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역(不易)의 예(禮)를 적용한 정현(鄭玄) 『주역(周易)』 해석의 특징 고찰

        안승우 ( An Seung Woo ) 한국공자학회 2019 공자학 Vol.37 No.-

        본 논문은 鄭玄의 『周易』 注를 중심으로 하여, 易의 세 가지 의미와 禮의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周易』 鼎卦 九四爻辭, 離卦 九四 爻辭, 旅卦 初六 爻辭에 대한 정현의 해석을 중심으로, 『周禮』 에 기반한 정현의 禮에 관한 사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정현이 언급한 禮의 관계적 질서와 도덕적 의미, 그리고 禮를 어긴 데 대한 엄중한 처벌에 관한 사유를 고찰함으로써, 형벌과 罪의 절대적 기준, 특히 不易의 행위기준으로서의 禮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ree meanings of Yi 易 and its relation with li 禮 shown in the Zheng Xuan 鄭玄’s Zhou-Yi-Zhu 周易注. This paper also explores Zheng Xuan’s thought of Li based on the Zhou Li 周禮, focusing on yaoci 爻辭 of Dinggua 鼎卦’s fourth Nine, Ligua 離卦’s fourth Nine, and Lugua 旅卦’s first Six.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an absolute standard of punishments and zui 罪, and the li as a unaltered behavioral standard by analyzing a relational oder and a moral meaning of li and severe penalties for violating li.

      • KCI등재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안승우(An, Seung-Woo)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5 No.1

        본 논문은 의료기술이 발달하면서 등장하게 된 다양한 도덕적 문제 가운데 하나로, 회복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 결정 문제 및 최근 제정된 연명의료결정법 의 자기결정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명의료결정법 이 제정되기 이전 한국사회에서는 회복불가능한 환자의 심폐소생술 시행 여부를 가족이 결정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이는 한국사회 특유의 유교적 정서로 논의되곤 했다. 연명의료결정법 의 등장 이후, 연명의료결정의 주요 주체는 환자 자신으로 전환되었으며 그 주요 근거는 자기결정권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사회에서 가족결정 중심의 심폐소생술 금지 논의에서 자기결정권 중심의 연명의료결정법 으로의 전환을 살펴보고, 자기결정권과 관련하여 보충되어야 할 논의들과 연명의료결정법 의 철학적 근거가 되어야 할 生의 문제, 죽음에 대한 관점 등을 『周易』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주역의 연대적 生철학, 죽음이 아닌 마무리지어가는 과정을 중시하는 終始에 기반 한 死生觀을 통해, 연명의료결정법 에 보완되어야 할 사유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problem of deciding to attempt CPR for patients who cannot recover and the self-determination rights of recently enacted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s the moral issues that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mostly family have decided whether to implement CPR on patients who were unable to recover, which was often discussed as unique Confucian sentiments that Korean society has had. After the advent of the law, the principal subject of the life-care decision has been switched to the patient himself, and the main reason for that i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conversion of the family-centered decision on CPR to the self-determination-centered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in Korean society, the issues to be supplemented in relation to self-determination, and perspectives on life and death for complementing to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law through the Zhou Yi 周易. In particular,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he law can be supplemented by the Zhou Yi’s philosophy, especially focusing on a sense of joint responsibility of sheng 生and a view of life and death based on the philosophy of zhongshi 終始that emphasizes the process of finishing, not death.

      • KCI등재

        이병헌(李炳憲)의 금문경학적 『역경(易經)』 이해 - 태괘(泰卦)와 비괘(否卦)를 중심으로 -

        安承宇 ( Seung Woo An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9

        진암(眞菴) 이병헌(李炳憲, 1870~1940)은 일제강점기 유학자로서, 금문경학(今文經學)의 측면에서 유가 경전을 해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역경(易經)』을 비롯하여,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경(禮經)』 등에 대한 연구 성과를 남겼는데 특히 생애 만년에 『역경』 연구에 몰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병헌이 금문에 기초한 『역경』 해석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역경』 연구가 가진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의 『역경』 관련 저작인 『역경금문고(易經今文考)』, 『수화개벽설(水火開闢說)』을 중심으로 하고 기타 『이병헌전집(李炳憲全集)』에 실린 관련 내용들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역경』에 공자의 미언대의(微言大義)가 담겨 있다는 이병헌의 기본 전제에 기초하여, 『역경』 상경(上經)의 괘서(卦序) 가운데 특히 태괘(泰卦)와 비괘(否卦)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수화개벽설』에서 이병헌이 제시한 원세운회(元世運會)를 중심으로 하여 우임금 치수로 대표되는 태괘의 시대로부터 이병헌 당시의 비괘의 시대에 관한 그의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의 유학자로서, 유가경전 특히 『역경』을 프레임으로 하여 사회와 역사, 세상을 바라보았던 이병헌의 고민과 시대에 대한 성찰을 살펴보고자 한다. Jinam 眞庵 Lee Byung-hun 李炳憲(1870~1940) was a Confucian scholar during Japanese Ruling Era and he had a academic characteristic to interpreted the Confucian classics based on New Text Confucian. He left behind his studies on Yijing, Shijing 詩經, Shujing 書經, Lijing 禮經, and etc. Especially in his later years, he devoted himself to studying the Yijing. This paper explores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Lee Byung-hun’s research on the Yijing, which is based on New Text classics. To do this, this paper focuses on his Yijing-related works, the Yeokgyeong Geummungo 易經今文考 and the Suhwa Gaebyeokseol 水火開闢說 and explores relevant contests shown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Lee Byung-hun 李炳憲全集. This paper particularly analyses the meaning of Tai 泰卦 and Pi Hexagrams 否卦 in the “Shangjing 上經”’s Hexagram sequences based on the basic premise of Lee Byung-hun that the Yijing contains Confucius’ great principles in subtle words (微言大義). Futhermore, this paper explores his discuss on from the age of Tai Hexagram, which is represented by the Yu 禹’s controlling waters, to the age of Pi Hexagram, which means the ear Lee Byung-hun lived. From this, we can understands how Lee Byung-hun recognized society, history, and world by using the frame of Confucian classics, especially Yijing, as one of the Korean Confucian scholars who lived during Japanese Ruling Era.

      • KCI등재

        재밌는 유교, 유교와 게임의 만남 ― 밀레니얼 세대의 취미와 유교 ―

        안승우 ( An¸ Seung-woo ) 동양철학연구회 2021 東洋哲學硏究 Vol.106 No.-

        이 논문은 밀레니얼 세대, Z세대 등 차세대 우리사회의 주역이 될 젊은층들에게 유교가 지닐 수 있는 의미를 그들이 선호하는 취미 가운데 하나인 게임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대다수의 젊은 층들은 ‘유교’라고 하면 “재미없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젊은 층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출발점으로 “재밌는 유교”를 보드게임의 관점에서 구체적인 실례와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우리가 지닌 게임의 전통을 살펴볼 것이다. 과거 삼국시대 때부터 전해져온 게임의 전통, 특히 조선시대의 불교, 유교 게임의 전통을 통해 고대로부터 주목해온 게임의 기능과 전통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오늘날 실제 삶의 현장에서 유교와 보드게임이 어떻게 접목될 수 있을지를 오늘날 동서양의 게임과 철학의 접목사례, 그리고 현재 실제 개발되고 있는 『주역』 보드게임 사례 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Confucianism in one of their favorite hobbies, the game, for young people who will lead future society and world, such as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Most young people, in particular, seem to have a prejudice that Confucianism is "uninteresting." This paper discusses about “fun Confucianism" combined with gamification based on the tradition of game that had existed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practical examples of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Confucianism and games, especially based on the tradition of Buddhism and Confucian gam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ia paper explores how Confucianism and board games can be combined in today’s world through the examples of the integration of philosophy and games in Eastern and Western societies, and an ongoing example of the Zhouyi 周易board game development.

      • KCI등재

        미래세대를 위한 유교윤리교육의 역할 모색 -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과목을 중심으로 -

        안승우 ( Seung Woo An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4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과목은 인간의 삶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실의 윤리 문제들을 동서양의 윤리적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과목이다. 삶과 죽음의 윤리적 의미, 직업윤리, 과학윤리, 평화윤리, 가족윤리, 성윤리 등 미래세대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하고 현실적인 윤리 문제들이 다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동양윤리, 특히 유교윤리적 접근은 다소 소극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행 『생활과 윤리』 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동양윤리, 특히 유교윤리 현황을 분석하고 오늘날 현실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윤리적 성찰과 도덕 판단의 기준으로서 유교윤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실에서 마주한 문제들에 대해 사유할 때 그 윤리적 선택과 판단 요소 가운데 하나로 작용하는 유교윤리의 면모를 분석해보고, 일반적으로 유교 전통에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 온 효, 부모와 자녀 관계, 죽음 등에 관한 사유들에 대해 그것이 유교의 본래적 면모인지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성찰하고 판단할 수 있는 방향성에 관한 논의를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아울러 생명·사회·과학·문화·평화윤리의 전 영역에서 유기적으로 사유하고 성찰해야 하는 미래사회 윤리 문제들에 대해 유가철학이 지닌 유기적·상관적 사유방식과 사태에 대한 본질을 사유하는 생각법이 지닐 수 있는 도덕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High school Life and Ethics subject is to allow students to explore various real-world ethical issues that emerge in human life from an ethical perspective in the East and West. Eastern ethics, especially Confucian ethics, is considered somewhat passive, despite important and realistic ethical issues that can directly affect the lives of future generations are dealt with in the Life and Ethics subject, such as ethical meaning of life and death, work ethics, science ethics, peace ethics, family ethics, and gender ethics.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Eastern ethics, especially Confucian ethics, and examines what Confucian ethics can be applied directly to contemporary world as a standard of ethical reflection and moral judgment. For this, this paper explores the aspects of Confucian ethics that act as one of the ethical choices and judgment factors when thinking about problems faced in reality, and discuss ways to reflect and judge whether it is the original aspect of Confucianism, especially focusing on ideas on filial piety,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death. In addition, this paper explores the mor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considers the organic and correlative ways of Confucian philosophy and a way of thinking to look into the nature of the situation on future social ethics issues that should be organically thought and reflected in all areas of life, society, science, culture and peace ethics.

      • KCI등재

        탈북자 은유의 틀 짓기와 『周易』의 틀 허물기

        안승우(AN, Seung-Woo)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한국사회에서 탈북자에 대한 인식은 복합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 헌법적 · 민족적 정체성의 측면에서 그들을 동일한 대한민국 국민, 민족 구성원으로 인식하기도 하면서, 언어적 · 문화적 차이, 정치적 · 이념적 차별성, 사회적 · 경제적 입지의 차이 등의 측면에서 그들을 소수자 혹은 다문화적 시각에서 인식하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사회에서 탈북자 개념은 동질성이 강조되는 국민 · 민족공동체 범주, 차이와 이질성이 강조되는 소수자 · 다문화 범주 모두와 연관될 수 있는 복합성을 띠고 있는 개념이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한국인들의 탈북자에 대한 인식이 모순적 · 이중적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탈북자에 대한 모순적 · 이중적 인식의 기저에 놓인 틀(frame)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의 탈북자 인식의 구조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탈북자들에 대한 남한사람들의 인식의 틀로서 동질성 틀과 이질성 틀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은유를 통해 개념화 되고 있는 귀순자, 탈북자 개념 분석을 근거로 이에 관한 논의를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그리고 아울러 이러한 기존 인식의 틀을 극복하는 대안적 사유로서의 『周易』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tends to be complex. In terms of the constitutional and ethnic identities, they have been perceived as equal citizens and national members of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distinctive political and ideological views, and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 they also have been recognized as one of minority or multicultural groups. As such, the concep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is complex since they can be categorized as both a national and ethnic community placing emphasis on homogeneity and a minority and multicultural group putting emphasis on heterogeneity. Because of these properties, South Koreans’ percep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seem contradictory. This paper studies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s’ perception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by analyzing the underlying frames of their contradictory recogni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do this,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both a “homogeneity frame” and a “heterogeneity frame” as frames of South Koreans’ perception towards North Korean defector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concepts of the word kwisunja 歸順者 meaning someone who “submits or surrenders” and the term t’albukcha 脫北者 meaning a “person escaping from the North” that have been conceptualized through metaphors. Furthermore, this paper also studies the significance of the Zhou Yi 周易 as one of the alternative thinking to overcome the existing frames of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캉유웨이(康有爲)와 이병헌의 『중용』 해석 비교 - 공교(孔敎) 이론의 동이점 고찰을 중심으로 -

        안승우 ( Seung Woo An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2

        본 논문은 캉유웨이(康有爲, 1858~1927)와 이병헌(李炳憲, 1870~1940)의 『중용(中庸)』 해석 비교를 통해 그들의 공교(孔敎) 이론의 동이점(同異點)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병헌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유학자로 캉유웨이의 영향을 받아 유교 개혁과 실천의 일환으로 유교 종교화 운동을 진행했다. 따라서 캉유웨이와 이병헌의 유교 종교화 운동의 바탕이 되는 경학적 관점, 유교 복원에 대한 시각이 유사한 지점들이 발견된다. 예컨대 금문경을 중시하고, 유교 복원의 주요 과제 중에 하나로 공자를 교주의 위치로 복원시킨 것을 들 수 있다. 하지만 기본적인 기조의 유사점 못지않게 두 사상가 간의 관점과 초점의 차이 또한 발견된다. 특히 『중용』에 대한 두 사상가의 해석의 동이점은 이들의 공교(孔敎) 이론의 동이점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지점 중에 하나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중용』에 보이는 성(性) 개념, 중용 개념, 귀신장(鬼神章)에 대한 캉유웨이와 이병헌의 해석의 동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quivalence of their theory on Confucianism as a religion by compar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Zhongyong 中庸 by Kang Yu-wei and Lee Byung-hun. Lee Byung-hun(1870-1940) was a Korean Confucian scholar and was influenced by Kang Yu-wei to carry out the Confucian religiousization movement as part of his Confucian reform and practice. Thus, points of similar view on Confucian restoration and the economic perspective underlying the Confucian religiousization movement of Kang Yu-wei and Lee Byung-hun are found. For example, the restoration of Confucius to the position of a religious leader is one of the main tasks of Confucian restoration. However, as much as the similarities in the basic tone,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and focus between the two thinkers is also found. In particular, the on Confucianism as a religion of the two thinkers' interpretations of the Zhongyong is thought to be one of the important points where one can look at the equivalence of their axiom theory. In this paper, under such awareness of the problem,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same points about the concept of xing 性, the concept of zhongyong 中庸, and the interpretation of Kang Yu-wei and Lee Byung-hun on the chapter of guishen 鬼神.

      • KCI등재

        이병헌(李炳憲) 역학(易學)사상의 신(神) 개념 연구

        安承宇 ( Seung Woo An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0

        진암(眞菴) 이병헌(李炳憲, 1870~1940)은 유교 개혁의 일환으로 유교의 종교화 운동을 진행했다. 이러한 종교화 운동 과정에서 유교의 종교적 성격을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해 이병헌은 여러 유교경전 가운데에서도 특히 『역경(易經)』에 주목했다. 관괘(觀卦) 「단전(彖傳)」의 신도설교(神道設敎) 개념에 주목하여 『역경』을 공자가 신도로 가르침을 베푼 경(經)으로 인식했다. 이병헌은 『역경』에서도 특히 신(神) 개념에 주목했다. 그는 신을 『역』의 핵심으로 여겼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각에 기반하여 이병헌 역학사상에 나타난 신 개념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병헌은 우선 점의 대상으로서의 신 개념을 언급했다. 하지만 그의 논의는 외재적 신에 주목하지 않고, 점과 신을 대하는 인간의 마음가짐에 주목한다. 그는 『역경』의 점서(占書)로서의 성격을 인정하면서도 몽괘(蒙卦)와 비괘(比卦)에 기반하여 처음 점을 쳐서 묻는 마음과 그 처음의 마음을 잘 길러나가 마음을 회복하여 그 바른 마음을 오래도록 유지하는 것을 점의 근원으로 여겼다. 나아가 그는 신이 하늘에 있으면 상제(上帝)가 되고, 인간에게 있으면 마음이 된다는 논의를 펼치면서 인간 마음의 작용에 주목한다. “마음이 곧 신[심즉신(心卽神)]”이라고 보는 그의 논의에서 신은 인간의 생명력, 활동성, 변화불측성의 근원이 되며, 아울러 신의 경지에 들어가는 ‘입신(入神)’의 관건은 외부세계와의 감응에 있다는 논의를 전개한다. 이병헌은 입신과 교신(交神)의 과정에서 특히 인간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노력과 실천력을 중시하는데, 그것이 바로 성(誠)이다. 즉 인간 주체가 자신의 마음을 얼마나 정성스럽게 하느냐가 절대적 희망으로서의 종교의 본질에 다가가는 관건이 된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이병헌의 일련의 신 개념을 통해 당시의 시대적 맥락에서 이병헌의 유교 종교화 운동의 본질과 의미, 그리고 한국역학사상사 속에서 이병헌의 사유가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Jinam 眞庵 Lee Byung-hun 李炳憲(1870~1940) carried out a campaign to make Confucianism a religion as part of the Confucian reform. In oter to clearly reveal the religious character of Confucianism in the course of this religious movement, Lee Byung-hun particularly paid attention to the Yijing 易經 among the Confucian Classics. Focusing on the concept of “teaching through the spiritual way (Shendao shejiao 神道設敎) from the text of Guan Hexagram 觀卦, he recognized the Yijing as a Confucian Classic taught using the spiritual by Confucius. Based on this view,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his concept of shen 神. Lee Byung-hun mentioned the concept of shen as the object of divination. However, his discussion did not pay attention to external gods, but to the human mind’s attitude toward divination and spirits. Although he acknowledged the character of the Yijing as a divination book, based on Meng Hexagram 蒙卦 and Bi Hexagram 比卦, he regarded as the origin of the divination that is to bring the mind of the first fortune-telling and the mind of the first to be well nurtured, restored, and remained as the right mind for a long time. Futhermore, he focused on the action of the human mind by discussing that when shen is in heaven it becomes Shangdi 上帝; on the other hand, when shen is in a human body it becomes xin 心. In his discussions, which he sees as “xin is shen (心卽神)”, he develops a discussion that shen is the source of human vitality, activity, and unlimited changes, and that the key to enter into shen (rushen 入神) lies in response with the outside world. In the process of entering into shen and communication with shen (jiaoshen 交神), Lee Byung-hun values human self-reliant, active efforts and practical ability, which is sincerity (cheng 誠). In other words, how sincere a human subject make his or her heart-and-mind is the key to approaching the essence of religion as an absolute hope. Through Lee Byung-hun’s series of shen concepts, this paper explores the essence and meaning of his Confucian religion movement and the meaning of his thoughts in the history of Korean Yixue 易學 philosophies.

      • KCI등재

        한국 근대 시대적 맥락에서 본 정역(正易)의 시간관

        안승우 ( An Seung-w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4 儒學硏究 Vol.66 No.-

        본 논문은 1800년대 후반에 일부(一夫) 김항(金恒, 1826~1898)에 의해 완성된 것으로 알려진 정역(正易)이 한국 근대 시대적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정역의 시간관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 초중반에 제기된 세계력(世界曆)에 관한 논의 속에서 언급되었던 정역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달력에 관한 논의가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정역이 언급되기도 했다. 이를 단서로 하여 구한 말 일제강점기에 전통적인 시간관과 서구에서 유입된 근대적 시간관이 혼재하면서 겪게 되는 조선인들의 시간 개념에 대한 혼란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한국 근대 시기에 『정역』은 전통적인 역학(易學)적 사유에 기반하면서도 새로운 시간에 대한 관점을 제시해 준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복희팔괘, 문왕팔괘 이후의 정역팔괘도(正易八卦圖)를 제시하여 과거→현재→미래로의 시간적 변화를 완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시간 변화는 근대적 시간관처럼 앞으로 전진하기만 하고 인간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시간관이 아니라, 공간과 인간이 연계된 시간관에 기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역의 시간관을 본 논문에서는 반전되고 반추하는 시간관, 공간적·도덕적 시간관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정역의 미래의 비전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인간의 역할을 담고 있는 시간관은 일제강점기 불평등 타파를 향한 민중적 움직임의 토대가 되기도 했다.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Jeongyeok (正易), especially focusing on a time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era of Korea, which is known to have been completed by Ilbu (一夫) Kim Hang (金恒, 1826-1898) in the late 1800s. For this,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the Jeongyeok mentioned in the discussion on the world calendar (世界曆) raised in the early and mid-1950s. Even until this period, there was a discussion on the standard calendar that can use worldwide, and in the process, the Jeongyeok was mentioned. Using this as a clue, this paper examines the confusion over the concept of time of Koreans experienced by the mixture of traditional view of time and modern view of time introduced from the West in Japanese colonial era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modern Korean period, the the Jeongyeok seems to have presented a perspective on new time based on traditional yixue (易學) thinking. In particular, the time change to the past → present → future is completed by presenting the Jeongyeok’s Eight Trigrams (正易八卦圖) after Fuxi’s Eight Trigrams (伏羲八卦圖) and Wenwang’s Eight Trigrams (文王八卦圖). However, this time change is based on a time view in which space and humans are linked, not a time view that only moves forward like the modern time view and is irrelevant to human will. In this paper, this Jeongyeok’s time perspective was examined in terms of a time view that is reversed and reflected, and a spatial and moral time view. This vision of the Jeongyeok’s future and the view of time containing human roles in realizing it served as the basis for a popular movement toward the resolution of equality in Japanese Japanese coloni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