of their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in these activi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girls.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who were more interested in science not only perceived more activities related to science but also preferred and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mor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