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시베리아 샤머니즘인가, 아니면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인가?

        양민종 ( Yang¸ Min-jong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7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1 No.1

        이 글의 목적은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 문화구조 해명에 부적절함을 지적하고, 대안적인 연구방법론을 제기하는 것이다. 우선, 서구연구자들 사이에서 전개되어온 샤머니즘개념에 대한 혼란스러운 이해의 양상들을 살펴본 뒤,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일종의 종교발생론과 관련된 구조주의적인 담론임을 설명하였다.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이론 발표 이후 샤머니즘의 일반적인 개념이 이전보다 오히려 더 모호해지고, 시베리아샤머니즘연구가 범세계적인 샤머니즘 연구의 일부분화 된 원인으로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의 연구대상이 시베리아샤머니즘세계의 전반적인 문화가 아닌 ‘샤먼’과 인간의 ‘영적인 기술’의 발현양상에 국한되었기 때문으로 설명하였다. 기존 시베리아 샤머니즘연구와 엘리아데 샤머니즘의 연구대상이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만 동일할 뿐, 실제로는 서로 다른 영역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는 별개의 이론임을 구체적으로 지적한 것은 이 글의 독창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아데 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과 시베리아-동아시아 문화를 왜곡시킨 문제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아데가 샤머니즘연구에 기여한 바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고, 바람직한 샤머니즘세계의 문화연구를 위해 서사시와 신화를 비롯한 구비문학텍스트연구의 필요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the author is trying to point out that 'the Eliade's well known theory on the Siberian Shamanism' does not actually reflect the essence of the siberian cultures and the siberian shamanisms. And the Eliade's Shamanism theory has little to do with any contribution to encourage to study the local cultures of the Siberia, because it implies that the Shamanism is not the typical culture of the Siberia but ‘an archaic form of the human spiritual techniques’. The author comments that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theory that explains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itself but a theory that explains an origin of human religious systems and spiritual techniques. Firstly, because the theory is not a struc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s but an attempt to extract an element of the siberian shamanisms. Secondly, it became the concept of the religious approach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context of the Siberia. According to the author,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Elide's Shamanism, 1951 in Paris, many of the western scholars in this field came to admit that the Shamanism is a human common religious heritage which happened to be found by westerners in the Siberia first but can be found in anyplace-else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hat is so-called 'the world-wide phenomenon of the Shamanism'. In this paper the author shows that the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very study of the siberian culture and we need to discard the way of Eliade for the further cultural studies in the Siberian area. The possible way of studying the essence and history of the Siberian Shamanism would be the study of the historical facts of Sang Dynasty and the Ancient Korean Kingdoms. The study of Siberian and Eastern Asian Mythology would help to reconstruct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and the societies of the ancient Eastern Asia.

      • KCI등재
      • KCI등재

        단군신화와 게세르신화

        양민종(Yang Min-Jong) 고조선단군학회 2008 고조선단군학 Vol.18 No.-

        The author points out that despite all the excellent study results on the Tangun Mythology, still the Tangun studies have not been so much productive. Not because the theme itself is unattractive, but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anonized points of view. Such as, the historical approaches, ideological descriptions on the theme, HanMinJok (korean people) centered explanations and unfruitful debates on the fake theory made by the Il Yon himself, and so on. The author tries to approach the Tangun Mythology as a myth-tale. It means that the text of Tangun needs to be examined as a literature and especially a myth-tale.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paper, the author shows the inadequate approaches with the western oriented theories of mythology. In the third chapter, the author analyzes the myth-tale as a structure of epic poems. Maybe the Tangun myth-tale is not merely a myth of opening a country of korean people. It could be a whole story of an ancient empire from her foundation to the decay. Finally the author trie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angun-myth tale and the Geser of the Mongolian Buryats. The two stories share almost the same story structure and the cultural system(it could be calles as shamanism). If we can prove that Tangun story was recorded earlier than any of Geser editions, the author urges, we may assume that around the 13-14 centuries Tangun-like-stories were and could be the first written edition of Geser epics in the Eastern Asia and Central Asia. Tangun myth-tale could be a valuable study material not only on the korean people's mythology but also the mythologies and folklores - cultures of the above mentioned areas. The author also points out the trend of epic poems after the 10th century in the Central Asia and the study on this theme could be a fruitful approach on the study of Tangun also.

      • KCI등재
      • ‘엘리아데주의’(엘리아데이즘) 검토를 통한 샤머니즘연구사의 방향성 이해

        양민종(Yang, Min jo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1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이론에 대한 비판적인 접근을 통해 서구에서의 샤머니즘연구사가 ‘샤머니즘’ -> ‘엘리아데이즘’ -> ‘네오샤머니즘’의 방향성을 따라 진행되어왔음을 보여주고, 바람직한 샤머니즘연구의 가능성과 방법론을 검토하는 것이 이 글의 주된 과제이다. 구체적으로는 1) 서구 연구자들의 엘리아데 비평에서 두드러지는 문제점들을 지적하면서 엘리아데의 이론이 가지는 핵심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2) 샤머니즘세계의 철학과 우주관을 예술과 인문학 에서 창작과 비평의 원칙으로 활용하는 네오샤머니즘적인 경향의 접근법과 함께 ‘구체적인 지역문화의 양상과 기원에 대한 실증적인탐구’로서의 샤머니즘에 대한 재인식과 연구수행의 필요성을 토론한다. The goal of this work is to show the logical and illogical aspects of the Eliade's theory of the Shamanism, argued in his publication Le Shamanism(1951, Paris) In the introduction the author tries to point out the current orientation of the studies on the Shamanism with a frame of ‘shamanism -> eliadeism -> neo-shamanism’. And the author also suggests an effective way of the study of the shamanism with the history-dividing -role of Le Shamanism. In the second chapter, the chaotic situation of the ambiguity of the term ‘Shamanism’ especially in the western world both with the experts and ordinary people is explained with the citation of R. Hutton's recent book Shamans-Siberian Spirituality and the Western Imagination(London, 2001). The author argues that the expansion of the meanings of the Shamanism and the ambiguity of the term is mainly due to the Eliade's purely theoretical and structural approach on the matter. In the third chapter, the author illustrates the critical approaches of the works of I. Lewis, C. Humphrey, R. Hutton etc and the reasons why their theories on the Eliadeism have not succeeded to prove the illogical essence of the Eliadeism.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 Shamanism of Eliade is not the real shamanism in the Siberia or in any other places in the world but is the pure manifestation of his logical thinking with the help of the various materials he gathered in his book. Eliadeism is a without-substanceunderstanding of the matter and merely a component of shamanism and it has little to do to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local cultures and the cultural systems in the Siberia. And finally the author is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time concept’ and ‘archaic approach’ of the Eliadeism, which have not been seriously studied among the experts. In the conclusion, the author tries to show that neo-shamanism is not the very studies on the matter but the applications of the nature and the cosmology of the Shamanism. so, it will be constructive if we take the future course of study on the matter not only in the Eliadeism's way, neo-shamanism's approach, but also in the positive way of research of the origin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Siberian Shamanism in particular and the societies in which the shamanisms have been shown in general.

      • KCI등재

        알타이 네오샤머니즘 현상연구

        양민종 ( Yang Min-jong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7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1 No.2

        알타이에서 복원되는 샤머니즘현상의 성격을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본문에서는 알타이지역 샤머니즘의 100년 전 모습과 현재의 모습을 대비하여 설명하였다. 오늘 날의 알타이 샤머니즘현상이 이미 100년 전에 시도되었던 샤머니즘 개혁운동인 아크장과 유사한 측면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알타이 네오샤머니즘이 소비에트 해체 이후 샤머니즘복원과정에서 드러나는 양상이지만 이와 같은 모습이 이미 한 세기 전에 구체화하였음을 살펴보았다. 알타이 네오샤머니즘 전개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샤머니즘을 샤먼 공연위주의 영적인 기술로 축소해서 이해하는 일반적인 샤머니즘개념의 재고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henomenon of Altai Shamanism.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the author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ltaic shamanism of 1904 and nowadays. The author also points the similarity between the shamanism of one hundred years ago (Ak-jang) and nowadays (Neo-shamansim) in Altai.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목소리 소설 시학: 5대 중편소설의 정치지향성과 목소리 소설 형태를 중심으로

        양민종 ( Yang Min Jong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러시아연구 Vol.26 No.2

        이 글은 2015 노벨 문학상 수상작가 알렉시예비치의 5대 중편소설에 드러나는 `정치 지향성`과 `목소리 소설 형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5대소설은 소비에트시대를 돌아보는 내용으로 브레먀 출판사가 펴낸 노벨 문학상 수상 기념 문집에 수록된 작품들이다. 알렉시예비치의 정치성은 과거 동-서 진영 간의 이념적인 갈등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국가 권력과 사회적 평판의 폭력 앞에서 소외된 다수의 자유와 인권 등 인간의 기본권에 대한 문제 제기이다. 알렉시예비치 소설이 시대정신에 부합한다고 평한 스웨덴 한림원의 논리를 중심으로 작가의 정치성을 검토하였다. 목소리 소설은 `도스토예프스키가 말한 바 있는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목소리들`을 `아다모비치의 문학 형태 실험`을 활용하여 소설로 엮어내는 알렉시예비치 특유의 글쓰기 방식이다. 작가는 소비에트사회를 경험한 다수의 `작은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작품 속에 배치하여 `소비에트와 포스트소비에트 사회에 대한 집단 기억을 투사한 소설`들을 펴냈다. 이 글은 5편의 소설들에 나타난 목소리 소설 형태의 변화 양상을 포착하고, 작가의 텍스트 개입 정도에 따라 목소리 시학 장르가 다듬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is to capture the essence of political messages of Aleksievich`s five suits of writings and intends to show differences in the five suits from the poetics` point of view. These five suits are included in the special editions (Vremya press co.) of 2015 Winner of Nobel Prize in Literature by the writer herself.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writer is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years-old confrontation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soviet blocs. It is the calling to pay attention to the sufferings of the ordinary people, their human rights. Nobel Prize committee regards Aleksievich`s human-orientation as the Spirit of our Era and something the Literature should pursue. This article points out the essence of the author`s political thinking with the press release materials of Nobel Prize committee. The main issue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poetics of Aleksievich`s Voice writings. This article finds the author`s literature manifesto in the first book of the five suits. The five suits are the books which contain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ordinary former Soviet people on the Soviet period. This article shows the main elements of the manifesto and the way how the manifesto becomes the polyphonic novels in different ways.

      • KCI등재

        V. 라스푸틴 소설 구조 연구: 대표 중편소설 3편의 열린 결말과 액자 구조를 중심으로

        양민종 ( Yang Min Jong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21 러시아연구 Vol.31 No.1

        이 글은 V. 라스푸틴의 각기 다른 소설들을 읽을 때 독자들이 흔히 느끼는 ‘기시감 혹은 텍스트의 유사성’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살피는 작업이다. ‘오픈 엔딩과 액자소설’의 시각에서 접근하며, 중편소설 3편(「마리야를 위하여」, 「살아라, 그리고 기억하라」, 「마쪼라의 이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라스푸틴에 대한 기존연구는 ‘도시와 농촌의 대립’, ‘신구갈등’, ‘개발과 보존의 문제’와 같은 이분법적인 갈등과 ‘등장인물의 가치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글에서는 기존연구에서 흔히 다루지 않는 소설 구조를 중심으로 라스푸틴 중편소설들의 유사성을 찾는다. 구체적으로 라스푸틴 중편소설들에서 관찰되는 ‘독특한 열린 결말’과 ‘액자소설’의 시각에서 라스푸틴 산문 텍스트의 유사성을 조명하였다. 본문 2.1.에서는 도스토예프스키와 라스푸틴 소설의 결말을 비교하여, 일반적인 오픈 엔딩과 구별되는 라스푸틴 특유의 형식과 액자소설, 스토리라인의 특징을 「마리야를 위하여」에서 찾아낸다. 본문 2.2.와 2.3.에서는 앞서 논의한 라스푸틴의 텍스트 구조를 활용하여 소설 「살아라, 그리고 기억하라」와 「마쪼라의 이별」을 살펴본다.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s of the Novel Structure of a Siberian Rural Writer, Valentin Rasputin. Main texts for the analysis are the writer’s 3 well known major novels: Dengi dlya Marii (Money for Maria, 1967), Zhivi I Pomni (Live and Remember, 1975), Proshchanie s Materoj (Farewell to Matera, 1976). Most of the researchers of Rasputin’s novels have been focusing on the ‘Problems of Rural and Urban confrontation,’ ‘Conflicts between the New and the Old,’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the philosophical view points of the main characters’ etc. However, with these approaches it is hard to explain the specific structural resemblance (deja vu) of the above mentioned novels. To understand the poetics of the writer and the structural resemblance of the novels of the writer, it is wisely recommended to study the structure of the novels including the well known Open Endings. In the chapter II, this paper tries to show the striking differences of the open endings between Fedor Dostoevsky and Valentin Raputin. This paper shows that the plot of Rasputin’s novels ends without solving the main conflicts or problems of the novels. In the romans of Dostoevsky, we see the solutions of the conflicts of the main texts, but in the novels of Rasputin the plot itself ends suddenly with the highest stage of the conflicts unsolved. So Raputin’s novels look even unfin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