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형등대와 건축적 표상에 관한 연구 : 통영 문학기념 조형등대의 디자인 기술을 중심으로

        안웅희(Ahn Woong-Hee),송민성(Song Min-Sung),고신채(Ko Sin-Chai),한창수(Han Chang-Soo)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춘계

        등대는 전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항로표지일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향수와 해양문화의 기억들이 묻어있는 공간이다. 최근에는 적절한 해양문화공간으로 개발함으로써 해양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지역관광에 공헌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해양수산부는 2006년 "희망의 빛 조형등대 설치계획"을 통하여 마산지방해양수산청 소속의 통영시 도남항 동방파제 등대를 건설하였다. 지역과 문화적 특색을 살릴 수 있는 기념등대로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통영의 훌륭한 문화적 성과를 기념대상으로 지정하였다. 이에 현상공모를 통해 한국해양대학교의 안웅희 교수의 작품이 당선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등대의 형태에서 벗어난 추상적이면서 기하학적인 형상을 통해 통영 일대의 문화적, 관광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등대건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다양하게 검토되어야 할 논제들을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e Lighthouse is not only functioning as a traditional aids to navigate for the vessel, but also space that has memory about marine culture and man's nostalgia. Recently, it contributes to regional tourism and makes a new meaning about marine cult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lighthouse to a proper space of ocean culture. Especially, MOMAF has constructed the sculpture lighthouse in Tongyeong as "the light of hope-sculptural lighthouse project". They hoped to develop the memorial lighthouse that represents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and culture and it became a symbol of the great culture in Tongyeong. Through the competition, prof. Ahn Woong-Hee's design won the project, and constructed. For this situation, we intended to reveal in this study that all the issues which relate to the design for lighthouse in the future through the abstract, geometrical form of lighthouse that deviated the traditional design.

      • KCI등재

        초량항 고지도 분석을 통한 부산 항로표지의 기원에 관한 연구

        안웅희(Woong-Hee Ahn)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8 No.5

        대한민국 등대의 역사는 일제가 국외 침략을 목적으로 한반도에 설치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1903년 인천에 처음으로 등대가 설치된 이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인 항로표지시스템이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점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제 항구의 도시로서 그리고 초량왜관의 도시로서 부산은 15세기 초 이래로 한일 외교관계의 중심지였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오래전부터 부산에는 해상 국제교류를 위한 항만시설이 발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해양에 관련된 역사자료가 부족하고 기초연구가 미비하여 올바른 역사를 정립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최근 들어서 부산해관 고문서의 번역이 마무리 되었고, 초량왜관 관련 고지도들을 집성한 자료가 편찬되면서 보다 객관적인 부산의 역사를 정립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고지도와 문서들을 통하여 오래된 국제 항구도시 부산의 초량항에 초점을 두고 부산 항로표지의 기원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The history of the Korean lighthouse have been known to be begun from which installed by the purpos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outside. Modern navigational aid system have configured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since the Incheon Palmido Lighthouse was built in 1903 as the first lighthouse in Korea. But in this regard it needs to be considered more carefully. Busan, as the city of international port and of Choryang Waegwan, had been a center of foreign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early 15th century. Because that reason, International port facility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ago in Busan for example lighthouse, breakwater, wharf, jetty and so on. Nevertheless the lack of historical data and basic research related to the marine caused the proper history could not be established until now. In recently the basic translation of Korean Maritime Customs documents started to finish, and a compilation book of old pictorial maps on Choryang Waegwan was issued. As a result, more objective history of Busan Aids to Navigation can be investigated.

      • KCI등재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의 근대식 등대에 관한 연구

        안웅희(Woong-Hee Ahn)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8 No.5

        부산은 18세기말 서양에게 처음으로 알려졌다. 이후 19세기말 조선이 강화도 조약을 시작으로 국제 열강들에게 개항되었을 때에도 중요한 국제적인 개항장이었다. 국제 선박들의 왕래가 늘면서 부산항의 항만시설과 등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등대의 설치와 관리는 부산해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개항기 해관의 작업들은 봉건사회에서 근대국가로 변천하는 조선의 역사적 기원이 된다. 이처럼 소중한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개항기 해관문서들이 상당부분 소실되어 정확한 역사를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조선의 내부문서와 외교문서 그리고 국내외 언론들에 의해 작성된 기록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근 출간된 자료들과 수집된 고지도들을 바탕으로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에 설치된 근대식 등대를 확인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대한민국 근대사의 올바른 정립에 객관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usan was known firstly to the western world in the end of 18th century. When the Joseon opened a port under the western powers in the late 19th century, Busan was an important port. The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hip exchange had magnified the harbor facility and the importance of lighthouses of Busan port. Busan maritime customs officer were in charge of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lighthouses. The operations of maritime customs became historical origin of Joseon changing from feudal society to modern nation. The majority of the documents from maritime customs was disappeared. So it was hard to know the exact history. But investigating documents and papers of Joseon, even media records will enable us to establish the objective fact relations. Moreover, published and translated data from the past make it possible such investigations. As a result, modern lighthouse of Busan harbor in the late Joseon after opening port was could be found. It could be offered to establishing the Korean modern history as the objective data.

      • KCI등재

        네델란드 수변집합주거의 건축적 신-유형에 관한 연구

        안웅희(Woong-Hee Ahn),오광석(Kwang-suk Oh),전영훈(Young-Hun Jeon)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3 No.5

        지금까지의 집합주거를 살펴보면 건축의 역사를 통해 일반적 혹은 보편적으로 생각되는 형태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집합주거는 형태적으로 변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 세계적인 해양강국인 네덜란드에는 이러한 전형적인 형태와는 매우 다른 집합주거 작품들이 많이 건립 되었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러한 작품들의 형태적 특정에 초점을 둔다. 네덜란드의 독특한 집합주거들은 현대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시도임과 동시에 근대건축의 전형적인 형태들을 탈피하고자 히는 노력의 결과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집합주거에 대하여 이러한 독특한 형태의 건축물은 유형학적 측면에서 볼 때 건축적 신-유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 집합주거건축의 유형적 변화에 내재된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lf we think. about the form of housing architecture, we can find a general or typical type has been through the architectural history. because the formal transformation in housing architecture is very difficult. Recently, there are many housing works in powerful ocean state, netherlands that was different from the typical type in the form of housing architecture. This study focusing on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such works. Such distinctive works in netherlands is the result from an attempt to fulfill the diverse needs of our contemporary society and in an effort to refuse the typical type of the modern architectu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typological transformation in the contemporary housing architecture.

      • 컨테이너 구축물의 건축적 가능성에 관한 연구 : PIFF Pavilion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웅희(Ahn Woong-hee),고신채(Ko sin-Chae),송민성(Song Min-sung),정성훈(Jung Sung-hoon)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춘계

        컨테이너는 항만 물류에서 빠질 수 없는 키워드이다. 컨테이너는 국제적인 규격화가 되어 있고, 자체적인 강성을 지니면서 공간을 가지고 있기에 수송에 있어 화물을 문에서 문까지, 형태의 변경 없이 운송할 수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강성을 지니고, 공간을 지닌다는 점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기도 한다. 물론 이유는 간단하다. 쓰고자하는 장소에 가져다 놓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최근 이러한 경향의 발전으로 컨테이너를 활용한 다양한 베리에이션이 연구되고 있다. 예로서 부산국제영화제의 파빌리온이나 페이퍼테이너를 볼 수 있다. 오늘날의 컨테이너는 단순히 운반의 기능뿐만이 아닌 '이동 가능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일시적인' 개념으로의 건축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부산국제영화제에 사용되었던 파빌리온을 통해 컨테이너가 기존에 가지고 있지 않았던 의미와 기능을 살펴보고, 그것이 건축의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 될 수 있고, 또 그 가능성이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의도하였다. A container is keyword of port logistics. A container is had international standards. It has itself rigidity and space. So It is great meaning because the freight transported from door to door in transportation without forms changing. Also a container make various uses because it has itself rigidity and space. Of course, that is simple. Because just put it on the any useful place. A kind of these trend, recently, has studied on the variation of containers. For example, PIFF Pavilion and Papertaner. Today's containers has not only just function of transport but also used suitably in architecture that intended by 'mobile', 'easy to construction and break up', 'temporary'. In this stud, we research about meaning and function of containers that not common use in this times. And we intend to reveal about the subject that how containers will be applied and possibility in division of architecture.

      • KCI등재

        유인등대를 활용한 친수공간의 시설, 프로그램, 제도에 관한 연구

        안웅희(Woong-Hee Ahn)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3

        한국의 등대는 1903년 6월 팔미도에서 점등된 것을 기점으로 지난 2003년에 건립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등대는 본래 천혜의 자연조건 속에 입지해 있고, 바다와 관련된 시적 감흥을 간직하고 있으며, 태양에너지 등을 동력원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건축시설이다. 이처럼 등대는 그 잠재적 가치와 개발 가능성이 높은 시설이다. 그 가운데 적절하게 개발된 유인등대는 이제 전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항로표지일 뿐만 아니라 온 국민이 향유하고 체험하는 새로운 시설이자 공간이 되었다. 따라서 유인등대를 친수공간으로 개발할 경우 보다 체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건축시설, 운영프로그램 그리고 관련제도 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친수공간개발사업이 실시된 이래 전국의 유인등대가 보다 더 적절하게 활용되기 위해 다각도로 검토되어야 할 논제들을 밝히고자 의도하였다. The year 2003 is the centennial of the birth of the modem lighthouse in Korea. The lighthouse was originally surrounded by a beautiful nature and it contains the romantic sensitivity which relates with the ocean. And in some case it is a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facility which uses a alternative energy like a solar cell. Now the properly developed manned lighthouse is not only functioning as a traditional aid, to navigation for the vessel, but also it becomes the new facility and space for all civilians who might visit and experience. If we want to vitalize the traditional lighthouse into water-familiar space, we must reconsider the facilities, various operational programs and the institutions for future-oriented development. For this situation we intended to reveal in this study that all the issues which relate to the proper use of the manned lighthouses in the whole country, since the project of water-familiar space started by MOMAF.

      • 제주도 유인등대를 활용한 해양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안웅희(Woong-Hee Ahn),김형준(Hyoung-Jun Kim),한창수(Chang-Soo Han)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

        한국의 등대는 지난 2003년에 건립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등대는 본래 천혜의 자연조건 속에 입지해 있고, 바다와 관련된 시적 감흥을 간직하고 있으며, 태양에너지 등을 동력원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건축시설이다. 이처럼 등대는 그 잠재적 가치와 개발 가능성이 높은 시설이다. 그 가운데 적절하게 개발된 유인등대는 이제 전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항로표지일 뿐만 아니라 온 국민이 향유하고 체험하는 새로운 시설이자 공간이 되었다. 제주지방해양수산청은 지난 몇 년간의 노력을 통하여 제주도의 유인등대를 적절하게 해양문화공간으로 개발함으로써 해양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지역관광에 공헌을 하여왔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친수공간개발사업이 실시된 이래 제주도의 유인등대가 보다 더 적절하게 활용되기 위해 다각도로 검토되어야 할 논제들을 밝히고자 의도하였다. The year 2003 is the centennial of the birth of the modem lighthouse in Korea. The lighthouse was originally surrounded by a beautiful nature and it contains the romantic sensitivity which relates with the ocean And in some case it is a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facility which uses a alternative energy like a solar cell. Now the properly developed manned lighthouse is not only functioning as a traditional aids to navigation for the vessel, but also it becomes the new facility and space for all civilians who might visit and experience. Jeju regional maritime affairs & fisheries office has developed the manned lighthouse properly to ocean cultural space for the past several years. As a result of that, the recognition regarded on ocean culture was raised and the regional tourism was vitalized For this situation we intended to reveal in this study that all the issues which relate to the proper use of the manned lighthouses in the Jejudo, since the project of water-familiar space started by MOMAF.

      • KCI등재

        다세대 주택 외부 표현 특성의 변천에 관한 연구

        이은승(Lee, Eun-Seung),안웅희(Ahn, Woong-Hee) 대한건축학회 201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2 No.8

        Multi-family housing is the most general housing type in korea. Also, it is the trend that design is emphasized regardless of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residential space by increasing people who seek their own life-style and individ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o show the character in exterior of the multi-family housing in the architectural magazine. Such features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1) Opening : the facade design element expressed to the outside with the close relation with inside space. Specially, those features appear more distinctly in the multi-family housing that is composed of small unit of individual spac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opening space. (2) Color & Material : all elements exposed in the outside space by being added or emphasized among various design elements that is expressed on the facade. It is mainly used to emphasize specific facade in multi-family housing, and even embossed in case of using special materials. It is analyzed into color and material in this study. (3) Volume & Mass : Building design that is composed of three-dimensional surface is felt like a mass. Because the feature of each facade design is combined and then expressed as one integrated building, the design element about the whole is important. On characteristic of the multi-family housing, core and the shape of higher stories mainly affect the facade desig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해양파출소의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부산 소재 해양파출소를 중심으로 -

        신대영(Shin, Dae-Young),안웅희(Ahn, Woong-Hee)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1

        This study is about the architectural publicness of cost guard substation located in Busans fishing port. The development of cities are causing fishing villages to be included in cities, and the phenomenon of being neglected or killed in functional incongruity is being witnessed. In this situation, interest in the ocean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individual leisure time, and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enter of marine tourism. In line with this, the government is pushing ahead with its fishing port development policy, but discussions on qualitative improvement and understanding of public services and public spaces have not been made due to the plan focused on aesthetic aspects and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Busan cost guard subs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chitectural publicness discussed in fishing ports. Analyzing cost guard substation by dividing them into internal and external public elements, and discuss how to implement architectural publicness from the wide context to the elements of interior space.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on how to implement future-oriented publicness,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public buildings in Busan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tectural public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