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를 위한 사회적 관계 인식 라우팅 프로토콜 (pp.798-802)

        안지선(Jisun An),고양우(Yangwoo Ko),이동만(Dongm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8

        본 논문에서는 컨텐츠 공유 응용에 관한 이동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하여 제안한다. 응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간의 사회적 관계를 라우팅 프로토콜에 적용하여 컨텐츠 공유를 돕도록 한다. 우리의 기법은 사회적 관계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컨텐츠 소비패턴을 예측할 수 있는 상황에서 컨텐츠를 보다 빠르게 얻어오고 같은 컨텐츠에 대한 여러 요청으로 인해 생기는 네트워크의 부담이 줄게 하여 컨텐츠 공유와 같은 응용을 지원 할 수 있다.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NS2를 사용하여 최단 경로 라우팅 알고리즘과 비교해 보았다. In this paper, we consider mobile ad hoc network routing protocols with respect to content sharing applications. We show that by utilizing social relations among participants, our routing protocols can improve its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caching. Moreover, in certain situation which we can anticipate pattern of user’s content consumption, our scheme can help such applications be more efficient in terms of access time and network overhead. Using NS2 simulator, we compare our scheme to DSDV and routing protocol using shortest path algorithm.

      • An Interactive Photographic Food Diary for Middle Childhood

        An, Jisun(안지선)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0 No.-

        As the childhood obesity rate continues to grow dramatically, we need to help children gain a greater awareness of their eating habits and its nutritional context. In this paper, I propose, “Lunch Log”, a digital photographic food diary that helps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nine and eleven years old visualize their personal eating habits and learn about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food they consume for their meal. This food diary adopts a photographic food diary method inspired by Lydia Zepeda’s research. Her research finds that photographic food diaries are more likely to raise personal awareness and change eating behavior than written diaries. Unlike other food diaries, the interactive photographic food diary for children deploys interactions for data entry, navigation, and review in a social context. It allows children to post photos of the lunches they consume and review their eating habits by collectively categorizing their lunch photos. Teachers post several categorization questions. Children answer these categorization questions by selecting the lunch photos that fit the criteria.

      •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Design Critique

        An, Jisun(안지선),Powell, Natasha(나타샤 파웰)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1 No.-

        디자인 크리틱은 디자인 실기 교육에서 중추적인 부분이다. 크리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한국 디자인교육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상북도 K대학교의 디자인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이 연구주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심층인터뷰 결과, 세가지의 흐름으로 요약하여 학생의 감정(students’ emotions), 커뮤니케이션의 양상(communication modalities), 피드백 출처에 따른 경향(tendencies based on feedback sources)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에서 학생들은 동료 학생들의 감정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교수의 피드백에 대해서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본인의 디자인에 대한 비평과 본인의 감정을 차별화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느꼈다. 그리고 언어적 피드백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된 경향을 보였지만 몇몇 소수의 학생들은 비언어적 피드백을 인지하거나 활용하고 있었다. 더욱이, 학생들은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수업 전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크리틱보다 그룹을 통한 크리틱을 선호하였다. 또한 교수의 디자인 제안에 대해서는 주저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반면 동료 크리틱에 대해서는 재검토하여 디자인 결정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Design critique is a central part of design studio education. Though there is a growing amount of research on students’ perspective on critiqu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tudents’ perceptions of design critique in Korean design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design students in K university in Gyeongbuk province in order to increase understanding on this topic. As a result of these interviews, we found three themes: students’ emotions, communication modalities, and tendencies based on feedback sources. The students of this study are highly conscious of their peers’ emotions and respectful towards instructor feedback. Likewise, they also have trouble separating their feelings from criticism of their designs. Even though students may lack confidence giving verbal feedback, some students are aware and make use of non-verbal communication. Furthermore, students prefer a group critique more than a large class critique in terms of communication. Also, students are more likely to reexamine peer feedback about their design decision. Yet, they embrace the instructor’s suggestions without hesitation.

      • KCI등재

        구강보건교육 앱의 사용성 평가-Dentify와 Toothflix 비교를 중심으로-

        안지선 ( Jisun 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9 No.-

        Background In recent years, health conditions have become the most commonly searched content for smartphone users. Moreover, digital health information about prevention and self-care will be in great demand in the near future. Although researchers from the domains of edu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dentistry have examined digital oral health education, their studies have lacked emphasis on user experience. In this study, we aimed to review and examine usability issues of commercially available oral health education apps. Afterward, we presented design guidelines for these applications. Methods First, we reviewed existing smartphone applications for oral health education and selected two accredited apps; Dentify and Toothflix. Second, for usability testing of these two apps, we adopted a heuristic evaluation system: creating usability checklists based on Peter Morville`s User Experience Honeycomb. Then, we conducted usability testing and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ith dentists and UX design experts. Result We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usability checklists using radar charts. Then, usability issues were categorized and summarized into oral health contents and four planes based on Jesse Garrett`s elements of user experience: the scope plane, the structure plane, skeleton plane, and surface plane. Conclusion In addition, we`ve suggested revisionary design guidelines in usability for these two apps; first, Dentify and Toothflix need to have a “Search” option. Second, the apps should incorporate multi-information channels, such as, text, images, videos, and audio. Third, these apps should require as little as possible cognitive burdens for users.

      • KCI등재

        한국 디자인전공 대학생의 자아효능감, 만족감,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안지선 ( Jisun An ),임낭연 ( Nangyeon 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디자인 크리틱은 교육환경에서 강의자와 학생, 때로는 초청된 전문 디자이너 간에 형식적 혹은 비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상호작용이다. 지금까지 많은 디자인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크리틱의 학습 효과를 어떻게 인지하는지 연구해왔다. 더불어 교육학 연구자들은 자아효능감이 학습 수행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임을 연구해왔다. 디자인교육에서는 자아효능감이 학생들의 실제 학습 성취 능력인 성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서 디자인교육에서의 자아효능감 및 수업 활동 만족도가 디자인 교육의 실제 학업 성취와 어떤 관련을 가지는지 여러 측면에서 양적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디자인 전공수업에서 효능감과 성적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Gaffney가 개발한 3가지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3가지 도구는 Critique Self-efficacy, Studio Self-efficacy, and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이다. 2016년 5월에서 6월 사이 K 대학교의 디자인전공 4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SPSS 통계 패키지로 변인의 이변량 상관 분석, 중다 선형 회귀 분석, 요인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자인 활동과 관련된 학생들의 효능감은 학생들의 주관적 예상 성적은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객관적 학업 성취인 학점은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단, 실제 성적은 Studio Self-efficacy에 의해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으로 예측되었다. 둘째, 크리틱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디자인 활동과 관련된 Self-efficacy 및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과는 모두 정적 상관을 가졌으나 최종 학점을 예측하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Team Critique 만족도보다 Final Critique 만족도가 예상학점과 실제 성적과 더 강한 상관을 가졌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디자인 교육자들이 수업 중 크리틱을 활용할 때 학생들의 효능감과 수행력을 이해하고 이런 요인들이 학습 성취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Background Design critique in an educational setting is a communicative interaction between an instructor and students, sometimes with invited professionals through formal and informal feedback. Numerous design educators have investigated how students perceive the learning benefits of critiquing. Although education researchers have found that self-efficacy is one of the key factors in academic performance, researchers in design education rarely conducted studies on how self-efficacy influences students` grades as academic outcomes. Thus, in this paper, we aim to quantitatively investigate how efficacies in design education relate with academic outcomes and students` satisfaction from various aspects. Method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in design studios and grades in design projects, we used three scales developed by Gaffney: Critique Self-efficacy, Studio Self-efficacy, and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 We surveyed forty-four design students at K University from May 2016 to June 2016. An SPSS Statistics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To conduct this analysis, we used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Result First, students` efficacy predicted their anticipated grades, but not their final letter grades. In contrast, final letter grades are marginally correlated with Studio Self-efficacy. Second, satisfaction in critique activities positively correlates with Critique Self-efficacy, Studio Self-efficacy, and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 However, this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final letter grades either. Lastly, satisfaction with Final Critique was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both anticipated letter grades and final letter grades than satisfaction with Team Critique. Conclusion This study would help Korean design educators who are utilizing a critiquing method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efficacy and competence and how the factors relate with academic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