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자이너 이상철을 통해 본 1960–1970년대 초반 한국 디자인

        강승연(Kang Sungyoun)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한국의 디자인사에서 1960년대는 국가 차원 디자인 진흥 정책의 일환으로 ‘대한민국상공미술전람회’(1966) 개최와 ‘한국디자인포장센터’(1970)가 설립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업의 공채 디자이너가 처음 등장하고, 각 기업에서는 제품디자인 부서를 신설한 시기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에서 당시 디자이너들의 증언과 문헌을 통해 국가 주도 외에도 기업 활동과 출판을 통한 다양한 그래픽 디자이너들과 전문디자인 회사들의 활동이 1960년대부터 한국 디자인 현장에서도 활발히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상철의 한국산업은행의 재직기(1962–1970)와 한국브리태니커의 재직기(1971–1973)를 중심으로 그의 주요 작업을 분석했으며, 관련 인물의 구술면접자료와 문헌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이 시기 한국 디자인의 현장 상황 전반을 파악했다. 이 연구를 통해 1960–1970년대 초반 한국 디자인계는 국가 산업진흥정책의 일환으로 다양한 디자인 프로젝트가 있기도 했지만, 1960년대 한국의 대학에서 디자인교육을 받은 디자이너들이 사회로 진출하면서 기업의 디자인실과 디자인 전문 스튜디오가 자생적으로 생겨나기 시작한 시기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철의 작업을 제외하고는 아직 당시 활동 결과물을 많이 찾아내지는 못했으나, 기록과 증언만으로도 이런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내용을 토대로 관련 연구를 확장할 예정이다. 이 연구가 한국의 1960년대 디자인을 좀 더 다양한 시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단초가 되었으면 한다. For Korean design, the 1960s and early 1970s was a period when the Commercial and Industrial Design Exhibition (1966) was first held and the Korea Design and Packaging Center (1970) was established as part of a national design promotion policy. As a result, designers began to be publicly recruited by companies, and each company established product design departments. However, the testimonies and literature materials of designers at the time, which this study is based on, showed that various activities by graphic designers and design companies started to appear in Korean design scenes from the 1960s, and centered around diverse design projects through business activities and publications, not just design projects led by the gover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major works of Rhee Sangchol while he was working for the Korea Development Bank (1962-1970) and Britannica Korea (1971-1973). Based on oral, in-depth interviews with related people and literature materials, I discerned the overall flow of Korean design in those day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1960s and early 1970s, a variety of design projects emerged as part of the government’s industrial promotion policy, and that as trained designers from Korean universities started working, corporate design departments and specialized design studios also began to emerge at this time. Except for Rhee Sangchol’s works, I have not yet found many results of the activities from those days, but records and testimonies confirmed the above facts, and I will continue to expand this study based on this content. I hope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to study the 1960s’ Korean design from more diverse perspectives.

      • 88서울올림픽 문화포스터에 나타난 국가 정체성 디자인

        문희채(Moon Heechae)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1980년대 한국은 빠른 경제발전과 함께 정치적으로는 민주화의 열망이 들끓는 격변을 겪어냈다. 디자인 또한 이 시기에 큰 도약과 더불어 변화 요구에 직면했고, 그 해법으로 동시대 한국미를 찾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1980년대를 관통하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었던 88서울올림픽 디자인 중 문화포스터를 통해 국가 정체성 디자인이 한 시대를 어떻게 반영하는가를 살핀다. 88서울올림픽은 디자인전문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체계적 디자인 전략을 구현하고자 했다. 처음 디자인전문위원회에서 표방한 국가 정체성은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반영하되, 현대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시각이미지를 창출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12명의 외부 디자이너가 참가한 문화포스터에서는 1980년대라는 정치, 경제, 문화적 격변기의 국가 정체성에 대한 그 시절 디자인계의 다양한 인식이 드러난다. 소재면에서는 전통과 역사에 대한 좀 더 폭넓은 접근을 시도했지만, 타자의 취향에 맞춘 수동적 이미지상이라는 일제식민지배의 잔재가 여전히 남아있었다. 하지만 당시 심의 회의록에 따르면, ‘왜색’은 최우선 경계대상이었다. 대신 문화포스터에서는 동시대 한국미를 표현하는 조형 언어를 모색해 올림픽이라는 축제를 흥겹게 되살리고자 했다. 이는 세계 속 한국 디자인의 주체성을 회복하려는 시도로 읽을 수 있다. 이처럼 주체적 동시대 한국미를 표현하고자 했던 88서울올림픽 문화포스터 디자인을 통해 ‘국가 정체성’이 디자인사를 읽는 하나의 방법으로 작동함을 검증한다. In the 1980s, Korea was a period of upheaval,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aspirations for democratization. Design also faced a demand for change with a big leap at this time, and tried to find contemporary Korean beauty as a solution. This study examines how national identity design reflects an era through cultural posters among the designs of the 1988 Seoul Olympics, which were important historical events that passed through the 1980s. The 1988 Seoul Olympics tried to implement a systematic design strategy, led by a Design Committee. The national identity advocated by the committee was to create a modern and future-oriented visual image, while reflecting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Korea, but to create a modern and future-oriented visual image. However, since 12 designers participated, the cultural poster reveals various aspects of Korean design for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1980s. In terms of objects, a broader approach to tradition and history was attempted, but remnant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a passive image tailored to the taste of others still remained. However, if we look more closely at the process of deliberating the cultural poster, it can be seen that ‘Japanese colonial style’ was the top priority. Instead, the cultural poster tried to revive the festival called the Olympics by seeking a formative language that expresses contemporary Korean Aesthetics. This can be read as an attempt to restore the subjectivity of Korean design in the world. Through the 1988 Seoul Olympic cultural poster design, which was intended to express the subjective contemporary Korean Aesthetics, wit is verified that ‘national identity’ works as a way of reading the Design History.

      • 박휘락의 『한국 미술교육사: 미술교육 100년의 흐름(1895-1995)』를 읽고

        박지나(Park Jina)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디자인사는 미술, 건축은 물론 역사학, 철학, 사회학이나 심리학까지 관련지어 연구해야 한다. 하지만 초중등학교 제도교육에서 미술과목 안에 있는 디자인 교과나 특성화 고등학교, 또는 교육대학에 속한 미술교육 내 디자인교육 전공은 한국디자인사 연구에 포함되고 있을까? 박휘락은 『한국 미술교육사: 미술교육 100년의 흐름(1895-1995)』에서 1895–1995년까지 한국 근대 디자인교육의 변천과정을 저술했다. 이를 통해 깨달은 것은 한국 디자인교육의 ‘배치(Agencement)’이다. ‘배치’는 공시적인 차원에서 만들어지는 ‘사건’으로 이루어진 ‘계열’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역사성을 갖는다. 배치된 세계는 시간과 공간 속에 놓이고, 각각의 대상은 ‘포함’과 ‘배제’의 논의에 종속된다. 박휘락은 미술교육의 맥락에서 디자인교육사를 기록했다. 지금, 박휘락의 미술교육에 관한 기록을 디자인교육에 관한 논의 안에 ‘포함’하는 것은 그동안 한국디자인사에서 ‘배제’되었던 사건을 ‘재배치’하는 것이자 한국디자인사를 확장하는 또 하나의 ‘사건’이 될 수 있다. In his book, The History of Art Education in Korea: 100 Years of Art Education (1895–1995), Park Hwirak wrote about the transition process of modern Korean design education from 1895 to 1995. But why is his name unfamiliar to the design community? For research on design history, one should study not only art and architecture but also history, philosophy, sociology and psychology in relation to it. However, in such studies, design education included in design curriculum under institutional education, design education conducted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rts education majors at universities of education have not been taken into account. What I realized through this study was the agencement (arrangement) of Korean design education. There is something that must be considered when discussing agencement. First, the arranged world is a matter of space between “inclusion” and “exclusion.” Second, agencement is carried out in time and space, and the context of “ground” or “field” is necessarily important. To date, Park has written about modern Korean design education considering agencement within the history of art education in Kore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ncluding and rearranging Park Hwirak’s name in Korean design history is an important event that expands Korean design history.

      • 박휘락 교수에게 듣는 한국 근대 디자인교육

        조혜영(Cho Haeyoung)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한국디자인을 다시 읽어보자는 아카이브 특집 기획으로 ‘근대 디자인교육’을 조명한다. 이 기획의 의도에 맞는 교육자로 디자인계에서는 다소 생소한 박휘락 명예교수를 선정하게 되었는데, 그 배경에는 1998년 예경에서 출간한 그의 저서 『한국 미술교육사: 미술교육 100년의 흐름(1895-1995)』이 있다. 이 책은 한국 근대 디자인교육에 관한 내용을 수집, 발굴하여 한국 미술교육의 역사와 함께 서술하고 있다. 그의 저서에 등장하는 디자인교육 관련 내용은 그동안 디자인계의 학자나 교육자가 다루지 못한 현대 산업사회 이전의 디자인 역사와 그 흔적을 기록한 2차 사료로서 의미가 크다. 한국 디자인사 연구자들에게 디자인계 바깥에 있는 학술 자료와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자 그를 찾아가 근대 미술 교육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된 배경과 그 내용에 관한 이야기를 직접 듣게 되었다. 사전 전화 인터뷰와 심층면접을 통해 근대 한국의 미술교과서 『도화임본(圖畫臨本)』에 관한 이야기와 근대기 미술교과에서 다룬 디자인교육의 변천에 관해 상세히 들을 수 있었다. 이 글은 미술교육자 박휘락이 미술교육사의 맥락 속에서 디자인교육 관련 사료를 발굴, 수집하게 된 경위와 그의 관점에 관한 기록이다. Design History Society of Korea tried to shed light on modern design education Abstract with the idea of reexamining Korean design history. As an educator in line with this idea, professor emeritus Park Hwirak was selected, even though he is not a household name in the design community. In the background, there is his book The History of Art Education in Korea: 100 Years of Art Education (1895–1995), which was published by Yekyong Publishing in 1998. This book is based on the collection and exploration of materials related to modern design education, and deals with the history of Korean art education. The design education in his book is meaningful as a secondary source, as it records the history and early traces of design befor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at design scholars and educators have not covered. In order to introduce academic materials and research methods outside the design world to researchers in the Korean design history, I visited prof. Park and heard about the background of his research on modern art education and listened to related stories. To this end, I conducted telephone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to hear about the modern Korean art textbook called Dohwaimbon and the changes in design education during the modern period. Therefore, this article provides the possibility of diversified interpretations of Korean modernity and an in-depth story about the design environment before the industrial developing era of 1960s in Korea.

      • 디자인 패러다임과 서사 구조

        최범(Choi Bum) 한국디자인사학회 2022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3 No.1

        역사적 디자인 패러다임들은 각기 고유한 사관(史觀)과 서사 구조를 가진다. 장식미술은 원형사관(history of archtype), 모던 디자인은 진보사관(progressive history), 포스트모던 디자인은 순환사관(circular history)과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관들은 일정한 서사 구조를 통해서 디자인에 대한 당대의 인식을 드러낸다. 장식미술의 원형사관은 ‘원형(原型)’이라는 불변하는 본질을 전제하며, 모던 디자인은 영웅 서사를, 포스트모던 디자인은 재생과 회복이라는 서사 구조를 가진다. 이처럼 디자인 패러다임을 사관과 서사구조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때, 디자인사를 보다 확장된 보편사의 일부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Each historical design paradigm has its own view of history and narrative structure. Decorative art is connected to the history of archetypes, modern design to progressive history, and postmodern design to circular history. As some have pointed out in the past, these views reveal the design awareness of the times through a certain narrative structure. The circular history of decorative art presupposes the immutable essence called the “archetype,” while modern design has a narrative structure featuring a hero narrative, and postmodern design has a narrative structure comprised of reproduction and recovery. As such, when approaching design paradigms based on the views of history and narrative structure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design history as part of a more expanded universal history is opened.

      • 2000년 이후 K-POP 뮤직비디오의 한국 전통 콘텐츠 활용 변화

        황주원(Hwang Joowon),조혜영(Cho Haeyoung) 한국디자인사학회 2023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 No.7

        한국의 대중음악은 현대에 들어서 K-POP(Korean pop music)이라 불리고 있다. K-POP이라는 용어가 생겨난 배경과 한국의 대중음악 및 K-POP의 흐름을 확인하면, K-POP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한류를 확인할 수 있다. 사회· 문화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음악 시장은 기술과 매체의 발전, 사회현상과 결합하여 발전해 왔다. K-POP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에서 중요한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게 되었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긍정적 반응을 얻으며, 한국의 문화를 즐기고 따라 하는 ‘한류’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K-POP을 표현하는 수단 중 하나인 뮤직비디오(Music Video)에서 보이는 패션, 문화, 퍼포먼스가 한류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었고 아티스트와 문화적 콘텐츠 성공 여부에 없어서는 안 될 미디어 매체가 되었다. 한류라는 개념이 인식되기 시작한 2000년대 이후부터 2022년까지의 뮤직비디오에서 한국 전통 콘텐츠를 활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0년 이후부터, K-POP 뮤직비디오에서 한국 전통 요소가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현상이 자주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순히 전통 요소를 있는 그대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소재와 형태로 디자인되어 나타났기 때문에 국내와 해외의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냈고, 단순히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것이 아니라 새롭게 융합되어 탄생한 한국 전통 요소라는 점이 주목을 받았다. 이렇게 한국 전통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경쟁력을 가지며, 한국 전통에 대해 상기하고 문화콘텐츠로서의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뮤직비디오 내에서 등장하는 한국 전통 콘텐츠 활용 변화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미래의 K-POP 콘텐츠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pop music is called K-POP in modern times. If you check the background of the term K-POP and the flow of Korean pop music and K-POP, you can see that the Korean Wave is closely connected to K-POP. The music market,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society and culture, has developed in combin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edia, and social phenomena. Over time, K-POP has become an important cultural content in South Korea and has received positive responses not only at home but also abroad, and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at enjoys and copies Korean culture, has started to appear. Fashion, culture, and performance seen in Music Video, one of the means of expressing K-POP, have emerged as a Korean Wave phenomenon and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medium for artists and cultural content succ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content in music videos from the 2000s to 2022 when the concept of the Korean Wave began to be recognized, we confirmed that Korean traditional elements were frequently used in K-pop music videos since 2020. This drew various responses from South Korea and abroad because the Korean Wave was designed and appeared in new materials and forms, not just expressing traditional elements as they are, and that they were newly fused and not simply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elements. Using Korean traditional content in this way is competitive not only at home but also abroad, and you can recall Korean tradition and expect a positive impact as a cultural cont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tudying the changes in the use of traditional Korean content that appear in music videos, which are multimedia content, will provide a direction for future K-POP content.

      • 한국의 바우하우스 수용과 전개에 관한 주체적 읽기- 일제강점기 한국의 근대적 조형교육을 중심으로

        서희정(Suh Heejung)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근대적 조형교육으로서 바우하우스 교육이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그 역사적 사례를 발굴하고 그 활동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독일의 바우하우스 조형교육은 일본을 통해 한국으로 유입되었으며, 서구식으로 근대화된 생활양식이 정착되던 일본과 한국은 근대적 산업사회와 생활양식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근대적 학교교육기관의 한 과목으로 도학과목이 기초과목으로 구성되어 교육되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 한국의 바우하우스 도입양상은 크게 두 가지 경로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일본의 미술대학에서 유학하여 바우하우스 커리큘럼에 기반을 둔 도학교육을 수학하고 귀국한 후, 조선의 정체성을 탐구하며 대학의 교육자이자 1세대 근대적 디자이너로 활동했던 조선인 유학생들의 경우가 있었다. 그다음으로는 일본을 통해 독일의 바우하우스 관련 서적이 조선에 들어오기 시작되면서 개인적으로 수입된 서적을 통해 독학하여 공부한 경우인데, 대구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최유련 교사의 『도화과지도세목』이 그 대표적 성과물로 남아 있다. 이 글에서는 해외에서 들어온 바우하우스 서적을 통해서 독학으로 공부하면서도 근대적 조형교육 개념에 대해서 숙지하고 이를 자신이 근무하던 초등학교의 『도화과지도세목』의 교육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홀로 자신의 영역에서 교육적 실천을 시도했던 최유련 교사의 외로운 자기계발의 결과물과 그 역사적 가치를 중심으로 다뤘다. 이는 지금까지 한국의 근대사 연구에서 식민지수탈의 시각에서 식민지 상황에서 겪었던 수탈의 수동적 대상으로만 주로 언급되었던 엘리트 한국인들의 능동적 자기계발과 그 개인적 성과물을 한국 근대 디자인사의 연구대상으로 주목하며 그 역사적 가치와 위상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discover historical examples of how Bauhaus education was accepted as modern design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 received Kousei Education as Japanese Bauhaus education, not receiving the German Bauhaus education directly. In Japan and Korea, the modern lifestyle was being established in the Western style, and people in the two countries began to pay more attention to design based on modern industrial society and lifestyle. To this end, modern design began to be educated through the school system as a regular subje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introduction of Bauhaus education into Korea can be examined largely along two routes. First, there were Koreans (at the time under the Joseon Dynasty) who had received design education based on a Bauhaus curriculum in Japan. They returned to Korea and explored the identity of Joseon and worked as college and university educators and first-generation modern designers in Korea. Next, when books related to Bauhaus in Germany began to enter Korea through Japan, some people taught themselves with imported books. An example of this is the educational guidebook Dowakajidosemok, written by Choi Yureon, a teacher at the elementary school affiliated to Daegu Normal School (now Dea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Unlike the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y of colonial exploitation, which focused on the exploitation of Koreans during colonial times up until now, this article tried to use Jeong Yeon-tae’s theory of prolonged modernity as the basis for interpreting Korean modernity. With such awareness, this articl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lonely self-development of the teacher Choi Yureon and its historical value. Choi studied by himself through Bauhaus books, learned about the concept of modern formative education, and then organized an educational program with Dowakajidosemok for the elementary school he was working for at the time. In that way, Choi attempted to enhance educational practices in his field. In doing so, this article tried to take note of Choi Yureon’s case out of active self-development and personal achievements by elite Korean intellectuals as a subject of study about modern Korean design history and to measure the historical value and position of such efforts and achievements.

      • 잡지 《포름》의 한국디자인사적 가치

        김현아(Kim Hyuna),안병학(Ahn Byunghak)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잡지 《포름》의 발행 전후 디자인을 둘러싼 시대 상황과 《포름》의 편집기조, 체제, 내용, 디자인을 검토하여 잡지의 성격과 활동을 살피고 1980년대를 여는 시점에서 《포름》이라는 매체가 한국 디자인과 관련하여 어떤 문제들에 주목했는지, 그리고 그 의의는 무엇인지를 조명했다. 연구를 위해 《포름》 4호, 7호를 제외한 11권 실물 모두를 구해 분석했다. 편집인 이대일(현 명지대학교 명예 교수) 선생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관련 구술 자료를 확보했고 이를 1970년대와 1980년대 한국 디자인사 관련 단행본, 학위논문 등 문헌 자료와 비교하여 검토했다. 내용 측면에서 《포름》은 디자인에 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며, 독자가 디자인 개념을 습득하고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했다. 서구의 글과 자료를 번역, 연재했고, 당시 디자인 현장의 상황과 쟁점을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하며 국내 디자인계의 현실을 성찰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한 비평을 다뤘다. 잡지 디자인 면에서도 잡지에 수록된 디자이너의 철학과 아이디어, 작품, 발언을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지나치게 변화가 심한 편집디자인을 지양하고, 그리드 시스템을 충실히 따랐다. 해외 원작자에게 받은 슬라이드 필름 원본을 사용해 선명하고 품질 좋은 원색 화보를 다뤘다. 1980년부터 1982년까지 통권 13호가 발간된 디자인 전문지 《포름》은 다양한 해외 디자인 작품과 이론 소개, 1970–1980년대 디자인계의 상황 소개, 이를 둘러싼 문제 제기, 그리고 이에 대한 논의와 비평을 선보였다. 무엇보다 디자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근원적 질문을 쫓았다. 이 연구는 디자인에 대한 문제제기와 담론이 산업화와 경제적 부흥의 뒤에 머물 수밖에 없었던 1980년대 초 디자인을 둘러싼 활발한 자기반성의 논의가 오고 갔음을 잡지 《포름》을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미시적인 과거 사건을 발굴,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디자인 현장을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읽을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기록되지 않은 실재했던 디자인 관련 사건을 사료화 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reviewed the situations of the times surrounding the publication of the magazine Form as well as its editorial system, content, and design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the magazine. It also shed light on which issues Form paid attention to regarding Korean design at the beginning of the 1980s, and what its significance was. For the study, researchers obtained all the original versions of 11 volumes (excluding Form no. 4 and no. 7) for analysis. In addition, oral data was obtain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magazine’s editor from the time, Lee Daeil (now an honorary professor at Myongji University).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relevant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books and theses on Korean design history of the 1970s and 1980s. In terms of content, Form asked fundamental questions about design, offering readers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acquire and explore design concepts. In the 1980s, the magazine dealt with issues by serially translating Western writings and materials, and introduced design scenes from the time in various ways, trying to reflect upon the reality of design in Korea. It also dealt with criticism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magazine design, Form avoided applying very decorative, different editorial designs to different articles or issues of the magazine. Instead, they faithfully followed a certain grid system to deliver designers’ philosophy, ideas, works, and remarks to readers without distortion. It used the original slide films from foreign creators and dealt with clear, high-quality color illustrations. The design magazine Form published a total of 13 issues from 1980 to 1982, introduced many foreign design works and theories as well as the situations of the design community in the 1970s and 1980s, raised issues surrounding them, and presented discussions and criticism about them. Most of all, the magazine pursued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design is. The value of this study lies in discovering that the lively self-reflective discussions surrounding design were conducted in the early 1980s, when the issues of design and discourse were forced to take a back seat to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revival.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cavated and recorded microscopic events from the past, providing the basis to figure out design scenes from a time in the overall historical flow. The researchers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ata collection of numerous design materials that have been forgotten over time, but have existed as a chapter in the history of Korean design.

      • ‘국풍 81’과 ‘한국적 디자인’의 추억

        최범(Choi Bum)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한국의 산업화가 국가 주도로 이루어진 것처럼 디자인은 산업화의 하위 부문으로 포섭되면서 시작되었는데, 1970년대의 디자인 진흥 정책이 이를 잘 보여준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민간 부문이 발전하면서 국가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그러나 해외 엑스포 참가 등의 국제 행사에서는 당연히 국가가 주체가 되었는데, 특히 1980년대는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이라는 양대 국제 행사가 치러졌다. 이때 한국 국가가 자신을 어떻게 이해하고 표상했는가 하는 것은 시각예술의 차원을 넘어선 의미를 가진다. 그런 점에서 국제 행사에 사용된 주된 조형 언어가 바로 ‘한국적 디자인’이라는 사실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As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 was led by the government, design in Korea started as it was incorporated into the subcategory of industrialization. The design promotion policies in the 1970s are proof of this. However, as the private sector in the design field began to develop, the government’s role slowly weakened. Nevertheless, with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overseas expos, design work was led by the government. In particular, in the 1980s, Korea held two major international events: the Asian Games and the Olympics. At that time, how Korea understood and represented itself is significant beyond the realm of visual art. In that sens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formative language mainly used for international events was “Korean-style design.”

      • 디자인의 가치를 버려라: 노자의 곡신(谷神)과 현빈(玄牝)을 중심으로

        김현주(Kim Hyunzoo) 한국디자인사학회 2022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3 No.1

        디자인은 ‘내가 세계를 인식하는 생각을 디자인하는 것’이며 그 생각이 물질화된 삶과 가장 가까운 것이 사물이다. 그리고 이제 세계는 대중이 아니라 다중으로 연결된다. 은미(隱微)한 작은 공동체들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다중의 사회, 나노 사회로 접어들면서 대량(大量)생산이 아닌 다양(多樣)생산에 대한 요청이 대두되고 있다. 이 다양성에 관한 접근을 기존의 인과성에 따라 맥락을 추적하는 과정, 즉 기능과 형태로 대변되는 디자인의 가치 틀 앞에 다른 발상의 장(場, field)을 놓는다는 의미로 보고 이를 노자에 접목해 보았다. 특히 ‘비어있는 어떤 것을 채움’이 아닌 ‘비어있게 만드는 채움’이라는 ‘무위’와 ‘무불위’로 생각의 방향을 세우고, 그 생성의 근원을 ‘곡신’, ‘현빈’이라는 개념을 통해 논하였다. 이는 단순히 언어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분석적 발상이 아닌 생성의 시작점을 무한하고 가물한(玄) 심연으로 놓고 상승과 하강을 통해 생각의 순환이 이루어진다는 ‘이미지 발상’이다. 배리어프리, 유니버설 디자인의 공익성과 함께 ‘은미(隱微)한 네트워크’라는 다중의 디자인으로 가는 길 위에서 건네는 제안이다. Design refers to the design of thoughts in which I perceive the world as well as objects that are closest to life in which the thoughts are materialized. To be clear, the world is not connected with the public but with the multitude. As we move into a society of the multitude that consists of networks of subtle and small communities (a nano-society), it is not mass production but indeed diverse production that is required. This approach to diversity places a different field of ideas before the existing process of tracing the context based on causality, that is, the value frame of design represented by function and form. In that sense, Lao-tzu’s concepts were drawn upon for this study. In particular, I turned the direction of my thoughts to Lao-tzu"s famous proverb— “To do nothing yet nothing is left undone.” In other words, it means filling something to allow emptiness in it rather than simply filling something empty. I then discussed the source of that creation through Lao-tzu’s concepts of the valley spirit (gushen 谷神) and the mysterious female (xuanpin 玄牝). This is not an analytic idea that simply approaches the dimension of language, but an image idea which sets the starting point of creation in an infinite and mysterious abyss, and lets thought circulate through ascent and descent. This is a proposal on the way to the multitude’s design called a “subtle network,” which goes along with the public interest of barrier-free (universal)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