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지역 만 3~6세 아동의 모음 포르만트와 말명료도 특성에 관한 연구

        심화영 대구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Vowel formants depend on shape and length of vocal tract. As age increases, the larynx is gradually descending for 4 years after birth. This study measured vowel formants and vowel space area from 3 to 6 Year-old Korean children in Jeju area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vowel production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Korean young children. A total of 80 children(10 boys and 10 girls for each ag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obtaining formants, 7 Korean vowels(/a/,/e/,/i/,/o/,/u/,/?/) were used and vowel space areas (triangular, quadrangular), and speech intelligibility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based gender and age. Results showed that F1 and F2 of /e/ and /i/ vow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 In particular, front vowel /e/ and /i/ were significantly lower in 3 years of age and gradually increased with age. For gender, F2 of vowel /a/ and /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while F2 of vowel /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ys (p<.05), indicating that development progress of horizontal and vertical tongue movements may be more pronounced after 3 years old of age and it can affect speech intelligibility. With respect to vowel space are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s (p<.05) whereas no differences in gender(p>.05). Vowel space area was increased with age and much larger change was exhibited in rectangular vowel space than in triangular vowel space. Moreover, speech intelligi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age(p<.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gender(p>.05).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riangular vowel space areas (r=.299, p<.01) or quadrangular vowel space area (r=.570, p<.01) and speech intelligibilit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riangular vowel space areas (r=.299, p<.01) or quadrangular vowel space area (r=.570, p<.01) and speech intelligibility. Accordingly, quadrangular vowel space area composed of /i-e-a-u/ was more sensitive than triangualr vowel space area composed of /i-a-u/ to reflect objectively the vowel movement space and speech intelligibility.

      • ICT를 활용한 언어 기능 통합 활동 분석 :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을 중심으로

        심화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st century is the information age, which allows us to learn extensively using new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equipments. Along with the flow of time, utilizing ICT has become essential not only in English class, but also in all other classes. Capability of making it easy to attract learners' interests and developing 4 linguistic skills naturally are advantages of utilizing ICT in class. Thus,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as guides of studying should include divers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to maximize learning eff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are suggested in the 2nd grade middle school through their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based on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find better alternatives to use ICT effectively in learning English. In this study, 6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for 2nd grade of middle school were selected, which are used in many middle schools in Daejeon, and examined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by following 3 criteria: First, define how many ICT application activities are contained in eac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Second, define how many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are distributed in eac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Third, define what kinds of skill-integration activities are presented in eac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textbook D has the greatest number of ICT application activities with 111 times, followed by the textbook B with 70 times. As for the activity books, the activity book D-1 has the highest frequency (103 times), followed by the activity book C-1 (95 times). Except the textbook A and the activity book A-1, all other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had ICT application activities for more than 20%.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there were 2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3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and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Listening-writing tasks took the first place in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Listening-speaking-writing tasks were the second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listening-speaking tasks. Third, in listening-writing tasks of 2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listen and fill in the blanks', 'listen and fill the charts', 'dictation', and 'listen and correct the errors' were preferred. In listening-speaking tasks, 'listen and answer', 'listen and talk with a partner', 'listen and share one's own story', and 'discuss and share the project' were mainly presented. Fourth, Listening-speaking-writing tasks were the representative tasks of 3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They can be divided into 2 types: 'talk with a partner after listening and fill in the blanks' and 'write about discussion and share the ideas'. Fifth,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are 3.2% of total. Types of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are classified based on types of ICT media, which are the activity using internet and the other one using slides or video.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are some alternatives as followings: First, since every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contain some contents about other country's culture, they should provide them not only with content, but with a variety of information searching activities through internet. As providing the information searching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give students th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websites to help them not to waste too much of time. Second,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should not be limited in using one specific equipment, like CD-ROM, but opened up for many other ICT equipments. Teachers should be able to make the best choice from various ICT equipments properly rather than being limited in one specific ICT equipment. Third, there is a need for a great variety in type of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in the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indispensible to include more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by providing diverse group works. Group works such as project and role play can make students communicate naturally and have confidence in English.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itable tasks which can do both at home and in the classroom. Running a website for the class or using the email will be effective for not only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also developing ICT application ability. Based on these analyses, teacher's attention and effort are required to utilize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effectively. Teachers should use ICT equipments not imprudently, but appropriately to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4 linguistic skills effectively. 21세기는 지식정보화 사회로, 다양하고 참신한 ICT 매체의 활용을 통하여 광범위한 학습이 가능한 시대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영어 교과에 있어서도 ICT의 활용은 필수가 되었다. 영어 교과에서 ICT를 활용함으로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고, 자연스럽게 언어의 4기능을 통합 발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영어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은 학습의 안내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하여 다양한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을 제시함으로서 ICT 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교수-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이바지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 제시되고 있는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이 학생들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제시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에 대한 개선점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이에 대한 연구로 먼저 ICT 활용 활동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후에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기능 통합 활동들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6종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의 언어 기능 통합 활동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듣기 CD-ROM 활용에 치우쳐 있고 ICT 활용 코너를 마련하였더라도 ICT를 활용하는 과업을 제시하기보다 “~에 대해 알아보자”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ICT를 활용하여 기능 통합 발달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구성 방안에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외국 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서는 문화에 대한 코너를 마련하고 있는데, 문화 내용 학습 시 단순히 그 내용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문화와 관련된 동영상을 제시하거나 그 문화와 관련된 것을 직접 검색 또는 경험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둘째,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서 인터넷 검색을 통한 자료 조사 활동을 제시할 때는 학습자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사이트 주소를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서 정보가 제시가 되고 있지 않는 경우, 교사는 반드시 이를 확인하고 학생들이 어려움에 빠지지 않도록 도와주어야할 것이다. 셋째,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 대체로 CD-ROM 활용을 통한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한 가지 특정 ICT 매체에 의존하기보다 교수-학습 상황에 맞는 적절한 ICT 기기를 다양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넷째, ICT를 활용한 언어 기능 통합 활동 분포에서 출현이 적었던 듣기와 읽기 통합 활동, 듣기, 말하기, 읽기의 통합 활동, 듣기, 읽기, 쓰기의 통합 활동의 빈도를 높여 언어의 균형적인 기능 발달에 힘쓰는 것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은 읽기 지문을 바탕으로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읽기 지문을 듣기, 말하기, 쓰기 활동과 통합하여 제시함으로서 학생의 4기능 통합적 발달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ICT를 활용한 4기능 통합 활동의 비중을 늘리고, 다양한 모둠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모둠 활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역할극을 진행함으로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할 수 있고, 협동심을 발휘하며 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 또한 다각적 사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여섯째, 교사는 시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ICT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교실에서뿐만 아니라 집에서도 학습할 수 있는 적절한 과제를 제시해주어야 한다. 쓰기 활동은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는 점에서 교실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데, 학급 홈페이지를 운영하여 과제를 홈페이지에 개재하거나 이메일로 과제를 제출하게 한다면 쓰기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고 학생의 ICT 소양 능력 기르는 데도 효과적일 것이다. 이렇듯 6종 교과서와 학습활동책을 분석해봄으로서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이 학습자 중심에서 흥미롭고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가 ICT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무분별한 사용은 자제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ICT 기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과업을 제시한다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언어의 4기능을 통합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에어로빅 High Kick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심화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kicking moves through kinematic analysis of high kick motion on sports aerobics The study also intends to not only provide scientific data with instructors to make an effective instruction in school through the diagnosis and assessment of the accurate move of high kick, but also prevent unintentional sports injuries. The analytic methods of the 3-dimensional images for the high kick motions were used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trained students and 4 untrained students in a high school. Time, displacement, velocity, angle were measured and analysed.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time of high kick motion was measured to be 0.93 seconds for the trained group, 1.09 seconds for the untrained group. It was shown that the time of high kick for the trained group is shorter than that for the untrained group. (2) The center of gravity displacement was measured to be 99.22cm for the trained group, 94.57cm for the untrained group at phase 1. It was shown that the center of gravity displacement for the trained group is higher than that for the untrained group. (3) About the velocity of left/right forefoot, the trained group was faster than the untrained group at phase 1, 3.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rained group and the untrained group at phase 2. (4) The left and right angle displacement of ankle joint showed the maximum extension at phase 1 and phase 4. (5) In the left and right angle displacement of knee joint, both the trained group and the untrained group showed the maximum extension at phase 1 and phase 4. (6) The left and right angle displacement of hip joint was measured to be 39.88˚for the trained group, 46.27˚for the untrained group at phase 1. It was measured to be 34.55˚ for the trained group, 42.5˚for the untrained group at phase 4. It was shown that the angle displacement of hip joint for the trained group is smaller than that for the untrained group. (7) It was shown that the body's front and rear inclination angle for the trained group is larger than that for the untrained group.

      •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동기지원전략이 학업성취도와 동기에 미치는 효과

        심화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목표지향이론의 관점에서의 학습동기지원전략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동기지원전략을 적용한 집단과 그렇지 않는 집단 간에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동기지원전략을 적용한 집단과 그렇지 않는 집단간에 내재적 동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 학업성취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70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학습동기지원전략으로 실험집단(35명)과 통제집단(35명)은 실험처치에 따라 웹기반 학습을 실시하였다. 학습동기지원전략에는 학습지향적인 목표를 촉진시키기 위한 상황적인 요소들이 포함되었다. 종속변수로는 내재적 동기와 학업성취도이다. 가설검증에서 사용된 통계방법은 t검증과 Pearson`s r로 측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지향적인 목표를 지닌 학습동기유발 전략의 처치 여부에 따라 학업성취도 검사를 독립표본의 t-검증을 사용하여 평균을 비교하였는데, 실험집단(M = 81.29)이 통제집단(M = 67.43)보다 우수하게 나왔다. 둘째, 내재적 동기유발사후 검사 역시 실험집단(M = 3.75)이 통제집단(M = 3.23)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동기지원전략의 처치 여부가 학업성취도와 내재적 동기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구 문제 1, 2의 가설은 긍정되었다. 연구문제 3의 학습지향적인 목표와 내재적 동기,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내재적 동기와 학업성취도(r =.513, p <.01, n =35) 사이와 내재적 동기와 학습지향적인 목표(r =.252, p <.05, n =35)사이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특히 내재적 동기유발과 학업성취도는 비교적 높은 상관(r =.513)을 보이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이는 학습지향적인 목표 상황변인에서 학습동기지원전략으로 인하여 내재적 동기가 증가하면 학업성취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재적 동기와 학습지향적인 목표는 상호 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지향적인 목표와 학업성취도(r =.084, p >.05, n =35)와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학습자 개개인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학습지향적인 목표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관계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목표지향성유형에 따른 동기지원전략이 학습참여와 지식구성단계에 미치는 영향

        심화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목표지향성유형에 따른 동기지원전략이 학습자의 학습참여와 지식구성단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실험은 서울 소재 사이버대학교‘아동/청소년문학과 독서치료’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84명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에는 학습지향목표, 수행지향목표에 따른 동기전략이 제공된 온라인 토론에 각각 배치하였고, 통제집단은 동기지원전략이 제공되지 않은 온라인 토론에 배치하였다. 학습지향목표와 수행지향목표에 따른 동기지원전략의 상황적 요인으로 (a) 과제설계, (b) 권위의 배분방식, (c) 평가실행을 제공하였다. 사후검사로 학습참여와 지식구성단계별 메시지빈도수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학습자의 학습참여와 지식구성단계별 효과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학습참여 측면에서 목표지향성유형에 따른 학습동기지원전략은 학습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목표지향성유형에 따른 동기지원전략이 제공된 두 실험집단이 동기지원전략이 제공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학습참여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인지적, 행동적, 감성적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목표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지원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식구성단계 측면에서 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른 학습동기지원전략은 지식구성의 1단계 정보공유단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지향목표에 따른 상황적인 설계변인들이 협력적 지식구성의 정보공유 및 비교 단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또한, 목표지향성유형에 따른 동기지원전략이 제공된 두 실험집단이 동기지원전략이 제공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2단계 불일치 발견, 3단계 의미협상 및 협력적 지식구성, 4단계 평가 및 수정, 5단계 성찰 및 적용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낮은 정보공유수준의 지식구성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고차원적인 지식구성단계에 이르기 위해서 목표지향성유형에 따른 동기지원전략제공이 상당히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온라인 토론학습에 적용된 목표지향성의 상황적인 교수설계요인들이 다른 교수-학습환경에도 적절하게 지원된다면, 학습자의 참여뿐만 아니라 지식구성의 수준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viding goal-oriented context on Learner' learning engagement and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in online discussion. For this study, 84 students of a cyber university in Seoul who take a subject of‘Literature for Children & Adolescents and Bibliotherapy’are examined. The experimental group is arranged at the online discussion with the motivation strategy by following the learning oriented goal and the performance-oriented goal. The controlled group is arranged at the online discussion without the motivation supporting strategy. The situational factors of the motivation strategy by following the learning oriented goal and the performance-oriented goal are (a) task design, (b) distribution of authority and (c) evaluation practice. The learning engagement and the frequency of the message from each phase of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re examined by the post test.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om the examination,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of two independent sample a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 of this study can be explained on the aspect of learning engagement of the learner and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From the aspect of learning engagement, the study motivation supporting strategy by following Goal-Oriented Context have no influence on learning engagement. But two experimental groups with the motivation supporting strategy by following Goal-Oriented Context get higher grades than the controlled group without the motivation supporting strategy and it is statistically showed that there ar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This result means that the motivation supporting strategy to improve the goal orientation of the learner in teaching learning process is required to promote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engagement for online discussion, teaching learning process. In the aspect of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the study motivation supporting strategy by following Goal-Oriented Context have influence on Sharing/comparing of information(Phase 1). This result means that situational design variables by following the learning–oriented goal give positive influences to the phase of sharing/comparing of information of the cooperative knowledge process. In addition, two experimental groups with the motivation supporting strategy by following the Goal-Oriented Context get more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s than the controlled group without the motivation supporting strategy such as the discovery and exploration of dissonance or inconsistency among ideas(Phase 2), negotiation of meaning/co-construction of knowledge(Phase 3), testing and modification of proposed synthesis or co-construction(Phase 4) and agreement statement/applications of newly constructed meaning(Phase 5). This result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knowledge construction from the low sharing information and provide the motivation supporting strategy by following goal-orientation to obtain high knowledge construction.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level of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s well as the learning engagement of the learner have positive influences if situational teaching design variables of goal orientation is properly applying to other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