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의 실행기능, 교사-유아관계와 놀이행동 간의 관계

        변혜원,성지현,양기혜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놀이는 환경에 적응하고 배움을 위한 유아의 본능적인 수단일 뿐 아니라, 인지 발달, 신체 및 정서적 건강을 돕고, 사회적 관계 형성과 사회적 기술을 연습하도록 돕는다(Golinkoff, Hirsh-Pasek, & Singer, 2006). 유아의 성격이나 행동 특성에 따라 놀이행동의 유형이 다르고, 유아가 자주 보이는 놀이유형에 따라 배움과 발달적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놀이유형의 파악은 유아의 발달 정도와 특성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실행기능, 교사-유아관계, 놀이행동 간 관계를 알아보고, 놀이행동 유형에 미치는 유아의 실행기능과 교사-유아 관계의 영향력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서울, 경기 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만 4세 유아 107명과 이 유아들을 담당하는 유아교사 72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유아의 놀이행동, 실행기능, 교사-유아관계에 대해 보고하였다. 놀이행동은 Coplan과 Rubin(1998)이 개발한 유아 놀이행동 척도(The Preschool Play Behavior Scale; PPBS)로 측정하였고, 사회적 놀이, 혼자놀이(수동적, 적극적), 방관자적 놀이, 거친놀이 5개 놀이 행동 요인, 총 1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점 척도이다. 실행기능은 Gioia 등(2000)이 개발한 행동평정척도(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BRIEF-T)를 사용하였고, 총 63개 문항이며 정서조절, 작업기억, 억제, 계획조직, 주의전환의 5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3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교사-유아 관계는 Pianta(1992)의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 척도(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로 총 28개 문항, 친밀감, 갈등, 의존의 3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5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Windows용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첫째, 유아의 실행기능, 교사-유아 관계, 놀이행동의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놀이는 실행기능의 작업기억(r = .42, p < .001), 억제(r = .28, p <.01), 계획조직(r = .43, p < .01)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고, 수동적 혼자놀이는 계획조직(r = -.21, p < .05), 주의전환(r = -.21, p < .05)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방관자적 놀이는 실행기능의 정서조절(r = -.21, p < .05), 작업기억(r = -.44, p < .01), 억제(r = -.32, p < .001), 계획조직(r= -.48, p < .001)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고, 거친놀이는 실행기능의 정서조절(r = -.26, p < .01), 작업기억(r = -.20, p < .05), 억제(r = -.44, p < .01)와 부적으로 상관이 있었다. 사회적 놀이는 교사-유아 관계에서 친밀감(r = .47, p < .01)과 방관자적 놀이는 교사-유아 관계에서 친밀감(r= -.21, p < .05)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고, 갈등(r = .33, p < .01)과는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거친놀이는 갈등(r = .41, p < .01)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실행기능 간 관계에서는 교사-유아 친밀감은 작업기억(r = .34, p < .01), 억제(r = .25, p < .01), 계획조직(r = .37, p < .01)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고, 교사-유아 의존성은 주의전환(r = -.26, p < .01)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사-유아 갈등은 정서조절(r = -.60, p < .01), 작업기억(r= -.60, p < .01), 억제(r = -.70, p < .01), 계획조직(r = -.62, p < .01), 주의전환(r = -.22, p< .05)과 모두 부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적극적 혼자놀이는 유의미한 관련이 없었다. 둘째, 유아의 실행기능과 교사-유아관계가 각 놀이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사회적 놀이는 교사-유아의 친밀감(β = .34, p < .001)이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방관자적 놀이는 실행기능의 계획조직(β = -.55, p < .05)이 유일한 설명변인으로 계획조직이 낮은 유아들일수록 방관자적 놀이행동을 많이 보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거친놀이는 억제(β = -.74, p < .001), 계획조직(β = .70, p < .01), 교사-유아 갈등(β = .29, p <.05) 순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행동 유형별로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억제조절력, 현재 또는 지향과제를 다루는 계획조직력, 교사와 유아 간 관계의 질이 다르게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또한 유아의 실행기능은 교사와의 관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놀이유형에 미치는 실행기능 하위요인별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놀이행동별로 교사의 유용한 지원이나 교사-유아 관계의 역할에 대한 정보 제공에 기여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놀이행동 유형에 미치는 실행기능의 영향: 과제지향행동과 교사-유아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변혜원,성지현,양기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5 No.4

        본 연구는 만 4-5세 유아의 놀이행동 유형에 미치는 실행기능의 영향에서 과제지향행동과 교사-유아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 107명과 해당 유아의 어머니 107명, 교사 72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놀이행동, 실행기능, 과제지향행동, 교사-유아 관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제하기 위해 유아발달수준을 공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4.0(Hayes, 2022)을 이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놀이의 관계를 과제지향행동이 완전매개하였다. 둘째, 유아의 실행기능이 사회적 놀이, 거친 놀이, 방관자적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유아 친밀감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실행기능이 과제지향행동을 통해 거친 놀이에 미치는 경로에서 과제지향행동에 대한 교사-유아 친밀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교사-유아 친밀감 수준에 따라 실행기능과 과제지향행동이놀이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게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놀이행동 유형마다 유아의 참여 수준에 영향을 끼치는 실행기능과 교사-유아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moderated medi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task-focused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influence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on play behavior type. The participants included 107 children(aged 4-5 years) and their mothers, and 72 teachers. Mediation(Model 4), moderation(Model 1), and moderated mediation (Model 15) model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4.0 programs(Hayes, 2022). The study shows, first, task-focused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social play behavior. Second, the teacher-child intimacy moderated the effects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on the social play, rough-tumble play, and reticent play.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through children’s task-focused behavior on rough-tumble play was moderated by teacher-child intim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the executive function on the play type through task-focused behavior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er-child intimac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that influences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play behavior type was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