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자이너를 위한 태도와 전술로서 아카이브

        안병학(Ahn Byunghak) 한국디자인사학회 2023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 No.7

        아카이브는 ‘자국(marks)’과 ‘흔적(traces)’으로 이루어진다. ‘자국’은 개별 사건, 사람, 사물이자 이들이 점유하는 실질이다. 그리고 ‘흔적’은 개별 사건, 사람, 사물이 서로 관계를 통해 만들어 내는 의미이다. 즉, 아카이브는 지난한 기록과 수집을 동반하는, 듬성듬성하고 불규칙하게 수집된 ‘자국’들이 수많은 촘촘한 ‘자국’들로 이어지며 서로의 관계가 만들어 내는 의미의 ‘흔적’이다. 따라서 한 가지 경계해야 할 것은 이 과정에서 ‘흔적’을 규정하는 일을 인내를 가지고 유보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충분한 수집을 마무리할 때까지 모든 과정에서 ‘의미 짓기’를 보류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수집된 것의 질과 양이 수집될 내용과 범위를 결정하면서 끊임없이 의미의 변화를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아카이브는 일정 수준 완수될 때까지 혹은 그 이후에도 일종의 잠재적 가능태로 남는다. 그렇다면 시각문화의 변화를 주도하는 창의적 디자이너에게 아카이브는 일종의 가치 있는 태도이자 전술일 수 있지 않을까? 먼저 창의적 디자인이란 무엇일까? 시각디자인은 체계적으로 분업화된 사회 속에서 마케팅이라는 거대한 우산이 만들어 내는 프로세스의 끝자락에서 형식 생산에 기여하는 도구 역할을 자처했다. 그런데 성장 일변도의 분업화된 산업사회가 종말을 고하고 협업과 공유의 사회가 도래하면서 우리의 목표는 지속 가능한 사회로 재정의 되었다. 이런 환경에서 예술과 디자인도 1990년대를 전후로 최근까지 다양한 변화를 경험했다. 그 변화의 특징은 소위 ‘저자성’, ‘사물’, ‘사건’ ‘스토리’, ‘연결’, ‘커뮤니티’, ‘노동’, ‘접촉’, ‘경험’, ‘협업’ 따위였다. 그런데 주로 무형의 콘텐츠 생산과 소비에 관여하는 시각디자이너는 대개 형식을 통해 메시지를 생산, 유통하며 시각문화의 변화에 기여한다. 그리고 대중은 그 변화를 공동으로 향유하며 확산한다. 이 과정에서 창의적 시각문화 생산을 주도하는 시각디자이너는 대중의 시각문화 향유와 확산이 일정하게 양식화될 즈음 자신이 만든 그 양식을 깨고, 그것으로부터 가장 멀리 탈주하며 또 다른 변화를 모색한다. 앞서 언급했듯, 고도로 분업화된 사회에서 시각디자이너는 “문제 정의 → 전략 수립 → 자료 수집 → 기획 수립 → 형식 구현 → 문제 해결”이라는 문제 해결에 집중된 디자인 프로세스 안에서 주로 형식 구현의 역할을 담당해 왔다. 하지만 이제 디자이너 개인은 문제를 발견하고,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면서 문제 해결에 스스로 개입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문제 발견 → 수집과 기록 → 문제 검토 → 재수집과 기록 → 문제 정의 → 기획 수립 → 형식 구현 → 문제 개입 → 소통과 확산 → 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일종의 조직자(coordinator) 혹은 협력자(facilitator) 역할을 자처하는 것이다. An archive is composed of “marks” and “traces.” “Marks” are the tangible aspects that represent individual events, people, and objects, occupying substantial space. On the other hand, “traces” signify the meanings created by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se individual events, people, and objects. In other words, an archive consists of “marks” that are sparsely and irregularly collected, accompanied by past records and collections, and meaning is created as “traces” through the interrelations of numerous dense “marks.” Therefore, one important aspect to consider is exercising patience and restraint in defining “traces” throughout this process. In other words, it is suspending “meaning-making” in every step until sufficient collection is completed. This is becaus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what is collected constantly create shifts in meaning by determining the content and scope of the collection. For this reason, an archive remains in a kind of potential state until it is completed to a certain extent or even afterward. Considering this, an archive may serve as a valuable tactic for creative designers who drive changes in visual culture. First, what is creative design? In a systematically specialized society, visual design has assumed the role of contributing to form production at the fringes of the process created by the vast umbrella of marketing. However, as the growth-oriented and highly specialized industrial society approaches its end, and a society of collaboration and sharing emerges, our goals have been redefined towards a sustainable society. In this environment, both art and design have experienced various changes from around the 1990s up to recent tim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hanges include notions such as “authorship,” “objects,” “events,” “stories,” “connections,” “community,” “labor,” “interaction,” “experience,” and “collaboration.” However, visual designers, primarily involved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intangible content, typically produce and distribute messages through form, contributing to the changes in visual culture. The public collectively appreciates and disseminates these changes. In this process, visual designers who lead the production of creative visual culture, as the public’s appreciation and dissemination of visual culture becomes somewhat standardized, break free from the forms they have created and seek new changes, venturing far beyond them. As mentioned earlier, in a highly specialized society, visual designers have primarily been responsi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form within the design process focused on problem-solving, which includes “problem definition → strategy formulation → data collection → plan establishment → form implementation → problem resolution.” However, individual designers now play a role in discovering problems, approaching the essence of the problem by discovering it themselves using various information, and intervening in problem-solving. In other words, they position themselves as a kind of coordinator or facilitator in the process of “problem discovery → collection and recording → problem review → recollection and recording → problem definition → plan establishment → form implementation → problem intervention → communication and dissemination → problem resolution,” avoiding providing straightforward answers. This design process that deals with problems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closely resembles the meaning creation process of an archive. The keyword “experience” has been working as an important factor to utilize the diverse “intervention” and “participation” of design consumers or users for a long time. Designers actively utilize the experiences created through the organic activities of various stakeholders within the platform they provide, for problem discovery and resolution. For today’s designers who maintain a distance from the ideal, avoid singular message production, and pursue problem-solving through social communication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사회적 기억의 매개로서 디자인: 기억의 사유방식과 태도

        송진원(Song Jinwon),안병학(Ahn Byunghak) 한국디자인사학회 2022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기억과 역사, 경험과 의식의 대립을 시대를 특징짓는 성격으로 주목하고, 디자인의 사회문화적 역할과 ‘사회적 기억’이라는 현상의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기억한다는 것은 과거를 통해 현재와 미래의 관계를 세우는 일이다. 사회 변화에 따라 재인식, 재구성되는 사회적 기억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요청이자 시대적 가치이며, 이것은 현재 사회가 필요로 하는 디자인의 역할과도 맞닿아 있다. 그 역할은 현존하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경험의 나눔과 공유를 통해 사회적 기억을 끌어내고 그로부터 새로운 현재를 불러내 공명(共鳴)하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크게 기억 담론의 고찰, 기억의 사회문화적 재현, 기억의 매개로서 디자인 사유방식과 태도, 이렇게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논의를 개진하며, 더불어 우리 주변에서 발생했던 사건과 기억을 소재로 한 디자인의 양상과 이로부터 발현된 사회적 의미를 살피는 데 집중했다.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이란 우리 사회가 변하고자 하는 지향점을 디자인이 어떻게 수용하고 확산해야 하는지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이런 생각이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과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이 연구의 배경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frontation between memory and history,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as a characteristic of the times, and attempt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cultural role of design and the phenomenon of “social memory.” To remember i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rough the past. Social memory, which is re-recognized and reconstructed according to social changes, is the request and value of the times for people living in that era, which is also in line with the role of design as required by today’s society. Its role is to draw out social memory by sharing experiences in the existing social context, and to have them resonate by calling out a new present from them. Based on this critical way of thinking, this study set forth discussions by largely classifying them in three parts: the examination of the memory discourse,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memory and social perspectives on it, and methods and attitudes about how to consider design as a medium of memory. In addition, it focused on examining the patterns of design based on events and memories around us as well as the social meaning revealed from them. I think the social role of design is closely related to how design should accept and spread the orientation that our society wants to change. This idea repres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recognize the role of design and seek new methods about how to represent this, and this study provides questions and critical reviews of remarks, interventions, and various forms of behavior based on the awareness of reality regarding the contemporary value and role of design.

      • 잡지 《포름》의 한국디자인사적 가치

        김현아(Kim Hyuna),안병학(Ahn Byunghak)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잡지 《포름》의 발행 전후 디자인을 둘러싼 시대 상황과 《포름》의 편집기조, 체제, 내용, 디자인을 검토하여 잡지의 성격과 활동을 살피고 1980년대를 여는 시점에서 《포름》이라는 매체가 한국 디자인과 관련하여 어떤 문제들에 주목했는지, 그리고 그 의의는 무엇인지를 조명했다. 연구를 위해 《포름》 4호, 7호를 제외한 11권 실물 모두를 구해 분석했다. 편집인 이대일(현 명지대학교 명예 교수) 선생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관련 구술 자료를 확보했고 이를 1970년대와 1980년대 한국 디자인사 관련 단행본, 학위논문 등 문헌 자료와 비교하여 검토했다. 내용 측면에서 《포름》은 디자인에 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며, 독자가 디자인 개념을 습득하고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했다. 서구의 글과 자료를 번역, 연재했고, 당시 디자인 현장의 상황과 쟁점을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하며 국내 디자인계의 현실을 성찰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한 비평을 다뤘다. 잡지 디자인 면에서도 잡지에 수록된 디자이너의 철학과 아이디어, 작품, 발언을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지나치게 변화가 심한 편집디자인을 지양하고, 그리드 시스템을 충실히 따랐다. 해외 원작자에게 받은 슬라이드 필름 원본을 사용해 선명하고 품질 좋은 원색 화보를 다뤘다. 1980년부터 1982년까지 통권 13호가 발간된 디자인 전문지 《포름》은 다양한 해외 디자인 작품과 이론 소개, 1970–1980년대 디자인계의 상황 소개, 이를 둘러싼 문제 제기, 그리고 이에 대한 논의와 비평을 선보였다. 무엇보다 디자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근원적 질문을 쫓았다. 이 연구는 디자인에 대한 문제제기와 담론이 산업화와 경제적 부흥의 뒤에 머물 수밖에 없었던 1980년대 초 디자인을 둘러싼 활발한 자기반성의 논의가 오고 갔음을 잡지 《포름》을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미시적인 과거 사건을 발굴,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디자인 현장을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읽을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기록되지 않은 실재했던 디자인 관련 사건을 사료화 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reviewed the situations of the times surrounding the publication of the magazine Form as well as its editorial system, content, and design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the magazine. It also shed light on which issues Form paid attention to regarding Korean design at the beginning of the 1980s, and what its significance was. For the study, researchers obtained all the original versions of 11 volumes (excluding Form no. 4 and no. 7) for analysis. In addition, oral data was obtain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magazine’s editor from the time, Lee Daeil (now an honorary professor at Myongji University).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relevant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books and theses on Korean design history of the 1970s and 1980s. In terms of content, Form asked fundamental questions about design, offering readers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acquire and explore design concepts. In the 1980s, the magazine dealt with issues by serially translating Western writings and materials, and introduced design scenes from the time in various ways, trying to reflect upon the reality of design in Korea. It also dealt with criticism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magazine design, Form avoided applying very decorative, different editorial designs to different articles or issues of the magazine. Instead, they faithfully followed a certain grid system to deliver designers’ philosophy, ideas, works, and remarks to readers without distortion. It used the original slide films from foreign creators and dealt with clear, high-quality color illustrations. The design magazine Form published a total of 13 issues from 1980 to 1982, introduced many foreign design works and theories as well as the situations of the design community in the 1970s and 1980s, raised issues surrounding them, and presented discussions and criticism about them. Most of all, the magazine pursued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design is. The value of this study lies in discovering that the lively self-reflective discussions surrounding design were conducted in the early 1980s, when the issues of design and discourse were forced to take a back seat to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revival.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cavated and recorded microscopic events from the past, providing the basis to figure out design scenes from a time in the overall historical flow. The researchers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ata collection of numerous design materials that have been forgotten over time, but have existed as a chapter in the history of Korean desig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